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중나선 - 생명에 대한 호기심으로 DNA를 발견한 이야기 궁리하는 과학 1
제임스 D. 왓슨 지음, 최돈찬 옮김 / 궁리 / 2006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이 책은 1953년 세계 최고권위의 과학잡지 <네이처>지에 DNA 이중나선 구조를 밝히는 논문을 발표하여 전세계적인 이목과 찬사를 받아 1962년 그 공로로 프랜시스 크릭, 모리스 윌킨스와 함께 노벨 생리,의학상을 수상한 제임스 왓슨의 저서이다.

왓슨은 이 책의 서문에서 영국 케임브리지 대학 캐번디시 연구소에서 크릭과 함께 DNA 이중나선 구조를 발견하게된 이야기를 소설의 형식으로 펴낸 것이라 말한다. 그렇지만 실제로는 서문이라기 보다 자신의 일기를 바탕으로 자서전 비슷하게 풀어쓴 글이다.

책 속에는 노벨상을 염두에 두고 연구하는 과학자들의 본심과 그에 따른 적나라한 이야기들이 숨김없이 드러나 있다. 또한, DNA 구조를 밝히려는 과학자들의 성격, 의욕, 능력, 경쟁심과 더불어 과학자들의 일상생활도 일반인들과 비슷하다는 점을 엿볼 수 있다.

어떤 관점에서 보면, 저자는 아주 운이 좋은 것처럼 보인다. 겸손하게 책을 써내려 한 것인지는 모르겠지만, DNA 이중 나선 구조를 밝히는 과정에서 저자는 아이작 뉴튼이나 스티븐 호킹의 말처럼 "거인들의 어깨 위에 서서" 이중나선 구조를 밝혀내는 행운을 잡은 것이다. 로잘린 프랭클린이라는 과학자의 능력으로 X선 회절법으로 DNA의 결정체를 촬영한 사진이 아니었다면, 라이너스 폴링이 단백질의 결정체를 일부라도 먼저 밝혀내지 않았다면, 모리스 윌킨스의 선구자적인 DNA 연구가 없었다면 저자에게 노벨상의 행운이 돌아가지 않았을 것이다.

또한, 저자가 운 좋게 논문의 저자이름에서 맨 위 자리를 차지하지 않았다면, 그리고 이 책을 발간하고 언론에 그렇게 많이 노출되지 않았다면 "DNA=제임스 왓슨"이라는 등식은 성립되지 않았을 것이다.

그동안 읽어온 수학자, 과학자들의 이야기를 돌이켜 보면 뛰어난 과학자들의 경우 수 많은 연구와 실패, 갈등없이 위대한 업적을 이루어낸 적이 없었다. 아이작 뉴턴, 라이프니츠, 파스칼, 페르마, 칸토어, 가우스, 푸앙카레, 힐베라트, 괴델, 아인슈타인, 호킹 등등... 20세기에 노벨상을 수상한 과학자들 역시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를 밝혀낸 앤드류 와일즈처럼 오랜동안 노력한 결과이며, 역사적인 의미가 있는 논문이었다.

하지만, 아무리 생각해봐도, 저자가 무척 겸손하다고 하더라도 저자가 노력한 정도나 저자가 발표한 논문이 앞 선 수학자, 과학자들과 어깨를 나란히 할 정도라고 생각되지는 않는다. 더불어 세계적으로 인정받아 왔던 노벨상의 권위가 논문의 뛰어남이나 역사적인 위대성보다 점점 이벤트나 형식으로 치부되고 인종차별적인 느낌까지 든다. 물론, 한국에서는 그 정도의 노벨상을 취득한 과학자들도 없으니 국가적으로는 할 말은 없지만... (그래도 유일하게 김대중 전대통령이 노벨평화상을 받았으니 그것으로라도 위안을 삼아야...^^)

어떤 측면에서는 이 책에 긍정적인 장점도 들어있다. 일반인들이 생각하는 과학자는 식음을 전페하고 골방에 처박혀 연구와 계산만 해대는 '괴짜'라는 선입견이 지배적인데, 저자는 매일 8시간~12시간 정도만 연구하고 토론하고도 노벨상을 탄 것이다. 저녁식사는 언제나 친구들, 지인들과 함께 하고 한 달에 몇 번씩 파티와 술자리가 이어졌음에도 불구하고 운 좋게 DNA 이중나선 구조를 발견했으니까...

세상은 어쩌면 노래말 그대로 '요지경'일 수도 있다...
 

[ 2010. 5. 03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