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최고의 리더는 어떻게 사람을 움직이는가 - 개정판
리 슈에청 지음, 정세경 옮김 / 라의눈 / 2025년 6월
평점 :
우리는 모두 리더가 될 수 있습니다.
사업에 신용이 없으면 번창할 수 없고, 가정에 신용이 없으면
화목할 수 없고, 사람에게 신용이 없으면 반듯이 설 수 없고,
세상에 신용이 없으면 평안할 수 없으며, 나라에 신용이 없으면
안정될 수 없다.
겸손한 태도로 남들의 장점을 배우고 더 많은 경험을 쌓는
사람은 이를 통해 자신의 재능을 발전시키고 더 높은 권위를
얻을 수 있다. 뉴턴이 바로 그런 인물이었다. 반면 자신이
대단하다고 착각해서 으스대고 남들을 무시하는 사람은 스스로
발전하지 못해 결국 아무것도 이룰 수 없다.
자신을 반성하다는 말은 사심을 버리고 객관적으로 자신을
평가한다는 의미다. 다시 말해 자신을 정확히 보고 싶다면 정직한
심성을 길러 스스로의 아집과 독선에서 벗어나야 한다.
리더는 반드시 넓은 마음으로 천하에 품지 못할 것이 없어야 한다.
'재상의 뱃속에서는 노도 젓고, 장군의 이마 위에서는 말도 탄다.'
라는 명언도 있다. 중국의 지도자 덩샤오핑은 지도자들에게 두 가지
덕목을 강조했다. "시야는 더 넓게 하고, 마음은 더 크게 하라."
자신감은 리더가 갖워야 할 기본 소양이다. 자신감은 열정으로
이어지고, 어떤 일이든 수월하게 성공할 기본을 마련해준다.
그러나 맹목적이고 고집스러운 자신감은 타인과의 소통 부족으로
이어져 실패로 이어진다.
프랑스의 사상가 장 자크 루소는 "사람이 잘못을 저지르는 것은
무엇을 몰라서가 아니라 무엇이든 안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라고
말했다. 새로운 상황과 직면하게 될 때 자신이 뭐든지 안다고
착각하는 사람은 폐쇄적인 사고방식 때문에 남의 의견을 듣지 않는다.
모든 일의 마지막 결정은 리더의 몫이자만, 리더 마음대로 하라는
애기는 아니다. 결정의 옳고 그름이 일의 성공과 조직의 발전에
직접적인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중국 속담에 "밖에서 온
스님이 염불은 더 잘 외운다."라는 말이 있다.
리더에게 계획과 조직, 지휘와 조정은 너무나도 중요한 역할이다.
칼 마르크스는 이런 역할을 잘하는 지도자를 가리켜 '오케스트라의
지휘자'라고 비유했다. 오케스트라의 지휘자처럼 개개인의 힘을
모으고 조정해 조화로운 음악을 만들어낸다는 의미이다.
충돌과 갈등을 해결하는 최선책은 적극적이고 효과적인 소통이다.
리더는 충돌을 해결할 때 귄위를 신중하게 사용해야 한다. 권위를
이용해 위기 상황을 해결하면 즉각적인 효과는 있을지언정
근본적인 문제는 봉합된 것이나 마찬가지다.
동료를 대할 때는 겸손하고 넓은 아량을 베풀어야 하며, 상대가
자신을 뛰어넘는 것을 두려워해서는 안 된다. 또한 상대의 단점을
지적하지 말하야 하고, 자신의 장점과 상대의 단점을 비교해서는
안 된다. 동료의 장점과 경험에 대해서는 먼저 나서서 배우고
적극적으로 참고해야 한다.
리더가 큰일을 하려면 반드시 용기와 지략을 함께 갖처야 한다.
용기가 있어야 서두르지 않고 냉정하게 일을 처리할 수 있으며,
지략이 있어야 실수하지 않고 차근차근 일을 풀어나갈 수 있기
때문이다.
리더라면 권력이 탐할 때 얻을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양보할 때
얻을 수 있는 것임을 알아야 한다. 자신이 가진 것에 만족할 줄
알아야 진정한 즐거움을 누릴 수 있다. 욕망에 사로잡힌 사람은
종종 고통의 늪에 깊이 빠져 헤어 나오지 못한다.
사람은 감정적인 동물이라 다른 사람의 지적을 받으면 그 사실을
마음에 담아두게 마련이다. 그러므로 리더라면 타인에 대한
불필요한 비판을 삼가야 한다. 다른 사람을 변화시키고 싶다면
비판으로는 목적을 달성하기 어렵다.
리더는 많은 사람과 교류할 때 소통의 중요성을 깨닫고 진심과
성의를 다해야 하며 더불어 자신의 인격을 꾸준히 향상시켜야
한다.
<채성모의 손에 잡히는 독서>를 통해서 도서를
'협찬' 받았습니다.
@eyeofra_publishing
@chae_seongmo
#최고의리더는어떻게사람을움직이는가
#리슈에청 #라의눈 #리더십
#채성모의손에잡히는독서
#신용 #겸손 #리더 #반성 #자신감
#열정 #결정 #소통 #용기 #양보
#책 #도서 #독서 #철부지아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