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이 네번째. 정희진의 책을 읽었다.
이전 두 정권하의 이슈들을 배경으로 한 문제들과 읽은 책들, 영화를 중심으로 담론을 펼쳤다. 언제나 믿고 읽는 작가. 이번에도 대만족. 거듭 읽을만하다.

좋은 글은 가독성이 뛰어난 글이다. 그러나 쉽게 읽힌다‘는말은 많은 설명이 필요하다. 내 생각에 쉬운 글에는 두 종류가있다. 하나는 익숙한 논리와 상투적 표현으로 쓰여 아무 노동(생각) 없이 읽을 수 있는 글이다. 익숙함은 사고를 고정시킨다. 쉬운 글은 실제로 쉬워서가 아니라 익숙하기 때문에 쉽게 느껴지는 것이다. 진부한 주장, 논리로 위장한 통념, 지당하신 말씀, 제목만 봐도 읽을 마음이 사라지는 글이 대표적이다.
또 하나, 진정 쉬운 글은 내용(콘텐츠)과 주장(정치학)이 있으면서도 문장이 좋아서 읽기 편한 글을 말한다. 하지만 새로운 내용과 기존 형식이 일치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에 가깝기 때문에 그런 글은 매우 드물다. 새 술은 새 부대에, 이 말이 괜히 있는 게 아니다. 쉬운 글은 없다. 소용 있는 글과 그렇지 않은 글이 있을 뿐이다.
어려운 글은 내용이 어렵다기보다는 소통 방식에 문제가 있는글이라고 생각한다. 그런 면에서 어려운 글은 없다. 자기가 무슨말을 하는지 모르는 글, 개념어 남발로 누구나 아는 이야기를아무도 모르게 쓴 글, 즉 잘 쓰지 못한 글이 있을 뿐이다.
- P106

쉬운 글을 선호하는 사회는 위험하다. 쉬운 글은 내용이 쉬워서가 아니라 이데올로기여서 쉬운 것이다. 쉬운 글은 지구를 망가뜨리고(종이 낭비), 약자의 목소리를 억압하며, 새로운 사유의등장을 가로막아 사이비 지식을 양산한다. 쉬운 글이 두려운 이유다.
- P10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