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현
김인숙 지음 / 자음과모음(이룸) / 2010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소현>
정조의 아버지 사도세자와 마찬가지로 비운의 세자로 우리들에게 각인되었던 소현세자... 패국이 견뎌야하는 슬픔을  간직한 채 온몸으로 울음을 삼켰던 소현.  입밖으로 내보내지도  못하는 울음을 온몸에 담고 부릅뜬 눈으로 오롯이 조선의 부국 강병을 꿈꾸었던 청나라의 볼모생활 중 발전된 나라의 문화를 온몸으로 받아들이려 했지만 어느 곳에도 소현세자의 자리는 마련되어 있지 않았다.   오랜세월 명나라를 대국으로 받들었던 조선은 청나라와의 전쟁에서 무참히 패했고, 온전한 산천초목이 없을만큼 폐허가 된 조선의  세자와 대군들은 청의 볼모로 잡혀간다.  새로운 승자로서 조선과의 관계는 껄끄럽기만 하고  섭정왕 도르곤이 소현에게 보이는  친밀함과  세자의 행보는  아버지 인조의 정적으로 인식된다. 

그리고 청나라의 신임과 백성들의 간절한 소망을 이루어줄 미래의 군주였던  소현세자는 청나라에서의 길고 긴 볼모 생활을 끝내고 환국하지만  아버지의 정적이 되어버린 아들은 한 나라의 왕이자 아비였던 인조에의해   슬픔으로 얼룩진 고단한 삶을 내려놓는다. 지금은 아니더라도, 헐벗고 굶주림에 지쳤더라도 훗날에는 반드시 부강한 조선을 꿈꾸며 이리 행동하고 저리 생각하면 저 멀리 조선에 계신  아버지에게로 자신의 진실된 마음이 와닿을까 고뇌하며 보냈던 아픔의 세월이건만 끝끝내 소현세자의 마음은 조선에 와닿지 못한다.  소현세자가 통한의 세월을 보내야만 했던 길지않은 삶이 정확하게 기록되었다면 좋으련만 역사는 비운의 세자를 위해 많은 자리를 남겨두지 못한듯하다. 

                           

역사에 관심이 많아 이러저러한 후일의 설정과 책을 여러차례  봤지만 그나마도 이러했다면 이러한 역사가 될수도 있지 않을까 싶은 마음의 울림이었는데  김인숙 장편소설 <소현>에서는 이러저러한 역사와 가정을 떠나서 그 시절을 견뎌내야 했던 소현의 울음과 조선 백성의 눈물이 소금이 되어 책 읽는 내내 마음에 흘러내렸다.  이런 글이 살아있는 글이었나... 몇일 전부터 소현을 읽기 시작하고 오십여 페이지를 넘기기도 전에 소현의 슬픈 고독이 울림이 되어 찾아왔고 ,전쟁의 잔해가, 소현 세자가 끝내 내뱉지 못했던 울음이, 가난하고 헐벗은 삶이지만 희망 한 줌 마음속에 걸어두고 언젠가는 좋은 날이 올것이라는 그들의 소망이 덧 칠해지는 기이한 느낌을 받기도 했다. 책속으로 빨려들어간다는 느낌이 이런 느낌인가...그 시간 속에 내가 있었던듯한 느낌이 이런 느낌인가... 김인숙 작가의 장편소설 <소현>은 비운의 세자 소현의 짧은 생애를 그렸다기 보다 우리의 선조들이 지나왔던 아픔의  세월을  몸 속에 가득찬 소현의 울음으로 표현하고자 했던것은 아니었을까 하는 생각을 해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