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 모든 것의 기원 - 어디에도 없는 고고학 이야기
강인욱 지음 / 흐름출판 / 2023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디에도 없는 고고학 이야기

역사를 좋아해서 이런저런 책을 읽다보면 역사라는게 지금부터 과거로 쫓아 올라가게 되기도 하고 과거 어느 시점부터 현재로 따라 내려오게 되기도 하는데 그모든 방향에서 종국에 필연적으로 만나게 되는 분야가 고고학인것 같다. 신화적인 느낌이 물씬 풍기는 시대에 대하여 구체적인 물증으로만 밝혀내는 고고학적 사실들은 인간이 만들어낸 사건들을 중심으로 한 역사들과는 좀 다른 기분으로 읽게 되기도 한다.

여하튼, 이런저런 역사책들을 읽다가 고고학적 책들도 좀 읽게 되었는데 그러다 만난 책이 <강인욱의 고고학 여행> 이었다. 아! 이 한권만으로도 나는 단박에 강인욱 님의 팬이 되었다. 국내에도 이런 고고학 학자분이 계셨구나 알게 되어 너무 반갑고 자랑스러운 마음이 들었다. 강인욱 님의 글은 남다르다.

[ 강인욱 교수는 고고학자로서 발굴과 연구뿐만 아니라 대중과 교감하는 강연과 글쓰기에도 적극적이다. 이는 우리나라 학문 풍토에서 드문 일인데 실은 대단히 어려운 일이기도 하다. 진정한 대중성이란 낮은 수준의 전문성이 아니라 전문적인 지식을 대중도 알아들을 수 있게 설명하는 또 다른 노력과 능력이 있어야 획득되는 것이기 때문이다. ] 라는 유홍준 교수님의 추천사는 아주굉장히딱! 적당한 추천사다. 정말이지 강인욱 님은 진정한 대중성과 진정한 전문성을 두루 갖춘 고수 중의 고수! 다. 그러니 새 책이 나왔다는 소식에 어찌 손이 가지 않을 수 있을까.

이 책은 집필 과정이 굉장히 자유로웠습니다. 어떤 체계적인 틀을 잡고 시작했다기보다 '기원을 알려주는 유물 이야기'라는 하나의 방향성을 잡은 뒤, 여기에 걸맞은 자료나 주제가 보이면 그때마다 즉흥적으로 글을 써나갔습니다. (...) 이 책에서는 서른두 가지의 유물을 '잔치', '놀이', '명품', 그리고 '영원'이라는 네 가지 키워드로 나누었습니다. 각각의 키워드는 우리 삶의 커다란 네 가지 축인 '먹고' '즐기고' 욕망하고' '죽음을 대하는' 모습을 하나의 단어로 압축한 것입니다. 고고학 유물들과 이들이 들려주는 이야기를 통해 오래전 사람들도 오늘날 우리와 비슷한 삶을 살았음을 독자들에게 전하고 싶었습니다. (p. 8,9) - 프롤로그 中-

프롤로그에서 잘 설명되고 있듯이 이 책은 크게 네 파트로 나뉘어져 있고 그 안에서 먹고 즐기고 바라고 떠나는 인간의 생이 다 들어가 있다. 우리가 일상에서 늘 자연스럽게 먹고 있는 음식과 술이 과거 그 옛날 역사시대 이전의 고고학적 시대에도 먹고 즐겼다는 사실 그 자체도 신선할 수 있지만 그 사실들을 뛰어넘어 인류를 하나로 묶어내는 통찰력어린 관점까지 깨닫고 나면 아하! 무릎을 치며 이 쉽고 재밌게 읽히는 글이 얼마나 깊이 있는 글인지 새삼 깨닫고 감탄하게 될 것이다. 그러면 그 뒤로 이어지는 좀더 고고학적인 이야기들 속 인간의 놀이와 유희와 죽음이 어떤 기원들에서 지금으로 이어져왔는지 더욱 빠져들어 읽게 되어 그때나지금이나 하는 심정이 자연스레 공감되는 것이다.

인간은 역사의 동물입니다. 과거를 통해서 미래를 내다보기 때문이죠. 증권사 애널리스트는 과거 주가의 등락을 근거로 앞날을 예측합니다. 판사는 판결을 내릴 때 반드시 이전 판례를 참고하고 현재 상황을 고려합니다. 의사도 진찰과 치료를 할 때 이전의 임상을 토대로 삼습니다. 이처럼 인간이 미래를 판단하고 예측할 수 있는 가장 확실한 근거는 바로 우리가 지나온 과거입니다. (p. 10)

흔히 우리는 역사를 공부하면 미래를 알 수 있다고 합니다. 고고학도 마찬가지입니다. 고고학자는 과거를 발굴하지만, 그 목적은 단순한 과거 자료의 수집이 아니라 인간의 본성에 대한 새로운 발견에 있습니다. (p. 345) 객관적인 과거는 변하지 않습니다. 과거는 이미 지나가버린 시간대입니다. 하지만 결과적으로 우리가 느끼고 배우는 과거는 변합니다. (p. 346)

고고학은 은근히 반전에 반전을 거듭하는 학문 분야이다. '그때는 맞았으나 지금은 틀리다' 라는 말을 새로운 유물이 발굴되고 새로운 해석기법이 발달하면서 자꾸 하게되기 때문이다. 역사적 사건들은 인간들이 만들어낸 시대의 해석에 따라 다르게 받아들여질 수 있다. 하지만 역사적 유물들은 얼마나 제대로 분석해낼 수 있는 기술이 있느냐에 따라 좀더 일관적이면서도 단단한 무언가, 인간 자체에 대한 핵심적이고 중심적인 무언가를 가르쳐 줄 수 있다. 과거는 변하지 않지만 그 과거를 제대로 알아내는 과정은 결국 인간의 기원에 한걸음씩 다가가 인간적 프레임을 새롭게 다시 제시해줄 수 있다. 그러니까 고고학은 생각보다 굉장히 미래적인 분야랄까?! ㅎㅎ

'너 내가 누군줄 알아' 라는 말을 하는 사람을 꼰대라며 비웃는 경우가 많지만 <세상 모든 것의 기원>을 통해 인간과 인간의 삶에 대한 기원을 생각하다보면 '너 네가 누군줄 알아' 라며 도찐개찐이라는 심정으로 좀더 너그러워진 마음으로 허허 웃게 될지도 모르겠다. 인간은 수천년간 굉장히 많이 변해온것 같지만 인간은 그 기원부터 지금까지 수천년간 그닥 변한게 없다. 그 사실이 이 시대에 절망이 아니라 희망이 될 수 있는 역사읽기가 널리널리 많이 퍼졌으면 좋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