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리진 2
                    신경숙 지음 / 문학동네 / 2007년 5월
                    
                  평점 :
                    
                    
                    
                    
                    
                    
                    
                    
                    
                    
                    
                 
                
            
            
            
        
 
        
            
            
            
            
            
            
            리진의 아름다움으로....
1편에 이어 2편을 읽었다. 읽는내내 다른 생각을 못하고선 책으로 빠져 들었다. 1편은 콜랭이 공사로써 편지를 쓰지만 2편은 리진이 왕비에게 쓰는 편지가 대부분이다. 1편은 조선을 2편은 프랑스를 배경해서 쓰여진 부분이 많았다.
궁중나인에 불과한 이름도 없었던 진이에게 끌리는 매력은 뭐였을까를 생각했다. 아름다운 춘앵무를 추는 궁중무희, 영특함...그런 것일까?
리진이 처음 궁으로 갔을 때 왕비는 숟갈로 배를 긁어 먹여 주었다. 왕비는 공주가 죽지 않았다면 꼭 리진만큼 컸을거란 생각을 하면서... 리진과 왕비는 어쩌면 엄마와 딸의 관계를 느낀 사람들이었다.
콜랭과 함께 프랑스에 가서 자유를 누리며 살지만 항상 조선을 향한 향수는 피할 수 없었다. 어쩌면 왕비에게 프랑스의 여러문명의 소리를 들려주고 싶었는지도...프랑스로 가서 잘 적응하면서 사는 것 같지만 왕비에게 부치지 못하는 편지를 쓰는만큼 조국에 대한, 왕비에 대한 그리움이 쌓여간다.  리진이 프랑스거리에서 뭇 사람들의 시선을 부대끼며 받았을 때, 자유를 선택했지만 잃어야되는 것 또한 있엇다. 리진은 정말 콜랭을 사랑했을까? 콜랭은 조선에 다시와서 혼자 떠났는 걸. 그리고 마지막 장면은 프랑스 아내와의 대화가 있었다는 것도...
밤마다 숲속으로 가는 리진을, 콜랭은 몽유병을 치료하기 위해 조선을 찾는다.
다시 만나는 사람들 왕비, 강연-강연은 아이들 속에서 리진을 보고 ’은방울’이라고 말한다.-,서씨, 최베드로, 소아...
다시 만난 사람들과의 기쁨도 잠시 을미사변으로 왕비는 죽게되고 소아, 서상궁까지...
리진을 여자로 보는 사람들 속에는 콜랭말고도 왕이 있고, 강연, 홍종우도 있었다...홍종우의 상소로 강연이 두 손이 잘려 대금도 불지 못하게 되는데 리진의 마음은 어땠을까.
강연은 리진을 위험에서 구하기도 하고 걱정해주기도 하면서 리진의 무덤에서 얼어죽는다.
100년전으로 돌아가 작가가 리진을 통해서 을미사변의 현장을 다시 한번 우리에게 보여준 책이라고 본다. 명성황후와 리진과의 관계는 모녀의 관계처럼 늘어지기도 잡아당기기도 하면서 왕비가 죽음으로써 리진은 남은 끈도 놓아버리는지 모른다.
책을 덮고나서 "리진"을 드라마나, 영화로 만들면 어떨까를 생각했다. 
흥선대원군과 왕비의 자리다툼이 있었고, 을미사변이 있었고, 조선이 아닌 프랑스의 문명도 있었다. 여러 문학가들과 화가들이 그랬고 루브르가 그랬다.
역사속으로 들어가 그 시대를 다시 보는 것도 참 좋은 공부라고 생각을 했다. 우리 아이들이 그런 재미를 느낀다면 얼마나 좋을까를 생각하며 .... 아이들에게 권해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