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 7 - 소돔과 고모라 1
마르셀 프루스트 지음, 김희영 옮김 / 민음사 / 2019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프루스트 거꾸로 읽기 7권>

-소돔과 고모라1


마르셀 프루스트의 자전적 소설인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에서 프루스트는 소돔과 고모라로 명명되는 동성간의 사랑을 주인공 마르셀이 아닌 주변부 인물들에 적용시켜 자신의 성향을 우회적으로 표현했다. 7권에서 마르셀은 샤를뤼스의 특별한 성향을 처음으로 목격하게 된다. 


P.22 샤를뤼스 씨는 쥐피앵을 바라볼 때마다 자신의 눈길에 어떤 말을 담으려고 애쓰는 것 같았고, 그 때문에 그 눈길은 평소에 그가 알거나 알지 못하는 사람에게 보내는 것과 지극히 다른 빛을 띠었다. 그는 다음과 같은 말을 하려는 사람의 특별한 시선으로 쥐피앵을 응시했다. "나의 무례함을 용서하시오. 하지만 당신의 등에 기다란 하얀 실이 달려 있는 게 보이는군요." 혹은 "내가 잘못 보았을 리 없어요. 당신은 틀림없이 취리히 출신일 겁니다.골동품상에서 여러 번 만난 것 같아요."이렇게 이 분에 한 번씩 같은 질문이 샤를뤼스 씨의 눈짓에 담겨 쥐피앵을 향해 강렬하게 던져졌는데,이는 마치 동일한 간격을 두고 무한 반복되면서 새로운 모티프나 음조의 변화,주제의'반복'을 -지나치게 화려한 준비 부분과 더불어-가져오는 베토벤의 그 질문하는 듯한 악절과도 비슷했다.


프루스트의 이번 이야기 속 동성애 담론의 주요 인물이라 할 수 있는 샤를뤼스와 알베르틴에 대해

어느정도 차이가 드러나는데, 주인공 마르셀은 샤를뤼스에 대해서는 비교적 거리를 두고 냉정하게 관찰하며 호의적인 느낌인 반면 자신의 여자친구인 알베르틴의 동일한 성향을 발견했을 때는 경악하며 질투한다. 그녀에 대해 사랑의 감정을 아직 느끼지 않은 상태였지만 오히려 그런 성향을 알게 된 뒤로는 알베르틴에 관한 감정이 과잉되며 집착하는 동시에 예민한 반응을 보인다. 어쩌면 이런 부분은 프루스트 입장에서 미지의 영역인 여성들간의 사랑에 대한 무지와 그로인한 황홀감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예 일 수 있다. 당시 프랑스를 포함한 일부 유럽의 사교계에서는 어느정도 동성애에 대해 수용적인 입장이었지만 일반사회와 법률적 시각에서는 사회악으로 적대시되었다. 같은 입장이라도 남성들 보다는 여성들에게 더욱 올가미가 씌워지고 남성 동성애자들 에게도 타자화 되었던 현실을 소설 속에서 상징적으로 표현한 것이라 생각된다. 


P.331 알베르틴이 내게 불어넣을 그 지속적이고 고통스러운 의혹 게다가 그 의혹이 띠게 될 특별한 성격, 특히 고모라적인 성격이 이미 시작되었다고 말한다면,내가 거짓을 말하는 것일까?  


P.356 그녀를 보면 분노가 치밀었다. 그녀가 다른 사람으로 보인 만큼 나 역시 변했다. 나는 더 이상 그녀에게 호의를 가지고 대하지 않았다. 그녀가 있는 자리에서든, 또는 그 말이 그녀에게 전해 질 수 있다면 그녀가 없는 자리에서라도 나는 가장 기분을 상하게 하는 방식으로 그녀 얘기를 했다. 

또 하나 인상적이었던 부분은 마르셀이 발베크의 호텔에 머물면서 대화를 나누는 지배인이다. 지배인은 단어를 자주 틀리게 말하곤 하는데 샤교계를 비롯해 마르셀이 마주 하는 여러 상황에서 이런 사건들이 마치 각각의 꽁트처럼 등장해 희극적 재미를 준다. 


P.271 "방을 좀 밝게 하려고 선반에 오래된 커다란 중국 '가발'(꽃병)을 두었는데,망가질 수도 있습니다."


P.295 그 포도주가 '샤토 라피트'가 아니라는 것도 미리 말씀드립니다. 거의 '모호한'(대등한)가치를 가진 것이긴 하지만 말입니다. 그리고 소화가 잘 되니 작은 가자미 한 마리를 튀겨 드리죠." 나는 모두 거절했다. 하지만 가자미(sole)란 생선 이름이 그토록 수없이 주문을 많이 한 남자의 입에서 버드나무(saule)라고 발음되는 걸 듣고는 놀라지 않을 수 없었다. 


