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을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숲에서 길을 잃었던 경험은 누구에게나 있을 것이다.
매년 이맘때쯤 신록이 우거진 숲에 들어서면 대낮에도 어두컴컴하게 마련이고, 오르는 산이 초행길이라면 사방을 구분한다는 것이 여간 어렵지 않다.  한참을 길을 잃고 헤매었는데 자신이 서있던 그 위치를 맴돌고 있을 뿐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을 때의 두려움.  그 서늘한 기운을 아마도 잊지 못할 것이다.
내가 어린 시절을 보냈던 강원도의 산골에서 길을 잃었던 적이 있었다.
지금처럼 놀거리가 많지 않았던 그 시절에 산은 아이들의 놀이터요, 자연 학습장이며, 조용히 생각에 잠길 수 있는 비밀 아지트였다.  또한 마땅한 찬거리가 없었던 시골에서 산은 계절의 풍미를 더해주는 보물창고와도 같은 것이었다.  봄이면 갖가지 산나물을, 가을에는 각종 버섯과 더덕이며 도라지로 또 한 계절을 살아갈 힘을 얻었으니 말이다.
어느 해 가을.  나는 친구 한 명을 대동하고 버섯을 딸 목적으로 마을에서 멀리 떨어진 제법 높은 산으로 향했다.  그곳은 비 온 다음날이면 글쿠버섯이며 싸리버섯이 떨어진 솔잎을 뚫고 소복히 올라오는 곳이었다.  갈색 솔잎과 버섯의 색깔이 비슷하여 시선을 땅에 두고 집중하여 살피지 않으면 여간해선 찾기 어려웠다.  우리는 서로 떨어져 버섯을 따고 해가 지기 전에 만나자고 약속하였다.  그렇게 얼마가 지났을까 버섯을 찾아 없는 길을 헤치며 돌아다녔더니 속도 헛헛하고 금세 해도 질 듯하여 친구를 여러번 반복해서 불렀지만 대답이 없었다. 
더럭 겁이 났다.  울창한 참나무 숲에선 하늘도 보이지 않았다.  그제사 나는 길을 잃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그렇게 한동안을 헤매던 나는 나를 찾는 마을 사람들의 목소리를 듣고서야 간신히 산을 내려올 수 있었다.  버섯 따는 재미에 나는 시간이 가는 줄도, 길을 잃었다는 사실도 까맣게 잊고 있었던 것이다.  
산자락이나 산의 정상에서 바라보면 그렇게 쉽게 찾을 듯한 길도 산의 중턱에 이르면 길을 잃을 수 있다는 것을 나는 어린 나이에 알게 되었다.

국가경제는 좋아지고 있다는데 체감하는 서민경제는 어렵기만 하다.
중산층이 빈곤층으로 전락하고 있다는 뉴스를 자주 듣는다.  이럴 때마다 내게 드는 생각은 다들 중산층이라고 말하는데 중산층의 정확한 기준이 무엇이냐 하는 것이었다.
개인마다 생각하는 기준이 다르고 그 차이도 천차만별이다.  
 경제협력개개발기구(OECD)는 전체 근로자를 소득 순으로 줄을 세웠을 때 정중앙에 있는 사람의 소득인 중위(中位)소득을 기준으로 50% 미만을 빈곤층, 50~150%는 중산층, 150% 이상을 상류층으로 분류하고 있다고 한다.  그런데 이런 기준을 사람들은 납득이나 할까?
나는 다분히 문학적인 기준으로 이렇게 말하고 싶다.
산의 정상에 위치해 있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상류층, 산의 중턱에 있는 사람은 중산층, 산자락에 있는 사람은 빈곤층이라고 분류한다면 조금 쉽지 않을까?
산의 정상이나 산자락에 있는 사람들은 길을 묻지 않는다.  아니 물어 볼 필요도 없다.  훤히 잘도 보이니 굳이 묻지 않아도 길을 찾을 수 있으니 말이다.  그러나 중턱에 있는 사람들은 길을 끝없이 물어야 한다.  
우리네 인생도 그와 같지 않을까?  인생에서 길을 잃었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은 분명 중산층이다.   그 기준은 명확하다.  책을 통해서든, 정상에 오른 사람에게든, 내가 가야할 길을 묻고 있다면 나는 지금 중산층인 것이다.  산자락으로 내려가게 될지, 정상으로 오르게 될지 아무도 알지 못한다.

올처럼 무덥고 습한 날씨가 지속된다면 통통한 버섯이 많이도 올라오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