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쪼가리 자작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241
이탈로 칼비노 지음, 이현경 옮김 / 민음사 / 2010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반쪼가리 자작-이탈로 칼비노-

반쪼가리 자작은 이탈로 칼비노의 ‘우리의 선조들 3부작중 하나이다. 이 책은 17세기에 터키와의 전쟁에 참전한 테랄바 의 메다르도 자작의 이야기이다. 메다르도 는 젊은 혈기로 인한 부주의로 터키군의 대포에 몸이 두 쪽으로 나뉘게 된다. 두 쪽으로 나눠진 그는 막사의 의사들에 의해 살아나게 되고 그는 영지로 돌아오게 된다. 하지만 그는 몸이 두 쪽으로 나누어지면서 선 과 악이 분리된 채 악한면만 영지로 돌아오게 되고 사람들은 그의 악한 행동을 두려워하게 된다. 그러던 어느 날 영지에 나머지 반쪽인 선한 자작이 오게 되고 영지의 주민들은 너무나 악한반쪽과 너무나 선한 두 자작의 행동에 괴로워하게 되고 결국 그들은 양치기의 딸 파멜라 와의 결혼을 계기로 싸움을 하다 한 몸을 되찾게 된다. 환상적으로 보이는 이 소설을 통해 칼비노는 인간의 선 과 악을 재조명해 우리에게 통렬한 표현을 통해 도덕적인 자괴감으로 인해 상처받고 숨으려 하는 현대인들의 인간상을 간접적으로 묘사하고 있는데 우리는 여기에서 선 과 악으로 분리된 메다르도 자작을 통한 불완전한 인간의 도덕성과 성격을 파악하고 느껴 볼 수도 있다. 이 소설은 메다르도 자작을 통해 여러 가지 인간의 불완전한 면들을 감상하는데 우리는 여기서 두 자작의 행동에 괴로워하는 사람들을 통해 여러 가지 모습들을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의사의 본분보다 자신의 지식적 탐구와 욕망을 중요시한 트릴로니, 자신이 만드는 것들이 끔찍한 일을 한다는 것을 알지만 자신의 일에 최선을 다하는 피에트로키오도, 물질적 쾌락만을 중요시하는 문둥이들, 자신들의 종교의 의미를 모르면서도 맹목적으로 종교윤리만 강요하는 위그노들을 통해 우리는 칼비노가 메다르도 자작만이 아닌 주변 인물 들을 통해 우리에게 얼마나 많은 불완전한 인간상을 보여주는지 알 수 있다. 나는 이 소설을 통해 현대인들의 겉 모습 과는 달리 많이 불완전하고 소외당하고 고민하는 것을 느꼈었다. 칼비노는 이러한 환상적인 동화적 이야기를 도피용이 아닌 사회를 면밀히 관찰하는 도구로써 독자들에게 신비스러움과 변화무쌍함을 느끼게 한다. 우리는 그의 소설을 통해 단지 그가 어려운 사회문제를 환상적으로 풀어 놓았다고 생각하지말고 그가 동화적인 요소를 통해 재미와 함께 교훈을 준다고 생각하면 좋을것이다.

 

*우리 아들이 <반쪼가리 자작>을 읽은 후 써놓은  독후감 숙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