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여기의 극우주의 - 모멘툼 vol. 01
김민하 외 지음 / 자음과모음(이룸) / 2014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진보적인 지식인들이라고 부를 수 있는 6인의 집필진이 극우주의라는 주제로 글을 모았습니다. 작고 아담한 사이즈의 이 책은 2014년에 출간되었는데요. 2014년은 참으로 의미심장한 한해였죠.

책의 내용을 채우고 있는 주제는 우리나라의 일베 현상과 우리 나라의 극우정당 출현 가능성, 개신교의 반공주의, 일본의 넷우익인 2채널과 재특회, 극우와 계몽주의의 연관성, 마지막은 ‘우리안의 파시즘‘ 이 장식하고 있습니다. 집필진 면면을 보니 반가운 이름이 몇분 있었는데요. 우선 김민하씨가 보였고, 또 다른 이는 얼마전 이곳을 통해 간단히 리뷰 했던 ‘박근혜는 무엇의 이름인가‘ 의 저자 이택광 교수입니다. 김민하, 이택광 두 분이 같이 공동 저작으로 낸 책은 일전의 ‘우파의 불만‘ 이라는 책인데요. 이 우파의 불만이라는 글도 꽤 읽어볼만 내용들이 많습니다.

우선 ‘일베 현상‘ 에 대해 먼저 언급을 하고 싶습니다. 사실 온건한 표현으로 알려지기로는 매우 극우적인 커뮤니티로 알려져 있죠. 하지만 여기 글에서도 언급되는 내용이지만 여성혐오와 여성차별주의와 인종주의, 반이주민주의 등 거의 파시즘과 가까운 성향을 보이고 있습니다. 우리 한국 사회에서는 ‘파시즘‘ 이라는 표현에 과격하고 돌출적인 반응을 보이는데요. 이를테면 ‘저 인간 너무 파시스트 같은 말만 하는데‘ 라는 말에 많은 사람들이 격렬하게 대응하는 것과 비슷합니다. 바로 일베의 많은 회원들이 자기들이 스스로 여성혐오와 인종주의적 발언을 하면서도 결코 파시즘적 사고나 파시스트가 아니라고 항변합니다. 저는 지극히 파시즘과 일베 사이에는 등호가 어울린다고 생각하는데 말이죠. 넷상에서는 여성 비하 발언을 하면서도 지하철이나 버스 등지에서 자신의 고유한 내적인 가치관으로서의 여성을 비하하려는 욕망을 쉽게 표출하지 않는 것은 그렇게 함으로써 받게 되는 다수의 타인들로부터 매우 강한 단언적 판단을 받게 되는것을 자신이 이미 알고 있기 때문일겁니다. 넷상에서는 자기 비하를 바탕으로 남까지 곁가지로 그 마당에 끌어들이지만 사회의 생생한 무대에서는 그렇게 하면 안되는 것을 잘 아는거죠.

이어 한국에는 극우 정당이 존재하는가 라는 질문으로 그 범위에 인접한 자유한국당은 과거 새누리당 시절에 경제와 일부 복지 정책을 포함하여 그 스탠스가 남달랐지만 이 점을 감안하더라도 한국 밖에 나가면 거의 무조건 극우정당 취급을 받았을 것이라는 점에 대해 저도 매우 동감하는 편입니다. 과거 개발독재 지지자들이 주축이 되어 이어져 온 이들이 한국의 대표적 보수 우파라고 자임하지만 이념적 상대편에 대해 진정으로 첨예하고 격렬한 정치 행위없이 오로지 반공주의에 기대어 최근까지 상식적인 비판까지도 허용하지 않았던 것이 사실입니다. 오늘날 분단의 현실을 외면하자는 것이 아니라 그것을 자양분 삼아 키워온 편파적 반공주의에 무분별하게 몸을 실은 정치인들과 지식인들이 많은 것은 불행한 일이라 할 수 있겠죠.

그리고 일본의 넷우익들의 인종주의적 차별을 일삼고 있는 재일동포에 대한 인간이라면 누구나 누려야 할 법적인 보호를 거둬내고자하는 상황과 과거 수많은 다른 이들의 희생을 바탕으로 겪은 전쟁의 체화에 그 전쟁 시스템적 상황에 인간과 생명을 분리해 자기들 스스로 감정적 합리화에 나서고 있는 일본의 예술가들과 그 현상에 대해 논하고 있습니다. 가해자인 일본인들이 전쟁의 참상에서 인본주의와 생명을 찾는 것은 참으로 가당찮은 일입니다. 역사적 문제와 표리부동한 그 태도를 제대로 해결하지 않고 또 이처럼 자신들이 어쩔 수 없는 역사적 피해인들과 같이 동일하게 사고하는 것은 정말 역겨운 일입니다.

이렇게 우리나라와 일본에의 소위 극우 현상에 대해 여러 현상들을 통해 알려주고 본디 우리의 극우주의는 우파적 계몽주의에서 비롯되어 결국에는 파시즘과 가까운 이론적 현상이 있다는 것에 동의할 수 밖에 없습니다. 꽤 지금의 현실을 잘 정리해 글로 쓴 여러 집필인들의 노력이 느껴졌습니다. 개인적으로는 마지막 이택광 교수의 파시즘에 관한 글을 반복해서 읽어보시길 권유드립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