존 카밧진의 마음챙김 명상 - 당신이 어디에 가든 당신은 그곳에 있다
존 카밧진 지음, 김언조.고명선 옮김 / 물푸레 / 2013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새벽 3시!

초저녁에 잠이 들었던 탓인지 악몽을 꾸었던 것도, 어떤 큰 소리에 놀란 것도 아닌데 이른 시각에 잠이 깼다.  시계를 확인하고 다시금 잠을 청해보지만 한번 달아난 잠은 그예 찾아오지 않았다.  몇 번을 뒤척이다가 결국엔 불을 켜고 일어났다.  잠은 이미 멀찍이 달아났고 이 느닷없음에 멀뚱할 수밖에 다른 도리가 없다.  거실의 시계는 마치 처음인 양 뒤뚱뒤뚱 서툰 발걸음을 내딛고 있었다.

 

이 새벽에 누군가 세차를 하는지 고압 세차기 소리가 요란하다.  세차장 옆으로 굽이 도는 도로가 있다.  새벽의 텅 빈 도로를 이따금씩 굉음을 내며 질주하는 차량들.  도시의 밤은 누군가에 의해 언제나 깨어있다.  새벽의 적막이 삶의 무게처럼 어깨를 짓누른다.  그 고요 속에서 잠시 호흡을 고르고 나는 깊은 생각에 빠져들었다.  나고 드는 숨소리만 적막 속에 던져지고 있었다.

 

고등학교 2학년 여름방학이었나.  우연한 기회에 참선을 배운 적이 있었다.  정암사의 뒷산을 오르면 부처님 진신사리를 모셨다는 수마노탑이 보인다.  그 길을 뒤로하고 가파른 산길을 따라 1시간 반쯤 오르면 산의 능선이다.  산이 높아 큰 나무도 보이지 않는 수풀만 무성한 평지의 바로 아래쪽에 작은 암자가 하나 있다.  나는 과일과 음식으로 가득 채워진 바랑을 메고 그 암자까지 스님과 동행했었다.  암자에 이르러 그때 스님이 끓여주었던 소면을 나는 지금도 잊지 못한다.  큰 솥에 물을 펄펄 끓인 후 족히 7,8인분은 되어 보이는 국수 한 다발을 통째로 넣은 것까지는 좋았는데 정작 국수를 먹을 사람은 나와 다른 한 사람뿐이었다.  스님은 그때 막 단식을 끝낸 후였다. 곁에 자리를 잡고 앉아 많이 먹으라는 응원 겸 반협박의 말씀.  가뜩이나 사찰 음식은 남기는 법이 없지 않은가?  그 많은 국수를 찬도 없이 꾸역꾸역 밀어 넣는 데는 성공했는데 바닥에 흘린 국수 몇 올은 차마 주워 먹을 수 없었다.  스님은 다 비운 솥을 치우며 바닥의 국수도 싫은 내색도 없이 주워 드셨다.

 

아주 맑에는 날에는 동해 바다가 보인다는 태백산맥의 능선 어드메쯤의 그곳에서 나는 스님과 보름을 묵었다.  스님은 내게 무료한 시간을 그냥 흘려보내지 말고 참선이나 배워보라며 권했고 바람소리와 새소리뿐인 그곳에서 나는 결가부좌를 틀었었다.  사람의 생각은 의식하는 순간 수천,수만 가지의 생각으로 바뀐다.  도시의 소음이 배제된 고요가 더해지면 그 빛깔은 더욱 선명해진다.  나는 달아나는 생각들을 뒤쫓느라 진땀을 뺐고 내가 죽고 시간만 살아 펄펄 뛰던 그때의 기억을 지금도 잊지 못한다.

