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절한 시기에 적절한 의사결정을 한 후 빠르게 실행에 옮기고 잘못됐다고 판단되면 끊임없이 의사를 조정하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김미경의 인생미답 - 살다 보면 누구나 마주하는 작고 소소한 질문들
김미경 지음 / 한국경제신문 / 2016년 5월
평점 :
절판


많은 자기개발서들은 이 삼십대를 타겟으로 한다.
아마도 당연한 일이다. 십대는 스스로 무언가 결정하기에 아직 너무 어리고,
사십이 넘어가면 새로운 도전을 하기엔 너무 보수적이다.

하지만.. 이제 마흔이 된 나는 알겠다.
나이 마흔에도 여전히 불안하고, 수많은 선택들이 어렵기만 하고...
인생의 스승 한 명 쯤 있었으면 하고 간절히 원한다는 것을...

지금의 선택들은 스물이나 서른의 선택보다 훨씬 더 어렵다.
선택지는 점점 줄어들고, 선택을 제약하는 환경들은 점점 많아진다.
좀처럼 변할 수 없을 것 같지만, 그럼에도 지금 이 현실에 안주하기는 싫다.

그래서 결국 나이 마흔에도 여전히 자기개발서를 기웃거리게 된다..

자기개발서를 읽다보면 의례히 밑줄을 긋게 된다. 마치 좋은 말들의 향연처럼,
기억해야할 문장들이 넘쳐난다. 하지만 또 쉽게 잊혀진다.
그 좋은 글들은 좀처럼 내 속에서 어떤 새로운 힘을 만들어내지 못하고 사라져버린다.
그래서 난 자기개발서를 다 읽고 나서 어느 한 문장이라도 기억에 남는 말이 있다면
그 책을 읽을 가치가 있다고 생각한다.

언니의 독설로 처음 알게 된 김미경의 글은 시원시원하다. 그리고 그녀의 책 제목처럼,
가장 나와 유사한 처지에 놓인, 그래서 나를 잘 아는 언니가 해주는 충고이기에 더 와닿는다.
하지만 가끔 이것이 저자 김미경의 한계일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들때가 있다.
그녀는 바로 "언니"라는 여성에 갇혀있는게 아닌가 하는...
인생미답에서도, 남/녀 모두 공감할 수 있는 이야기가 없는 건 아니지만,
그럼에도 그 자신의 위치에 갇혀있다는 생각은 여전하다.
만약에 남성이라면, 만약에 아직 결혼하지 않은 미혼(혹은 결혼 생각이 없는)이라면,
자녀가 없다면 등...
그녀와 다른 인생을 사는 사람에게도 그녀의 충고는 여전한가 나는 잘 모르겠다.

하지만.. 적어도 나는 그녀의 이야기에 상당부분 공감한다.
나는 여자고, 한 아이의 엄마이면서, 일을 하고 있는 직장 여성이니까...
그리고 무엇보다 이 인생미답에서 난 나의 한 문장을 찾았다.
이걸로 이 책은 나에게 충분하다..

"나는 아직 나의 가장 좋은 시절에 도달하지 못했다"
어쩌면 이 말은 사실이 아닐지도 모른다.
앞으로의 나는 사랑때문에 잠 못 자던 스무살의 설레임도 없을 것이고,
자신감 넘치던 서른살의 ~ 없을 것이다.
지금의 난 이미 노안을 걱정해야 하는 나이이고..
나보다는 가족에 대해 고민해야 하는 나이이고,
스스로 일을 하기보단 사람들로 하여금 일을 하게 만들어야 하는 나이이다.
나는 나의 능동성을 잃어가고 있다.

