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기 고백컨데, 20년 2월에 도서관에서 두 권의 책을 대출한 후, 코로나가 본격적으로 터지는 바람에 책 반납을 일년 4개월만에 했다.
그래서 대출 정지 일년 4개월, 도서관에 안 간지 꽤 오래되었는데, 책값이 너무 많이 들어 온라인으로 도서관에 들어가 희망도서 신청을 했다. 밀레니얼 사회주의 선언과 지식의 헌법. 한 권당 거의 이만원돈 해서 부담스럽고 전자책으로도 동시에 출간되었으면 전자책으로 구매했을텐데, 전자책은 몇달 후에나 나올 것 같다.
대출 정지 신분이라… 신청만 하고 딸아이 대출증으로 빌릴 예정인데, 울 딸은 대출증 만들고 단 한권의 책도 빌려 읽지 않었다. 집에 책이 넘쳐나는데 도서관까지 가서 책을 빌릴 이유가 없긴 하다.
우리 애들도 그렇고 주변 언니나 동생의 조카들 보면, 딱히 책을 즐겨 읽지 않는다. 책 많이 읽는 사람은 나밖에 없다. 애들은 확실히 영상콘텐츠 위주로 보고(티비는 아예 안 보는 것 같고), 글 위주 컨텐츠는 거의 안 읽는 듯, 포털의 뉴스조차 읽지 않아서, 정치적 이슈나 사회적 이슈에 대해 전혀 모르고 알려고도 하지 않는다.
네이버가 우리 나라 포털 1위이지만, 네이버 블로그나 카페는 유투브에 밀린 지 오래고, 밴드는 잊혀졌고, 중고시장은 당근에 밀려났다. 영원할 것 같었던 네이버라는 포털이 무너지기 시작하는 것 같다. 다음은 뭐 십대이십대애들은 아예 앱을 깔지 않아서 영향력 제로!
네이버는 언제까지 살아남을 수 있을지 궁금하다. 구글과 ott의 점유율이 생각보다 거세서 지금 이후 십년을 넘길 수 있을지….새해를 맞아, 우리의 세상은 어떤 식으로 변할까? 나의 이십년이 변화의 변화를 거듭해왔듯이, 올 일년도 다음 십년동안 많은 변화가 있을 것이다.
하기사 하늘을 날 것 같었던 지상파 종편이 속절없이 무너지고 있는데, 다른 매체라고 굳건할 수 없겠지. 미국의 구글신, 우리가 생각했던 것보다 휠씬 무서운 존재다.
![](https://image.aladin.co.kr/product/28584/53/cover150/8972790184_1.jpg)
![](https://image.aladin.co.kr/product/28535/70/cover150/8962632349_1.jpg)
![](https://image.aladin.co.kr/product/2566/48/cover150/898371882x_1.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