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인생이 행복해지는 긍정의 심리학
로버드 D. 아이셋 지음, 이문영 옮김 / 소울메이트 / 2012년 5월
평점 :
절판


<내 인생이 행복해지는 긍정의 심리학>

이 책에 실려있는 방법과 개념은 아이셋 박사가 여러 해 동안 개발하고 시험한 내용이다. 긍정 심리학은 인지행동요법의 개념에 뿌리를 두고 있으며 인지행동요법은 심리 기능과 정서 건강을 향상시키기 위해 생각을 바꾸는데 집중하는 심리치료요법을 일반적으로 일컫는 용어라고 한다.

 

행복이란? 우리는 언제 가장 행복함을 느낄까? 아이가 태어났을 때, 집을 장만했을 때, 가전제품 혹은 자동차를 새로 구입했을 때,,, 매일이 축복이고 매일이 행복한 사람이 있는가하면 매일이 힘들고 불평하며 행복하지 않는 사람도 있는데 대다수의 사람들은 가끔씩만 행복함을 느낀단다. 생각해보니 나도 특별한 일이 있을때만 행복함을 느끼는것 같다. 그것이 물질적인 것만을 말하는건 아니지만.  무엇인가 자신의 욕구가 충족되었을 때 치솟는 행복은 시간이 지나면 그 느낌은 점차 사라진다. 이런 물질에서 행복을 느낀다면 우리는 가끔씩만 행복할뿐이니 지속적인 행복을 느끼기 위해 외부적인 요인에서 행복을 좇지 말아야한다. 물질 혹은 사건에 대한 나의 생각이 검정을 일으켜 행복을 느낀다면 연례행사처럼 찾아오는 행복을 기다릴뿐이다.

 

그렇다면 늘 행복하기 위해선 어떻게 나를 바꾸어야 하나? 나를 바꾸기 보다 나를 행복하게 하기 위해 무엇을 해야하고 무엇을 차단해야 할까?... 연례행사, 또는 월벌,주기별로 행복한게 아니라 늘 행복을 느끼려면? 생가과 감정의 분리가 먼저 이루어져야 한단다. <긍정의 심리학> 중간즈음 아이셋 박사의 연구과정이 들어있는데 조금은... 웃음이 났다. 연구 조교와 새로운 인물을 창조하고 질문하여 그 대답을 연구하는 박사. 그러나 그 질문이나 답변 또한 새로운 인물이 아닌 조교의 답변임을 생각하니 조금 우스웠다. 차라리 불특정 다수에게 질문하고 답변하는 연구를 했더라면 수긍했을텐데...

 

감정은 생각에서 비롯되며 외부적인 사건을 통제하는데 한계가 있지만 사람은 생각을 결정할 능력이 있다. 그러나 생각이나 감정은 이전에 경험했던 무엇의 산물이고 그 상황이나 사건이 개인에게 미치 영향력의 찌꺼기로 남아 이후의 감정이나 생각을 결정하는게 아닐까? 물론 아이셋 박사의 연구에 따르면 외부적 요인에의해 감정이나 선택을 분리해 더 나은 방향으로 결정할 수 있지만 그게 참 쉬워보이지는 않는다. 복잡하게 따질 것 없이 아이셋 박사의 조언 몇가지만 기억하여 언제든 불평,불만,불안,칭찬에 의해 내 행복이 결정된다 느껴질때 감정과 생각의 분리를 의도적으로 해봐야겠다. 복잡하게 생각할것 없이 늘 긍정적인 생각을 하자. 감정에 의해 좌우되지 말고 내가 선택할 수 있는 생각에 초점을 맞추어 생각을 바꾸면 세상이 달라보인다. 라고 말할 수 있지 않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