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한국전쟁 연구의 새로운 접근 ㅣ AKS 번역총서 8
스티븐 케이시 외 지음, 이상호 외 옮김 / 한국학중앙연구원(한국정신문화연구원) / 2017년 6월
평점 :
절판
이 책은 2010년 한국전쟁 60주년을 맞이하여 영국에서 발행되는 Journal of Strategic Studies 에 실렸던 논문들 중 런던정치경제대학교 교수인 스티븐 케이시가 편집한 6편의 논문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한국 내 출판은 과거 한국정신문화연구원이었던 한국학중앙연구원의 출판부가 담당을 했습니다.
익히 많은 분들이 접해보셨겠지만, 서구에서 정의를 내리고 있는 한국 전쟁은 ‘잊힌 전쟁‘ , ‘냉전을 빠르게 앞당긴 전쟁‘ 등으로 알려져있습니다. 시카고 대 브루스 커밍스 교수로 필두로 수정주의적 입장이 한때 팽배했지만 근래 러시아의 한국 전쟁 관련 비밀 문서들이 공개된 이후로 내외의 많은 한국 전쟁 관련 연구자들이 적지 않은 충격을 받았지요. 스탈린과 김일성간의 방대한 서로간의 통신 내용, 스탈린과 마오쩌둥의 한국 전쟁 당시 중국군 개입과 관련된 여러 문서 들이 포함되어 앞서 말한 연구자들에게 정신적 고통을 안기긴 했지만 이를 통해 더 현실에 가까운 연구가 이루어지는 단초가 되기도 했습니다.
이러한 기존의 한국전쟁에 관한 재평가가 이루어지고 있는 요즘에 같은 UN군으로 미국과 함께 참전한 영국의 학자들의 한국 전쟁과 관련된 논문을 접해보게 되는 것이 큰 의미였습니다. 특히 한국에 미군정이 시작되면서 다소 많은 미군 병사들과 미군정의 미국인들이 인종적인 편견에 사로잡혀 한국인들을 내려봤다는 점과 그것에 기반한 미국의 우월적인 편견에 더욱더 반감을 갖게 되는 한국민들과의 갈등이 자세히 소개되어 있습니다. 전통적으로 예의가 바른 한국인들은 과거 중국에게 기대했던 것처럼 미국에도 큰형의 역할을 바랬다는 주장도 흥미롭더군요. 일절 내정에 관여하지 않고 조언을 하는 위치에 국한된 과거 역대 중국 왕조와 한반도의 왕국들간의 관계의 실제적인 모습을 잘 인지하고 있다는 점도 놀라웠습니다. 그래서 지금도 미국에게 ‘큰형 리더십‘을 바라고 있는지도 모르겠군요.
그외에도 어정쩡한 미국의 관여가 1950년 6월 북한의 침공을 고무한 것은 부인할 수 없는 일이지만, 한국 전쟁에 신속히 개입함으로서 이러한 형님 리더십이 최종적으로 성공할 수 있었고, 이러한 양국간의 피를 나눈 경험이 현재 이르러서는 더욱더 한미 동맹이 성숙해질 수 있었다고 평가하고 있습니다.
반대편에서는 마오쩌둥과 스탈린의 갈등, 이를테면 중공군이 한국전쟁에 개입하려고 하는 마오쩌둥의 의도를 스탈린이 끝까지 의심하고 믿지를 못했다는 점과 스탈린 본인은 소련이 부동항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면서도 미국과의 확전을 매우 우려해 전쟁이 발발하고 나서 휴전까지 이 부분에 대해 많은 고민을 했다는 내용이 언급되었습니다. 특히 1951년 전반기의 벤 플리트 장군이 입안한 제한적인 통천 상륙작전과 평양과 원산을 잇는 지역을 확보하고 북한군과 중공군을 39도선 이북으로 몰아내는 작전에 대한 언급도 흥미로웠습니다. 이 부분은 결국 리지웨이 사령관으로부터 거부되었지만 만약 이 작전이 입안되어 결정되었다면 매우 성공 가능성이 높았을 것이고, 당시의 중공군에 강요된 피해와 다시 재정비를 하기까지 걸리는 소요 시간을 감안했을 때 모스크바와 베이징이 확전을 감수하기까지는 매우 어려웠을 것이라고 밝히고 있습니다.
더불어 영연방이 행한 UN내의 한국 전쟁과 관련된 외교적 압력과 특히 중국쪽에 개입하려고 했던 여러가지 노력들에 관한 내용들과 포로 문제와 사상자 보고와 관련된 논문들도 소개되어 있습니다. 그동안 한국 전쟁과 관련된 여러 책들을 통해 맥아더와 트루먼 대통령의 갈등, 전쟁 초기 미군의 초기 지휘 문제, 그 이후 미국의 핵무기 사용의 검토 등과 관련된 글은 자세히 언급되지는 않지만 새롭게 논의되는 글들이 주를 이뤄 이 책을 읽는 분들도 크게 호기심을 갖게 되리라 여겨집니다. 개인적으로는 한국 전쟁은 앞으로도 계속 논의가 되어야 하고 이와 관련된 학문적 연구 또한 오래도록 지속되었으면 하는 바람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