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들의 답장을 기다리며 - 자폐아 아들과 좌충우돌 살아가기
채영숙 지음 / 좋은책(단행본) / 2003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몇 년 전 자폐아 배형진군을 모델로 한 영화 <말아톤>이 세간의 주목을 받았었다.

자폐증을 앓고 있는 한 청년이 마라톤을 통해 사회와 소통해 나가는 과정을 그린 영화로 조승우와 김미숙이 열연하여 많은 사람들로부터 감동의 박수갈채를 받았던 작품이다.  그러나 그 감동이 자폐아와 그 부모의 삶을 이해하고 공감하는 계기로 작용했다는 것에는 여전히 의문스럽다.

이 땅에서 장애인으로 산다는 것, 장애인을 가족으로 품고 살아간다는 것은 천형에 가깝다.  나는 그렇게 믿고 있다.  비장애인을 아들로 두고 있는 나는 이책을 읽는 내내 '아, 나는 정말 행복한 사람이구나!'라는 말을 얼마나 많이 외쳤었던가.

남의 불행에 견주어 나의 행복을 확인하는 알량한 이기심이 '공감'이라는 말로 포장되려는 순간, 나는 어찌할 수 없는 좌절을 맛보았다.

 

이 책은 자폐아 호민이를 특수학교가 아닌 일반학교에 보내고 겪어야 했던 여러 경험들을 호민이 엄마 채영숙님이 글로 옮긴 것이다.

첫째를 사산하고 둘째로 태어난 호민이는 30개월이 되었을 때 자폐아 판정을 받았다.

세째가 8개월만에 태어났지만 20여 일만에 세상을 떠나 외둥이로 자라게 된 호민이.

 '지금 아이를 데려가세요, 하나님!  저렇게 답답한 가슴으로 평생을 살아야 한다면, 정말로 그래야 한다면, 세상에서 덜 상처받았을 때, 해맑은 웃음이 조금이라도 남아있을 때, 지금 데려가 주세요!'(P.13) 이렇게 기도했던 아이는 남들보다 조금 늦은 아홉 살에 특수학교가 아닌 일반학교에 입학했고, 초등학교를 무사히 졸업하기까지 호민이와 엄마가 겪어야 했던 많은 일들을 작가는 담담한 필체로 기록하고 있다.

조용하고 내성적인 성격의 여인이 자폐아를 아들로 두면서 '천사'가 아닌 '전사'가 되어야 했다는 그녀의 고백과 사회적 편견에도 불구하고 자신과 호민이에게 따뜻한 시선과 배려로 힘을 더해준 주변 사람들의 이야기는 코끝을 시큰하게 했다.

 

약자에 대한 배려와 보살핌이 없는 사회는 결코 건강한 사회라 말할 수 없을 것이다.

국민이 말하지 않아도 정부가 앞장서 약자를 위한 예산을 편성하는 나라가 있는가 하면 국민이 원해도 그 예산을 삭감하는 나라도 있다.

우리 나라는 곧 초고령 사회가 된다.  강자보다는 약자가 많아지는 사회가 되는 것이다.  사회적 편견을 버리고 약자를 배려하며 더불어 살아가는 따뜻한 사회를 만들지 못한다면 내게도 예외란 있을 수 없다.

나는 리뷰를 쓰기 전 작가의 블로그를 방문했었다.

이 책이 다음 칼럼에 실렸던 것을 책으로 엮었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그녀와 호민이의 현재 모습이 몹시 궁금했었던 이유가 더 컸다.

'더디 자라지만 아들과 쉬엄쉬엄 순리대로 살아가기'라는 글귀가 나의 시선을 한참이나 머물게 했다.

나는 오늘도 '사회적 편견이 없는 더불어 사는 사회를 만들자'는 헛된 구호를 외치며 대답없는 메아리를 기다리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