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가들의 마스터피스 - 유명한 그림 뒤 숨겨진 이야기
데브라 N. 맨커프 지음, 조아라 옮김 / 마로니에북스 / 2023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명화는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작품이 가진 예술성 너머의 기록

유명한 그림 뒤 숨겨진 이야기

그림을 감상하는 데 있어 그 생각은 저마다 다르겠지만 세계적으로 유명하여 이른바 명화 라고 불리는 작품들을 대할때면 누구나 이런 생각을 하지 않을까? 왜 이 작품이 세계적 명화인걸까 하는... 우리는 그렇게 그 명화라고 불리는 작품들을 이해하려 노력하곤 하지만 이 책의 저자는 그 질문을 살짝 바꿔본 듯 하다. '명화는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명화의 조건들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우수함을 나타내는 명화라는 표식은 그 작품이 해당 분야에서 가장 훌륭하다고 단언한다. (...) 그러나 작품이 가진 위대함에 감탄하는 일만으로는 그것이 '왜' 위대하다고 여겨지는지 충분한 해답을 얻기 힘들다. 모든 작품 뒤에는 '이야기'가 있다. 그리고 유명한 그림 뒤의 이야기들은 그 그림이 명화로 불리게 된 이유에 작품이 가진 예술성 너머의 다른 것들이 존재한다는 것을 알려준다. (p. 6) 이 책에서는 그림이 가진 위대한 요소를 분석하고 묘사하는 데에서 멈추지 않고 위대하다는 인식을 만들어낸 프레임 밖의 상황에도 주목해, 이젤에서 대중의 환호 속으로 가는 여정이 명화 그 자체만큼이나 매력적일 수 있음을 보여줄 것이다. (p. 7) -서문 中-

명화가 저마다의 개성이 있듯 명화가 되기까지의 여정도 저마다 제각각의 히스토리가 있었다. 저자는 12개의 명화를 골라 각각의 그림들이 어떻게 명화가 되었는지 그 이유들을 살펴본다. 즉 명화는 그저 그림을 잘 그려서 명화가 된 것이 아니라 명화로 만.들.어.진 배경이 있었다. 따라서 'Making a Masterpiece - 명작 만들기' 라는 원제는 저자의 질문을 압축하고 있고, 'the stories behind iconic artworks - 상징적인 예술 작품 뒤에 숨겨진 이야기들'이라는 부제는 그 답들을 압축하고 있다고도 할 수 있겠다.

저자는 12개의 명화를 골랐고 저마다의 히스토리를 시작하기 전 제각각 다른 의문점을 제시하거나 제각각 다른 가치를 분석한다.

보티첼리의 <비너스의 탄생>에는 소수 엘리트 관람자의 흥미를 모으는 일에서 시작한 그림이 어떻게 세계적인 인기를 얻은 명화가 되었는가?

다빈치의 <모나리자>에는 그림 자체가 지닌 우수성과 수세기에 걸친 찬사와 해석중 무엇이 명화를 만드는가?

젠틸레스키의 <홀로페르네스의 목을 베는 유디트>에는 작품이 성별보다 예술적 역량의 맥락에서 보이도록 어떻게 눈을 돌리게 했는가?

베르메르의 <진주 귀걸이를 한 소녀>에는 그림에 대해 알려진 면보다 알려지지 않은 부분이 유명성에 어떤 영향을 끼쳤는가?

호쿠사이의 <거대한 파도>만큼 예술 작품과 대중적 이미지 양측면에서 모두 동일한 수준의 찬사를 받은 작품이 있었던가!

고흐의 <해바라기 열다섯 송이>는 단순히 꽃이 아니라 예술적 이상과 포부를 담은 힘 있는 주제로 해바라기를 선택했던 게 아닐까!

클림트의 <황금 옷을 입은 여인>은 그림이 의뢰된 순간부터 몰수와 다시 돌려받기까지의 여정이 본래의 역할도 회복시켜 준 것이 아닐까!

우드의 <아메리칸 고딕>은 국가가 정체성의 위기와 경제 위기에 직면했을때 나라를 대표하는 이미지가 무엇인지 논의되던 시기였기에 미국인적 표상으로 자리매김 할 수 있었던게 아닐까!

피카소의 <게르니카>는 관람자로 하여금 기존의 전통적 서사와 비유가 지닌 평온하고 지적인 영역 너머의 세계를 보고 느끼도록 한 작품이 아닐까!

칼로의 <가시 목걸이와 벌새가 있는 자화상>는 전통적인 도상학 대신 시적 상징들로 구성된 레퍼토리를 그림에 담은 것이 가치를 얻은 게 아닐까!

워홀의 <캠벨 수프 캔>는 작품을 명화로 만드는 요소가 무엇인지에 대한 기존의 생각에 의문을 제기한 작품이 아닐까!

에이미 셰럴드의 <미셸 오바마>는 아직 명화라고 부를 수 없을지라도 명작이 될 요소를 지닌 작품이 아닐까!

저자가 제시한 질문 혹은 분석 지점에 관심이 가거나 궁금증이 인다면 책을 펼쳐 읽어보면 된다. 큼직한 그림과 길지 않은 해설로 짧고 굵게 명화 속 비하인드를 즐길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때론 고개 끄덕여 가며 때론 갸우뚱해가며 유명한 명화들을 좀더 깊이 들여다보는 일이 은근 재미있다는 것도 느낄 수 있을 것이다. 원래 이야기라는게 뒷담화가 더 재미날때가 있지 않은가? 그림도 그렇다. 아무리 유명한 명화라 할지라도 말이다. ㅎㅎㅎ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