포토리뷰 대회
1학년 1반 34번 - 종잡을 수 없는 사춘기 아이들의 마음을 잡아주는 이야기
언줘 지음, 김하나 옮김 / 명진출판사 / 2008년 12월
평점 :
품절




 
나의 사춘기 시절을 떠올려 보면..  한 켠에 추억으로 생각할 수도 있겠지만..

내 사춘기 시절을 옆에서 지켜 보아야 했던 부모님은 참 많이 힘들었을 거란 생각을 해본다.

그나마 항상 엄하던 아버지에게는 반항 한번 해보지 못했지만..

엄마에게는 신경질도 많이 내고 항상 말다툼으로 엄마를 힘들게 했었다.

지금 생각하면.. 엄마에겐 너무 미안하기만 한 옛날 이야기지만..

내 자식이 사춘기가 되어 나를 속썩인다면..

정말 너무 힘들것 같다라는 생각밖에는 들지 않는다..

 

잔잔한 삽화의 그림과 함께 쓰여진 이 책은..

짧은 내용이긴 하지만.. 어른들에게 많은 것을 느끼게 하고..

아이들에게는 자신의 속마음을 누군가가 대변해 주는 것 같은 느낌을 충분히 받을 수 있는 책이다.

 







1학년 1반 34번...

34번.. 아이가 학교에 들어가고 나서 이름 대신 불려진 이름 아닌 이름이다.

아침마다 늦게까지 잘 수 있었던 늦잠도 자지 못하게 되었고..

아이들과 똑같은 옷을 입고 똑같은 책상에서 똑같은 의자에 앉아 똑같은 책을 보고 공부를 해야했다.

수업 시간엔 입을 꾹 다물고 선생님이 하는 말만 듣고 있어야 했다.

아이는 그런 학교가 싫었다.

아이는 학교에서 늘 외톨이였다.

부모님은 학교에 가면 친구들이 많을것이라고 했지만.. 그렇지가 않았다.

아이는 굳이 친구들과 어울려 지내고 싶지도 않았고..

선생님에게 혼나는 아이를 좋아하는 친구들도 없었다.

아이들은 선생님의 기대에 부합하려 노력했지만...

아이는 그런 노력조차 하지 않았다.

어느날..아이가 가져온 올챙이 한마리 때문에 아이는 친구들로부터 관심을 받게 된다

하지만 그것도 잠시.. 누군가가 선생님에게 고자질을 했고..

아이는 올챙이를 숲속에 숨겨 두었다.

아이는 자신의 마음을 벽에 그림으로 그려 표현했다.

그 모습을 본 새로 온 선생님은 야단을 치지 않고 오히려 칭찬을 했다.

그리고 그림 대회에 나가보라고 했다.

아이는 그림대회에서 생애 처음으로 상을 받았다.

어른들은 모두 좋아했다. 선생님은 이전보다 더 아이에게 관심을 가졌다

더 큰 대회에 나가게 하려 했다.그러나 아이는 싫었다. 자신이 원하는 게 아니었다.

아이는 어른들의 관심이 부담스러웠다.

어른들의 방식은 결국 자신의 자유를 빼았을 거라는 생각이 들었다.

선생님은 아이에게 실망을 해갔다.

시험이 있던 날 아이는 학교에 가지 않았다.

아이는 예전에 함께 놀던 친구와 함께 숲속에 갔다.

숨겨 놓은 올챙이를 보았다. 어느새 다리가 나와 있었다.

아이는 하루종일 친구와 함께 가장 익숙한 방법으로 놀았다.

그날 저녁 아이는 엄마,아빠에게 자유를 누린 댓가를 치루어야 했다.맞고 또 맞았다..

그리고 아이의 친구는 부모의 매를 피하러 도망가다가 사고로 죽었다.

그 뒤 아이는 어른들에게 더 많은 관심을 받아야했다.

좋은 관심이 아니었다.학교에서는 제약이 더 심해지고.. 아이는 문제아가 되어 버렸다.

아이들마저도 아이를 무시했다.아이는 주먹을 휘둘렀다.

그 사실을 알 게 된 아이의 부모는 아이에게 심한 말을 퍼부었다.

 

 

 

 

그 다음 날 아침..

아이는 다시 한번 도망쳤다...

누군가 물었다.

"넌 어린 거니.어리지 않은거니?"

"난 아직도 모르겠어.내가 어린지 어리지 않은지."

"어리다는 것은 언제나 자신의 일에 다른 누구 탓을 하는 거야.

어리지 않다는 것은 자신의 일에 다른 누구의 탓도 하지 않는 것이지.이제 확실히 대답할 수 있겠어?"

"그렇다면 대답할 수 있어.나는 이제 어리지 않아.나는 이제 누구 탓도 하지 않으니까.

전에는 모든 것을 다 어른들 탓으로 돌렸어.그런데 이제는 그렇지 않아.

부모님 탓도 선생님 탓도 학교 탓도 하지 않으니까."

"그래?그렇다면 34번 너도 어른이 된 거야.올챙이만 어른이 된 게 아닌 거야.

네가 올챙이들을 지켜주지 못했어도 올챙이들은 모두 개구리가 되어 뭍으로 떠났어.

34번 너도 마찬가지야.네가 어른들에게 구속당해서 행복하지 못하다고 투덜대는 동안에도 너는 매일매일 자라고 성장했던 거란다.

이제 너는 더 이상 어리지 않아.그러니 누구 때문에 안 되고 무엇 때문에 못 한다는 변명은 더 이상 통하지 않는단다.

이제 누구 탓도 안 돼.모든 것은 34번 너의 책임이란다."

 

책의 마지막 장을 닫으며 가슴이 따뜻해져왔다.

어른들에게 구속 당하는 게 싫어 자유를 꿈꾸며 살아왔던 아이.. 그래서 어른들의 눈에는 문제아로 찍힌 아이..

진정한 어른으로 거듭나는 것이 무엇인지 알게 된 아이의 모습을 보며..

우리 어른들이 해 주어야 할 몫이 어떤것일까를 생각해보게 되었다..

사춘기 시절....청소년 시절...누구나 한번쯤 학교로부터의 자유의 탈출을 꿈꾸며..

집안에서의 탈출을 꿈꾸며 살아 온 어른들의 과거의 모습이 이 책속의 34번 아이의 모습 속에 그대로 비추어진다.

학교가 싫어 무단 결석을 하고.. 학교에 적응 못 하는 아이들을..

이제는 다른 시선으로 볼 수 있을 것 같다..

그 아이들은 문제아가 아니라..

자유스러운 것을 더 좋아하고 자유를 꿈꾸는 아이들이기에..

바깥 세상에서 마음껏 자유를 느끼고 있는 것이라고..

 그리고 그 아이들의 마음을 보금 더 이해하고 받아 줄 때 좀 더 성숙한 아이들이 되지 않을까..

아이가 어른이 되었다고 느끼는 것처럼 말이다..

아이야...자유를 마음껏 꿈꾸어라.. 하지만 그 뒤에는 반드시 책임이 뒤따른다는 것도 잊지 말아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