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년 명량,을 네 식구 모두 가서 같이 본 후, 8년만에 한산,을 다 같이 보았다. 어제 갑자기 딸애가 우리 네 식구 몇년 동안 영화 같이 보러 간 적 없었는데, 한산을 같이 보는 건 어떠냐고 해서 같이 보러 갔었다.
영화비가 이렇게 비싼지 처음 알었다. 인당 만오천원. 만원일때는 큰 부담으로 와 닿지 않었는데 만오천이다보니 육만원이었다. 알라딘 쿠폰으로 할인 받고 통신 할인 받어 사만원에 보았지만 팝콘값까지 더하면 영화 한편 보는데 거의 육만원 정도 들었다.
영화는 재밌었다. 처음에는 이야기가 어떻게 진행되는지 잘 몰랐다가 어느 선부터는 이야기의 흐름을 잡을 수 있었다. 나오는 등장 인물들이 다 비슷비슷하게 생긴데다 모자를 써 이야기 잡는데 무척이나 애 먹었다(안면인식 장애가 있는 듯).
이 영화의 하이라이트는 역시 본격적인 한산 해전이 시작되면서부터이다. 전투씬이 역동적이고 속도감 있어서 지루할 틈이 없었다.
내가 무엇보다 가장 감동적인 것은 이순신이라는 명장과 함께 배밑바닥에서 죽을 힘을 다해 노를 저었던 일반 백성, 민초들의 모습이었다. 감독은 이순신에게만 촛점을 맞춘 게 아니고 이순신과 함께 역사를 만들었던 배에서 노를 저었던 백성들의 모습을 자주 비춘다.
16세기말, 조선에 동력이라고 할만 한 것이 있었던가?
그 시대에는 배를 움직이는 동력(엔진)도, 에너지도 없었다. 그 시대에 그 커다란 배가 바다위에 진수한 것도 신기한데, 배의 방향을 움직일만한 엔진도 에너지도 전혀 없었던 시대 아니던가. 바다의 움직임 그러니깐 바다위 물살과 흐름의 시기같은 시시각각 변하는 자료와 정보가 갖춰져 전투에 임할 수 있었던 정보력도 놀라웠지만, 배의 동력과 에너지 역활을 했던 많은 백성들의 활약을 놓치지 않은 감독의 연출이 돋보였다.
해전의 역사를 만들어 맨 이순신 장군이 대단한 명장이라는 것을, 조선 최고의 해전 전술가이자 전력가임을 깨 닫는다. 그리고 이순신과 함께 해전의 역사를 만든 그 시대 배의 동력이자 에너지 역활을 한 무수한 (백성)들이야말로 조선을 지킨 무한 동력이었음을, 그리고 꺼지지 않은 동력이 아직도 우리 대한민국 국민인 나에게도 그 동력은 계속 움직이고 있다는 것을 느낀다.
덧: 윤이 너무너무너무 싫어 매일매일 심술이 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