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의 10년이 지나서야 나는 비로소 생각과 선택이다 분명해졌다. 확실히 시가 존재하고 이 세상에 시가 필요한 건 우리가 익숙한 세상에서만 사는 걸 달가워하지않기 때문이다. 과거의 기형적 발전 때문에 우리의 인식이 주변에 대해 소원해지고 황폐해지기는 했다. 하지만우리는 그것 때문에 시를 벌할 수 없고 시와 시인이 모험을 떠나는 걸 막아서도 안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그러나 이제 시는 더 이상 그럴 수 없다. 시는 극히개인적이고 고독한 심리적 가치의 산물이다. 시인은 외롭고 허전하게 우주의 거대한 흐름에, 과거부터 현재까지의 모든 시간과 상하좌우의 모든 공간 그리고 바글대는 사람들 사이에 처해 있다. 그는 독특한 격정을 찾는동시에 그 격정을 표현할 독특한 형식을 찾지만 이 양자는 어떠한 전례도 보장도 없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아마 무라카미 하루키의 「다리미가 있는 풍경」에나오는 ‘자유의 불‘과 다소 비슷할 것 같았다. 유목이 타는 불은 가스 난로의 불, 라이터의 불, 일반적인 모닥불과 다르다. 자유로운 장소에서 타오르는 자유로운 형상의 불이며 자유로운 까닭에 불을 지켜보는 사람의 심정을 반영해 나타낼 수 있다.
유목이 타는 불에서 유목의 자유를 구상해 냈다. 이렇게 해서 그 해변에서의 내 심정과 딱 맞아떨어지는 시를 가질 수 있게 되었다. 난 이런 식으로 생각하고 탐색한다. 그러다가 어느 날 그 시를 찾을 것이다. 물론 영원히 못 찾을 수도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완전히 다른 장소에서 다른 시기를 산 사람끼리 이 정도의 유사성을 공유한다는 게 놀랍다. 다만 그 사진은 한 가지를 더 말해주고있었다. 정면을 응시한 단호한 눈길은 그 누구도 필요로 하지 않을 것 같은 단독자의 삶에 길들여진 사람의 것이었다. 사진을 보는 순간 그는 지독한 외로움이 목을 조르는 것 같은 통증을 느꼈다. 완전히 버림받았다는 소외감이었다. 격정을 누를 길 없어 사진집을 한 장씩 넘기는 일에 열중했다. 각기 다른 표정을 지닌 다양한 나이와 인종과 성별의 얼굴을 대면했다. 그와 무관한 그들의 태연한 표정이 위로가 되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새가 울었다. 예전의 씩씩한 울음소리로 힘차게 울어재꼈다. 나는 눈을 떴다. 새소리는 무척 가까이서 들렸다. 이번에는 진짜 새울음소리였다. 나는 옆을 돌아보았다. 저만치서 핸드폰 액정이 깜짝거리고 있었다. 불빛은 우렁차게 새소리를 쏟아내고 있었다. 시계를 보았다. 일곱 시였다. 새는 자지러질 듯 두어 번 더 울고 나서숨을 죽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