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너무 늦기 전에 들어야 할 카르마 강의 - 삶과 죽음을 넘어 진정한 나를 완성하는 공부
최준식 지음 / 김영사 / 2021년 6월
평점 :
크리스천인 내게 너무나 생소하고 신기한 분야였던 카르마를 이 책 [너무 늦기 전에 들어야 할 카르마 강의]를 통해 자세히 알아볼 수 있었다. 카르마란 단어는 얼핏 들어본 적이 있다. 카르마란 인간이 하는 모든 일을 뜻하며 원인이 되어 결과를 만들어내는 업을 뜻한다. 이 책은 카르마와 그에 따라 한 치의 오차도 없이 작동하면서 인생을 인도하는 카르마 법칙에 대해 알려주고 있다.
카르마를 논하기 위해서는 전제조건인 윤회사상을 믿어야 한다. 해당 생에서 주어진 카르마를 해결하지 못한다면 다시 태어나 그 카르마를 해결해야 하고 업을 소진해야 하며 그 과정에서 행복과 기쁨을 느끼고 엄청난 영적 성장을 이룬다는 논리가 굉장히 흥미로웠다. 기독교에서는 환생이라는 개념을 인정하지 않기에 이 분야는 생소하기도 하면서 낯선 개념이기도 했다. 나에겐.
카르마 법칙은 단순히 물리적 인과론을 말하는 것이 아닌 도덕의식이라는 개념이 합쳐져 '인간이 도덕적인 완성을 꾀할 수 있는 법칙'이다. 이렇기에 평상의식으로는 믿기 힘든 카르마 법칙은 인도의 불교 교리뿐 아니라 미국에서 발달한 최면에 의해서 연구되고 있다. 카르마 법칙에 의해 인간이 다음 생에 환생을 하게 되는 것, 그것을 마치기 위해서는 지혜를 쌓는 일이 선행보다 더 중요하다는 것을 알려준다.
카르마 법칙은 사랑하는 사람이나 미워하는 사람을 만들지 말아야 한다고 말한다. 그렇지 않다면 다시 다음 생에서 그들과 어떤 식으로든 연결고리가 생겨 만나게 된다는 것이다. 사랑하는 사람이라면 다음 생에 다시 만나는 게 더 좋겠지만 정말 싫은 사람이나 왠수로 여기는 이와 다시 연결된다는 것은 생각만으로도 끔찍해서 몸서리가 쳐진다. 그것도 부부나 부모자식과 같은 인연으로 엮인다면 말이다. 우리 삶의 대부분이 전생과의 이어져 있고 업을 해결하는 과정이다는 것에 결론이 모아지니 우연이란 아무것도 없다는 것인가란 의문이 들기도 한다.
객관적인 입장에 서서 나그네처럼 관조하는 삶을 살라고 조언하는 저자는 새로운 카르마를 만들거나 가지고 온 카르마를 부풀리는 일을 하지 않도록 노력해야 함을 강조하고 있다. 카르마 법칙을 믿고 안 믿고는 개인의 자유다. 믿고 싶어도 도무지 믿어지지 않는 사람도 있을 것이고 자연스레 믿음으로 정착되어 자신의 삶 속에서 적용하며 사는 사람들도 있을 것이다. 중요한 것은 카르마 법칙이 말해주는 메시지다. 결국 행복한 성장을 위한 자세와 마음가짐으로 주어진 생을 살아가도록 방향을 결정지어 주는 카르마 법칙은 인간이 추구하는 이상적인 가치와 일맥상통하는 부분이 있다.
카르마에 대한 믿음은 아직까지는 없다. 그러나 이러한 법칙이 우리 삶을 지배하고 있다고 여기는 사람들과 그와 관련된 사례들을 접하는 것은 꽤나 흥미있는 과정이었다. 책은 카르마에 대한 궁금증을 자세히, 알기 쉽게 정리해주고 있다.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받아 작성한 솔직한 서평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