그럼에도 나는 "나는 아직 나의 가장 좋은 시절에 도달하지 못했다" 이 문장이 너무 좋다.
그것은 나로 하여금 더이상 별것 없을거란 생각이 틀렸을지도 모른다고 말해주는 위로(충고)이고,
여전히 더 행복한 시절이 남아있을 것이라는 희망이다.
나의 가장 좋은 시절에 대한 희망은 수많은 제약에도 다시 나를 다시 설레이게 만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삼대육아
백서우 지음 / 첫눈 / 2016년 8월
평점 :
절판


흔히들 결혼은 인생의 전환점이라 이야기한다.. 새로운 가족을 만드는 일..
하지만 막상 결혼전의 나와 결혼 후의 나를 생각해봤을때 큰 차이를 느끼진 못했다..
차이라면 혼자 살던 집에 동거인이 한명 늘었다는 정도.. 결혼 전 친구와 함께 꽤 오래 자취생활을 했던 나에게 결혼 생활은 그저 동성 친구가 아닌 남자 친구와 함께 사는 일 정도일 뿐이었다..
하지만 출산과 함께 내 생활은 완전히 달라졌다..
인생에서 가장 큰 전환점은 아마도 대학진학도 취업도 결혼도 아닌 출산일 것이다..

출산을 하고 워킹맘이 되면서 나는 나의 의지만으로는 어찌할 수없는 수많은 상황들을 경험하고 좌절하고 상처 받았다.. 그리고 언제나 나와 함께 이야기해줄 친구가 고팠다.. 그건 친구가 없어서가 아니라 친구를 만날 시간조차 없었기 때문일 것이다..

이 책을 읽으면서 나는 오랫동안 고팠던 수다를 한바탕 떤 시원함을 느꼈다..
시댁과 남편 뒷담화와 뜻대로 되지 않는 육아.. 회사에서도 가정에서도 부족한 것만 같은 자신에 대한 넋두리..
웃으며 또 한편으론 뭉클해하며 그렇게 내 가족같은 가족의 이야기를 뚝딱 읽고나니 사랑하는 내 가족을 만나러 가는 발걸음이 빨라졌다..

우리에게 공감보다 큰 위로가 있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우리의 관계를 지치게 하는 것들
라파엘 보넬리 지음, 송소민 옮김 / 시공사 / 2014년 4월
평점 :
절판


내 잘못이 아니야 란 말이 주었던 위로와 자기연민..
그럼에도 불구하고 내 선택이었던 일들에 대한 반성과 성찰..
어쩔수 없는 80%에 대한 위로보다 어쩔수 있는 20%에 대한 용기를 주는 책..

결국 또다시 선택은 나의 몫!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전출처 : 눈부처 > [장하준 교수와의 만남] 그들에게 말해주고 싶은 그의 이야기

 

 

