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서바이브
알렉스 모렐 지음, 이영아 옮김 / 북폴리오 / 2012년 8월
평점 :
절판

<살아있으니까 괜찮아....: 서바이브>
전미 대륙과 유럽의 청소년들을 감동시킨 화재작이라는 <서바이브>는 알렉스 모렐의 데뷔작이이며 삶의 의미에 대한 탐구를 다룬 작품이다. 데뷔작이라기에 조금쯤은 어설픈 감정처리 혹은 앞뒤가 맞지 않는듯 이질적인 느낌이 어딘가에서 발견되지는 않을까 살펴가며 읽었는데 별로 흠잡을 구석이 없는 작품이었으며 삶과 죽음의 경계에 선 한 소녀의 아픔이 손에 잡힐듯 다가와 아련히 퍼져나간다. 아버지의 자살로 인해 죄책감을 가진 소녀 제인 솔리스. 그 마음의 짐을 깊은 곳에 숨겨둔 채 반항하며 홀로 투쟁하듯 하루를 살아가는 아이. 결국 아이는 엄마의 손에 이끌려 정신과 병동에서 치료를 받지만 어느 누구도 그녀의 마음에 들어올 수 없었으며 그녀의 아픔을 치유하지 못한채 자신만의 세계에 갇힌다. 자살 충동에서 벗어나지 못한 제인은 급기야 영악한 방법으로 크리스마스 휴가를 이용한 자살 방법을 모색하고 6개월동안 병원의 모든 이들에게 괜찮아졌다는 메시지를 보내어 크리스마스 휴가를 떠나게 된다. 아빠의 죽음을 인정하지 못한 채 남편의 그림자를 좇는 엄마에게로...
병원 관계자의 눈을 속여가며 수면제와 기타 비슷한 약들을 구입하고 비행기 안에서 자살하겠다는 결심을 굳힌 제인. 그러나 예기치못한 기상 변화로인해 제인의 자살기도는 무위로 돌아가고 그녀가 탔던 비행기는 로키 산맥 어딘가에서 부딪혀 산산조각났고 제인에게 찾아온 암흑... 자살하려고 들어왔던 비행기 화장실이 그녀의 목숨을 살릴줄 누가 알았겠는가. 그녀는 여기저기 아픈 몸을 이끌고 비행기에서 나왔고 그때 벼랑 아래에서 살려달라는 한 남자의 목소리가 들린다. 폴이라는 이름의 소년은 제인 옆자리에 앉았었고 제인은 벼랑과 나뭇가지에 걸린 채 안전벨트에 묶여있는 그를 구하게된다. 할 수 없을것이라 여겼던 일을 해내고 폴을 안전하게 구한 제인에게 올드 닥터가 해줬던 말이 떠올라 몸을 움직이게 하고 생각을 거듭하게 했으며 그 결과 폴을 안전하게 눈덮인 설원 위로 끌어당길 수 있는 힘을 얻게되었다. - "계속 그 자리에 머물러 있기만 하면 안 된다. 제인. 천천히 시들다 죽지 않으려면 스스로 일어나야 해. 그래야 행복해질 수 있지." -
그리고 폴과 제인은 구조요청을 위해 산맥 정상에 오르기로 하는데... 여기서부터 폴과 제인의 숨가쁘고 아찔한 장면들이 수없이 나타나 독자들의 온몸을 움찔거리게 만들듯하다. 암벽 등반을 해본적 없는 제인과 한몸이 되듯 그렇게 숨가쁘고, 서로의 체온을 나눠야만 살아남을 수 있는 엄청난 추위 속에 우리들도 내던져진듯 몰입하게 된다. 아버지의 자살로 인해 제인의 마음에 병이 들었다면 언제나 낙관적이며 즉흥적인듯 보여지는 폴 역시 마음 한가득 아픔을 간직한 아이였고 두 사람의 처절한 생존기는 많은 이들의 가슴 속에 남을듯하다. 숨막히는 추격전이나, 가파른 사건 전개는 없었지만 나도모르게 작품에 동화되는것을 느꼈으며 가늠할 수 없는 추위와 눈보라에 갇힌듯 <서바이브>에 갇혀버린 느낌이든다.
때때로 우리들은 어떤 경로를 통해 만들어졌던간에 내보이고싶지 않은 죄책감을 안고 살아간다. 다만 그 강도가 얼만큼이며, 이겨낼 수 있는 마음의 힘이 얼만큼이냐에 따라 마음에 병이 들고 안들고의 차이로 나타날 수 있다는 생각을 해본다. 사랑하는 사람이 죽었는데 왜 나는 살아있느냐는 제인의 말. 죽으려했던 자신은 살아있고 사랑하는 사람과의 행복한 미래가 있었던 비행기 탑승객은 죽었으며 그로인해 살아남은 제인은 또다른 죄책감에 아파하는 장면이 오래도록 기억에 남을듯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