 

 의사인 동시에 마음챙김(mindfullness)에 근거한 스트레스 완화 명상 프로그램을 개발한 명상 전문가 존 카밧진의 <마음챙김 명상>을 읽었다.  사실 이 책은 명상 서적으로 분류하기도 좀 애매한 구석이 있다.  왜 명상을 해야 하는지, 어떤 마음가짐으로 또는 어떤 자세로 명상을 대해야 하는지에 대한 일반적이고도 보편적인 명상 입문서 내지는 삶의 지침서라고 해야 옳을 것이다.  참선에 대해서도 초보적인 지식만 습득한 내가 이런 평가를 하는 것은 조금 건방져 보일 수도 있겠다.  그러나 '명상'이라는 말이 책의 제목으로 들어감으로써 우리가 갖게 되는 어떤 선입견, 가령 어렵다거나 종교적이라거나 나와는 거리가 멀다거나 하는 생각으로부터 벗어나기 위해서는 이와 같은 명상 입문서가 유용하다 하겠다.

 

나는 가끔 내 주위의 사람들이 벼랑 위에 서 있는 사람처럼 아슬아슬해 보인다고 느낀다.  좁은 칼날 위에 서서 불안감에 이쪽으로도 저쪽으로도 마음 편히 기울지 못하는 듯 보이기 때문이다.  '시퍼런 칼날 위에 선 경계인', 그것이 현대인에 대한 정확한 표현일지도 모른다.  그런 상태에서는 항우장사라도 정신병자가 되지 않을 도리가 없다.  명상이 필요한 이유는 바로 거기에 있다.  고질적인 불안감에서 벗어나 지금 사는 순간에 자신의 마음을 편히 내려놓을 수만 있다면 삶은 곧 축복이고 감사의 마음으로 다가갈 수 있을 것이다.

 

"우리가 가야 할 진실한 길을 찾기 위해서는 '지금 이 순간'에 더 많은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을 것이다.  지금의 순간은 우리가 그 안에서 살고, 성장하고, 느끼고, 변화하기 위한 유일한 시간이다.  우리는 과거와 미래라는 괴물의 믿을 수 없을 만큼 강력한 흡인력과 맞서기 위해, 또한 우리의 실제 삶 대신에 과거와 미래가 우리에게 제공하는 공상의 세계에 맞서기 위해 더 많이 경계하고 깨어 있을 필요가 있을 것이다."    (16쪽)

 

저자의 명상법은 분명 불교의 참선과는 많은 면에서 다르다.  자신의 마음을 '화두'라는 틀 안에 가두고 무아의 경지에 도달하고자 하는 불교식 명상에 반하여 마음챙김 명상은 시시각각 변하는 마음의 움직임을 그저 인식할 뿐 제지하거나 가두려 하지 않는다.  그것은 일종의 '살아 있음'에 대한 자기 확신, '지금 이 순간'에 대한 명징한 인식을 중요시하기 때문이다.

 

저자는 <월든>의 저자 헨리 데이비드 소로우나 <풀잎>으로 유명한 미국의 시인 월트 휘트먼을 자주 언급한다.  어쩌면 이 두 사람은 자신의 삶을, 자신이 살았던 순간들을 수도자가 아닌 일반인으로서 가장 분명하게 인식했던 사람이기도 하거니와 평생을 두고 그렇게 살고자 노력했던 사람이었기 때문일 것이다.  내가 사는 시간과 내가 느끼는 생각의 일치,  지금 존재하는 이 순간과 내가 하는 행위의 일치는 불일치와 부조화에서 오는 모든 불안과 삶의 부정으로부터 우리를 지켜줄 것이다.  명상은 그 자체로 빛난다.  어떤 경지에 이르고자 하는 목표나 과업이 아닌 생활 그 자체에서 말이다.

 

"미음챙김의 과업은 우리가 처한 모든 순간에 생명력과 활기가 넘치는 깨어 있는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다.  깨어 있는 상태에서는 모든 것이 영감을 불러일으킨다.  어떤 것도 영의 영역으로부터 제외되지 않는다."    (328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