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기는 남성적 정체성과 관련한 주요 요소이면서 가부장제를가능케 하는 결정적 요소이기도 하다. 무기류는 피억압 집단을통제할 때 반드시 필요할 만큼 절대적인 것은 아니지만, 여성 억압을 유지하는 데 있어 전쟁 체제의 가장 중요한 기능 가운데 하나를 맡고 있다. 무기는 희생자를 만들어낸다. 반면에 적은 우리의 모든 부정적 특성을 체화한 존재로, 멸시받기는 하지만 적어도 지위에 있어서는 동등하다. 그런데 희생자의 입장은 결코 동등하지 않다. 

희생자는 우리가 적에게 투사하는 죄를 지은 바 없으며, 적보다 훨씬 취약하다. 순수함과 취약함은 가장 소중히 여겨지면서 찬사를 받는 여성적 특성 가운데 하나이다. 남성이 전사의 속성을 드러내도록 사회화된 반면, 여성은 순수함과 취약함이라는 특성을 보여주도록 사회화된다. 이렇게 여성은 다른 피억압 집단과 마찬가지로 자신에게 주어진 특성을 연기하면서 스스로를 억압하는 데 협력하고 있다. 이렇게 여성은 (자신이 보호받거나 보복당할 수 있는) 무기 생산을 이어 나갈 추진력을 제공한다.
p.109




피억압자가 압제자에게 대항해 자기 파괴로 다다를 가능성이 큰 투쟁에 뛰어들기보다는, 압제자의 가치관 및 세계관을 수용해서(혹은 수용한 것처럼 꾸며서) 생존하는 대응 장치, 나는 그것이 내면화라고 생각한다. 

피억압자들은 압제자가 우월하고 인류의 이상적 형태를 보여주기 때문에 특권을 누릴 수 있다는 주장을 받아들여 자기 조건을 합리화했던 것이다. 이처럼 피억압자들은 다수가 생존의대가로 자신의 열등성을 수용해왔다.

차파르데트가 지적했듯이, 이 현상은 피억압자 고유의 특성을평가 절하할 뿐만 아니라, 억압의 사슬에 더해 위계질서적 관계를 유지시키고 적과 희생자를 계속 양산해낸다.
- P112


댓글(16) 먼댓글(0) 좋아요(38)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새파랑 2021-09-29 14:06   좋아요 4 | 댓글달기 | URL
1등~! 무기생산을 여성억압과 연계해서 보니 저런 논리가 맞는거 같아요~!! 역시 👍

청아 2021-09-29 14:15   좋아요 4 | URL
무기보유와 전쟁에 대한 열망도 맥을 같이 하는걸로 느껴지네요. 모든 억압구조가 거미망처럼 연결되어져 기능하고요. 항상 응원감사해요😆👍

행복한책읽기 2021-09-29 16:18   좋아요 3 | URL
새파랑님 일은 언제 해요?? 가만 보면 북플에서 만날 노는 것 같구만유.

청아 2021-09-29 16:28   좋아요 2 | URL
새파랑님, 스콧님같은 분들이 실제로 제일 바쁠껄요?😆 원래 연락 잘되는 사람들이 일도 많이 하고 부탁도 더 잘 들어준다는 연구결과를 기사에서 봄요😉

새파랑 2021-09-29 17:08   좋아요 2 | URL
저는 북플안하고 책 안볼때 일합니다 😅

행복한책읽기 2021-09-29 16:17   좋아요 3 | 댓글달기 | URL
2등!! ^^ 미미님 저는 삶이 어지러워 저런 무거운 책은 고개가 돌아가요.^^;;; 대신 플친들 올려주는 글들 야금야금 탐독 중. 감솨!!!^^

청아 2021-09-29 16:26   좋아요 2 | URL
이런 책들은 오히려 읽고나면 사리에 밝아지므로 어지러운 삶에 든든한 버팀목과 에너지가 된답니다~♡ 야금야금 감사해요~😍👍

행복한책읽기 2021-09-29 16:34   좋아요 3 | URL
오호. 사리에 밝아지면 몸에서 사리도 나오는 거죠. 미미님 기대됩니다^^

청아 2021-09-29 16:35   좋아요 2 | URL
앗ㅋㅋㅋㅋㅋㅋㅋ센스 최고십니다ㅋㅋ👍👍

페넬로페 2021-09-29 18:06   좋아요 4 | 댓글달기 | URL
무기가 여성억압에 필수적이다는 것은 전혀 생각지도 못한 내용입니다. ㅠㅠ
우리는 적과 동등하다는 말은 다른 말로 여성은 그만큼 강하다라는 뜻이겠죠^^ㅎㅎ
근데 사실 여성의 적은 여성일때
더없이 강하다는 사실이 암울해집니다^^

청아 2021-09-29 18:21   좋아요 3 | URL
저도요ㅠㅇㅠ 여성은 피억압자인 동시에 억압시스템에 분명 역할을 하기도 하는 암울한 현실이죠! 저도 그래서 예전에는 ‘여성의 적은 여자‘라고 생각한적이 있는데 이것도 사실 보는 방법과 위치에 따라 꼭 그렇진 않다고하니 속담이나 격언,관용어 다 재조명이 필요합니다.🤔

2021-09-29 18:37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21-09-29 21:02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21-09-29 21:15   URL
비밀 댓글입니다.

mini74 2021-09-29 21:07   좋아요 3 | 댓글달기 | URL
무기 전쟁 착취 자본주의 등등 약자억압의 역사는 여성억압과도 맥을 같아하는거 같아요. ~ 미미님 글 읽으면 항상 제 속의 의문들이 하나씩 깨지는 느낌 *^^* 입니다. 미미님 열심히 읽고 요약해주셔서 고맙습니다 *^^*

청아 2021-09-29 21:15   좋아요 2 | URL
저도 그런 이유로 자꾸만 이런 책들을 찾게 되는 듯 합니다. 도움이 되었다니 미니님 덕분에 너무너무 뿌듯하네요~♡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