들뜬 크리스마스를 보내고, 정말이지 살을 에는 듯한 추위를 뚫고 장하준 교수의 독자와의 만남 자리에 다녀왔다.
장하준 교수를 처음 알게 된 것은 신문지상에서이다. 경제학 교수 그것도 해외 명문대 경제학 교수가 쓴 한 권의 책이 그 해의 베스트셀러가 되었다. 재테크나 생활경제관련 서적일 리는 만무한데 도대체 어떤 책이길래 베스트셀러 목록에 당당히 있는 걸까 그게 아마도 호기심을 자극했던 것 같다. 그 몇 해전부터 몇몇 경제학 원론에 대한 책들을 조금씩 공부하며 경제학에 관심이 생기기도 했던 터였다.
그렇게 처음 접해본 장하준 교수의 책은 내가 알던 [상식]이라는 것에 엄청난 혼동을 가져왔다. 후진국들의 경제성장을 위한 국가주도의 경제정책이라던가, (결코 자유적이지 않는) 자유무역에 대한 부정적 입장, 보이지 않는 손, 시장에 대한 회의 등 기존에 읽어온 책에서와는 많이 다른 그의 주장들은 흥미롭기도 했고, 의아하기도 했고, 어떤 면에서는 존경스럽기도 했다. 그리고 아주 적은 분량을 차지하고 있었지만 지적재산권에 대한 그의 의견은 개발을 업으로 삼고, 특허권을 절대적으로 옳은(바른) 권한으로 생각하던 나에게 엄청난 충격이었다. 내 권리를 보호하는 것이 사다리를 걷어차는 일일 수 있다는 사실, 정말이지 한번도 생각해보지 못했던 일이었기 때문이다.
그렇게 처음 접한 그의 글에서 받은 충격은 이제껏 그가 쓴 글들을 다시 찾아 읽게 되는 계기가 되었고, 자연스럽게 그의 신작에도 관심이 갈 수 밖에 없었다.
이번 신작을 비롯해, 다른 몇 권의 책들은 처음 내가 그의 책을 읽었을 때와 같은 충격을 주지는 않았다. 기본적인 그의 주장은 변함이 없었고, 다만 좀 더 다양해졌을 뿐이니…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그의 주장들은 나에게 어떤 의미로든 흥미롭기도 하고 불편하기도 하고 속시원한 것이기도 했다.
알라딘에서 그와의 만남에 대한 공지를 보았을 때 맨 처음 든 생각은 그의 주장에 대한 이러한 복잡한 나의 감정을 어떤 식으로든 명확한 방향으로 잡을 수 있지 않을까 하는 것이었다. 직접 그에게서 듣는 이야기들이 나를 고개 갸우뚱하게 만들었던 의문들에 대한 답을 주지 않을까 하는 생각…
독자와의 만남은 인터넷을 통해 작성된 질문들에 대한 답이 주류를 이루는 형식이었으며, 그리고 그 후 현장에서 몇 몇 질문과 그에 대한 답들로 끝을 맺었다.
준비된 질문들을 들으면서 가장 먼저 느낀 것은 대부분의 사람들이 그의 책을 읽으면서 나와 유사한 혼란을 경험하는구나 하는 생각이었다.
우리의 역사적인 경험에서는 오는 불안함, 그로 인해 그의 주장들을 이상과 현실의 문제로 보는 시각. [국가]라는 것에 대한 불신. 더군다나 이러한 문제들은 지금의 우리 현실에서는 더욱 의문을 가질 수 밖에 없는 것들이다.
사실 그의 대답에서 이러한 의문들, 혼란스러운 감정들을 정리할 수 있는 명확한 답을 얻지 못했다고 나는 생각한다. 결국 그의 답은 과거의 경험이 있기 때문에 두려워 할 것이 아니라 견제의 역할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국가의 권력화는 그런 견제를 통해 저지해 내야 하며, 우리는 이런 성공적인 사례를 북유럽의 선전국가에서 어렵지 않게 발견할 수 있다는 것이다. 어쩌면 우리 모두가 알고 있었을지도 모른다. 다만 자신이 없을 뿐… 그것이 얼마나 어려운 문제인지 알기때문에… 아마도 그도 알고 있을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가 모두가 살기 좋은 세상을 꿈꿀수 밖에 없는 이유들은 역시나 그의 이야기 속에서 찾을 수 있었다. 행복이라는 것의 결코 경제적인 것으로만 구성되는 가치가 아니다. 하지만 최소한의 경제적인 자립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결코 행복을 이야기할 수 없다. 또한 극단적인 부의 불균형 문제는 결국 부자도 가난한 사람도 살기 어려운 세상을 만들 뿐이다(그는 브라질의 사업가 납치 사업 예를 들었다.)
어렵다는 것은 불가능하다는 것과는 다른 이야기이다. 그가 이야기하는 경제적인 균형의 문제는 분명 어려운 이야기이다. 하지만 아마도 불가능한 이야기는 아닐 지 모른다. 어렵지만, 수많은 시행착오를 겪어야 하겠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포기할 수 없는 일이 세상에는 분명히 존재한다. 그리고 적어도 사람들이 인간답게 살 수 있도록 하는 일은 그 어렵지만 포기할 수 없는 그런 일중에 하나일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