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가들이 문장을 말줄임표로 끝내는 것은 이야기가 계속될수도 있음을 나타내기 위해서이고(<이 점에 대해서는 아직 해야 할 이야기가 많이 있을 듯하다. 그러나....> 하는 식이다), 문장 중간이나 문장과 문장 사이에 말줄임표를 넣는 - P114

것은 글의 일부가 생략되었음을 알리기 위해서이다(<나는어떤 미지의 여인에 관한 그 이상하고 선연한 꿈을 자주 꾼다......그 여인은 전적으로 똑같은 사람도 아니고 전적으로다른 사람도 아니다> 하는 식이다).
그에 반해서 비전문가들은 자기들이 사용하고자 하는 수사법이 지나치게 대담하다 싶을 때 말줄임표를 넣는다. 예컨대 <그는 몹시 화가 나 있었다. 마치... 한 마리 황소 같았 다>할 때처럼 말이다.
- P115

인간은 언제나 동물에게 무자비했다. 그러다가 스스로 못됐다는 것을 깨닫게 되면서 동물을 다르게 대하기 시작했다.
모든 동물을 사랑한다고는 할 수 없지만(여전히 태연자약하게 동물의 고기를 먹고 있으니까 말이다), 적어도 동물에 대해서 나쁘게 말하지는 않게 되었다. 대중 매체와 학교와 공공 기관은 인간이 다른 인간을 상대로 저지른 많은 잘못에대하여 어떤 식으로든 변명을 해야 하는 처지에 놓여 있다.
그럴 때 동물의 선량함을 떠벌리는 것은 심리적이고 윤리적인 관점에서 많은 도움이 된다.
- P236


그래서 제3세계 어린이들이 죽어 가는 것은 못 본 척하면서도 선진국의 아이들에게는 잠자리와 토끼는 물론이고 고래와 악어와 뱀까지 존중하라고
가르치는 것이다

그런 교육 행위 자체가 옳지 않다는 것은 아니다. 다만
그런 교육을 위해 선택한 방법에 문제가 있다.
동물의 생존권을 존중한답시고 동물을 인격화하고 아이들의 친구 같은 존재로 만드는 것이 문제라는 얘기다. 사람들은 어떤 동물이 본능에 따라서 잔인하게 다른 동물을 잡아먹을지라도 이 지구상에 생존할 권리가 있다는 식으로 말하지 않는다. 그러기보다는 그런 동물을 착하고 상냥하고 재미있고 너그럽고 영리하고 침착한 존재로 만들어 존중을 받게 한다.

그러나 나그네쥐는 경솔하고 고양이는 게으르며, 여름날의 개는 침을 많이 흘리고 새끼 돼지는 냄새가 고약하며, 말은 흥분을 잘 하고 자벌레나방은 아둔하며, 달팽이는 끈적거리고 살모사는 독이 많으며, 개미는 상상력이 빈곤하고 밤피꼬리는 음악적으로 창의력이 부족하다. 그럼에도 우리는 그런 동물들을 있는 모습 그대로 사랑할 수 있어야 한다.
.....중략....우리가 고래를 보호하는 것은 고래가 착하기 때문이 아니다. - P23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매스미디어가 전파하는 폭력과 공포에 맞서 지식과 예술, 아름다움, 행복, 평화, 사랑이 우리 마음에 자리하게 해야한다. 마음이 평화로울수록 머릿속에 저장된 정보를 쉽게관리하고 정리할 수있으며, 그 정보를 맑은 정신으로 분별 있게 사용할 수 있다.
- P162

뭔가 좋은 일을 했을 때 그것을 떠들고 다니지 말자. 그래야 기쁨이 희석되지 않고 고스란히 간직된다. 말을 너무 많이하면 에너지를 빼앗기게 되고, 말의 무게가 없어진다.  - P177

배움의 궁극적 목적은 좀 더 풍요롭고 유연한 삶을 사는것이다. 자기만의 틀에 갇히지 말고 배움을 통해 경직된 의식의긴장을 풀자. 당신의 인격을 높이고 풍요롭게 살기 위해서는 이해가 되지 않는 것도 받아들여야 한다. 새로운 지식이 자신의고집이나 선입견에 부딪혀 자리를 잃는 것은 안타까운 일이다.
- P20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청소를 비롯해 이런저런 일상의 일거리는 인생의 한 부분이며, 이 일거리들에 어떤 자세로 임하느냐에 따라 하루가 달라지고 계절이 달라진다. - P82

우리는 질병과 죽음 그리고 잠든 동안 우리를 덮치는 온갖 악몽 앞에서 무력하다. 하지만 정돈된 공간은 우리가 적어도 우주의 작은 한 모퉁이에 질서를 부여할 능력을 갖추고 있음을 증명한다.
- P86

주변에 질서를 부여하면 마음에도 질서가 자리잡는다. 서랍에서 자질구레한 물건을 치우거나 벽장을 정돈하는 등 주변을 정리하고 단순하게 만들 때마다 우리는 자신의 인생에서 무언가를 통제하고 있다는 안정감을 느낄 수 있다. - P8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현재의 순간을 놓치지 않으려면 집중하는 능력을 키우고 잡념은 모두 밀어내야 한다. 더불어 정신이 맑아야 한다.
정신이 맑으면 창의력과 결단력, 지성, 지혜가 충만해진다. 충만한 삶은 완전히 깨어 있어 자유롭고 통찰력 있는 정신을 전제로한다. - P6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이번이 네번째. 정희진의 책을 읽었다.
이전 두 정권하의 이슈들을 배경으로 한 문제들과 읽은 책들, 영화를 중심으로 담론을 펼쳤다. 언제나 믿고 읽는 작가. 이번에도 대만족. 거듭 읽을만하다.

좋은 글은 가독성이 뛰어난 글이다. 그러나 쉽게 읽힌다‘는말은 많은 설명이 필요하다. 내 생각에 쉬운 글에는 두 종류가있다. 하나는 익숙한 논리와 상투적 표현으로 쓰여 아무 노동(생각) 없이 읽을 수 있는 글이다. 익숙함은 사고를 고정시킨다. 쉬운 글은 실제로 쉬워서가 아니라 익숙하기 때문에 쉽게 느껴지는 것이다. 진부한 주장, 논리로 위장한 통념, 지당하신 말씀, 제목만 봐도 읽을 마음이 사라지는 글이 대표적이다.
또 하나, 진정 쉬운 글은 내용(콘텐츠)과 주장(정치학)이 있으면서도 문장이 좋아서 읽기 편한 글을 말한다. 하지만 새로운 내용과 기존 형식이 일치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에 가깝기 때문에 그런 글은 매우 드물다. 새 술은 새 부대에, 이 말이 괜히 있는 게 아니다. 쉬운 글은 없다. 소용 있는 글과 그렇지 않은 글이 있을 뿐이다.
어려운 글은 내용이 어렵다기보다는 소통 방식에 문제가 있는글이라고 생각한다. 그런 면에서 어려운 글은 없다. 자기가 무슨말을 하는지 모르는 글, 개념어 남발로 누구나 아는 이야기를아무도 모르게 쓴 글, 즉 잘 쓰지 못한 글이 있을 뿐이다.
- P106

쉬운 글을 선호하는 사회는 위험하다. 쉬운 글은 내용이 쉬워서가 아니라 이데올로기여서 쉬운 것이다. 쉬운 글은 지구를 망가뜨리고(종이 낭비), 약자의 목소리를 억압하며, 새로운 사유의등장을 가로막아 사이비 지식을 양산한다. 쉬운 글이 두려운 이유다.
- P10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