*사토 라피트:최고급 보르도 와인


프루스트는 마르셀의 사랑과 번민은 물론이고 드레퓌스 사건을 비롯한 당시 사회 정치적 상황, 역사, 인종,의학, 동성애,음악, 미술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요소들을 인물간 대화속에 두루 배합시켜 각 에피소드가 방울방울 살아나서 이야기 전체에 활력을 준다. <잃.시.찾>은 방대한 분량 뿐 아니라 복잡하고 자세한 묘사과 넘치는 은유와 비유로 앙드레 지드에 의해서도 처음에 출판을 거절당한 만큼 아직까지도 많이 읽히는 소설은 아니다. 하지만 '프루스트를 읽지 않은 사람은 있어도 한 번만 읽은 사람은 없다'는 말이 있을 만큼 그의 소설속 세계는 끝도 없는 아름다운 묘사와 자꾸만 되새김질 하게 만드는 섬세한 표현들로 가득하다.



(이미지:https://m.blog.naver.com/min24siso/)


댓글(12) 먼댓글(0) 좋아요(2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scott 2021-06-05 15:56   좋아요 4 | 댓글달기 | URL
1등 댓글 자리 예약 찜 ♡

미미 2021-06-05 14:17   좋아요 4 | URL
ㅋㅋ시원한 모히또와 망고 준비 완료임돠~♡ 🥭 🍹

scott 2021-06-05 16:07   좋아요 4 | URL
프루스트가 소설사로 데뷔하기 전에 필력이 뛰어났던 예술 비평가 였는데 앙드레 지드와 사이가 좋지 않았어요 그이유가 당시 프랑스 문학계 풍토가 시인이 소설을 쓸 수 있어도 비평가가 소설집을 내서 등단 한 경우가 없었기도 했다고 합니다. 출간 즉시 혹평 쏟아내는데 가장 앞장 섰던 앙드레 지드는 실제로는 자신의 일기에서 프루스트에 지성과 외모에 반해서 동성애적 사랑을 표현하기도 했음요 ㅎㅎㅎ
결국 프루스트는 잃시찾으로 프랑스 문학계 최고 영예인 공쿠르상을 받음 (૭ ᐕ)૭
미미님의 거꾸로 잃시찾 6권 기대! 합니돵!
미미님이 주시는 모히토 망고
냉큼 받귀 ~~
   ∧_∧ 🥭
  (´・ω・`)  🍹
  ( つ つ
(( (⌒ __) ))
   し‘ っ

미미 2021-06-05 16:19   좋아요 4 | URL
비평가로 출발했네요! 앙드레 지드 나중에 프루스트에게 사과한 건 주워들었는데 또 그런 사연도 있었군요!! 스콧님의 방대한 배경지식에 또 존경심이 무럭무럭 자랍니다~^^♡

페넬로페 2021-06-05 14:20   좋아요 5 | 댓글달기 | URL
똑같은 동성애라도 남녀에 대한 시각의 차가 지금도 좀 있는듯도 해요^^
소돔과 고모라에 대해 차프스키의 ‘무너지지 않기 위해서‘에 그 내용이 나와있는데 기억이 영 가물가물 하네요~~
미미님의 거꾸로 읽는 읽.사
찾. ㅡ넘 좋아요^^

미미 2021-06-05 14:29   좋아요 5 | URL
그 책에도 나오는 군요!!
굳이 전문서를 뒤적이지 않아도 이런 저런 책들로 저절로 공부가 되면서 차곡차곡 쌓이는게 더 좋죠~♡ 뒷부분 못 읽음 어쩌나 하는 부담?이 없어서 거꾸로 읽기도 해볼만해요!ㅋㅋㅋ(은근 홍보중ㅋ)

새파랑 2021-06-05 15:52   좋아요 5 | 댓글달기 | URL
4번째 이야기인 <소돔과 고모라>는 제목처럼 내용이 다소 쎈(?)거 같아요 ^^ 주말에도 열독하시는 미미님 완전 대단하세요~!!

미미 2021-06-05 16:02   좋아요 5 | URL
아쉽?게도 뚜렷한 19금묘사같은건 없었어요~^^* 어렴풋이 언급하고 넘어가는 경우도 더러 있어서 자세히 읽지 않음 모르고 넘길 수 있으니 주의하세요!ㅋㅋ

새파랑 2021-06-05 16:05   좋아요 4 | URL
아 그게 아쉬운 거군요 ㅎㅎ ‘프루스트‘ 다른건 그렇게 미치도록 자세히 묘사하면서 왜 이건 그렇게 하지 않은건지...^^

미미 2021-06-05 16:15   좋아요 5 | URL
그쵸? 무심코 스치듯 써 놔서 놓칠뻔한 적이 몇 번 있었는데 깜짝 놀라서 다시 읽었어요. 대화중에 반어법도 예사로 쓰고 여튼 황홀한 곱씹음과 더불어 고도의 집중력훈련용으로도 안성맞춤!ㅋㅋㅋㅋ

mini74 2021-06-05 16:51   좋아요 4 | 댓글달기 | URL
왜 그 부분만 묘사가 무뎌진걸까요 ㅎㅎ 미미님 글도 그림도 그리고 댓글들도 재미있고 너무 유익합니다 *^^*

미미 2021-06-05 17:16   좋아요 3 | URL
유익하셨다니 정말 다행이예요~♡ 😭 줄거리 정리하기가 애매해서 정보전달이나 하자하고
썼지요ㅋㅋ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