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은 인간이 아닌 다른 존재로는 절대로 생존하지 못한다. 사람은 생존 수단인 자신의 마음을 포기할 수도 있고, 자신을 인간 이하의 생명체로 전락시킬 수도 있고, 자신의 생명을 짧은 고통의 시간으로 바꿔놓을 수도 있다. 사람의 몸이 질병에 의해 붕괴되는 사이에 한동안 존재할 수 있듯이 말이다. 그러나 사람은 인간 이하의 존재로는 인간 이하에 속하는 것이 아닌 다른 것은 절대로 성취하지 못한다. 인류의 역사 중에서 반이성적이었던 시기의 추한 공포가 잘 보여주는 그대로이다. 사람은 선택에 의해 사람이 되어야만 하며, 사람에게 사람처럼 사는 방법을 가르치는 것이 윤리의 과제이다.
-46p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국가는 역사를 형성한다. 따라서 역사는 국가의 자각이라고 말할 수 있다. 자기 인식은 반드시 남을 매개로 생겨난다. 국가 또한 자신을 자각하기 위해서는 다른 국가와 교섭해야 한다. 그 속에서 얻어지는 자각이 역사적 자각으로서 역사를 형성한다."
-55p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올드 스쿨
토바이어스 울프 지음, 강동혁 옮김 / 문학동네 / 2019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문학이란 본질적으로 그것이 숙고하는 타락한 세계, 속임수가 고삐를 잡고 있으며 확실성은 그저 어리석음에 불과한 황혼녘의 땅처럼 작동하는 것이었다.
-316p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문학의 매혹과 열정을 잃지 말 것. 문학적 관심과 정열 없는 교사들에게 흔들리지 말 것.

“(...) 참신성이나 독창성을 부각시키기 위해 변두리의 왜소한 작품을 과대평가하거나 기존의 평가를 전도시키거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인구 대비 학생 비율은 한국이 3.41퍼센트, 미국이 3.35, 호주가 3.24, 프랑스가 2.88, 독일이 2.29로 되어 있다. 가족을 포함하여 교양시민층이 인구의 1퍼센트에 미달했던 시기와 대학생수가 인구의 2.3퍼센트를 차 지하는 사회에서 이미 중산층은 특별한 신분상징이나 정체성의 표지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참고로 1939년 독일 대학생의 총수는 약 4만 명으로 인구의 0.1퍼센트에 지나지 않았다) 또 차이성을 강조할 필요가 있는 대항계층도 없어졌다. 사실상 구귀족이라는 계층이 소멸하였고 선망과 질시의 경쟁대상도 사라졌기 때문이다. 교양 취득을 통한 정신귀족을 지향할 동기의 하나가 소멸한 것이다. 또 기운차게 확산되고 있는 평등주의 이념과 그 점진적 실현은 지배엘리트와의 경쟁을 재촉하지도 않게 되었다. 따라서 각자가 독특한 생활스타일을 추구하게 된다. 이러한 생활스타일의 다원화가 계급과 계층에 기초한 전통적 사회조직과 그 에토스를 소멸하게 하는 것은 당연하다. 교양도 소멸해버린 구제도의 하나인 셈이다.
-117p

위에서 약술해본 독일의 경우는 대체적으로 세계의 다른 지역에서도 발견될 수 있는 현상이라고 생각된다. 대학생 수가 극히 적은 사회에서 특혜받는 소수파는 그 혜택을 누리는 한편으로 사회에 대해 어떤 사명감을 갖게 된다. 문학에 있어서도 사정은 마찬가지다. 사회의 계몽이나 진보에 기여하련다는 자임에서부터 새 문학 건설이나 혁신에 기여하련다는 예술적 포부에 이르기까지 그것은 다양한 형태를 취한다. 이러한 사회적 사명감이나 예술적 포부가 문학이 저급한 상업주의로 떨어지는것을 방지한다. 무라카미의 소설은 작가가 이미 사회의 엘리트라는 자부심을 상실했거나 예술적 포부를 가질 수가 없는 시대의 언어상품이다. 그것은 문학의 죽음을 재촉하는 자기파괴적 허드레 문학이다. 계몽되지 않은 독자가 이러한 작품에 일찌감치 노출되었을 때 거기 중독되어 한 걸음도 더 나가지 못한 지그 수준에서 정체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기 때문이다. ‘노르웨이의 숲’에 중독된 독자는 그 작품의 화자가 읽고 있는 이 소설 ‘마의 산’을 끝내 읽어내지 못하고 말 것이다. 마음의 귀족 되기는 틀렸지만 그렇다고 흉 될 것이 없는 시대에 살고 있는 셈이다.
-118o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