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수학님은 어디에나 계셔 - 알수록 쓸모 있는 생활 속 수학 이야기
티모시 레벨 지음, 고유경 옮김 / 예문아카이브 / 2019년 5월
평점 :
절판
알수록 쓸모 있는 생활 속 수학 이야기
사랑 찾는 알고리듬에서 질병 막는 네트워크 까지 '수학은 어떻게 세상의 도구가 되었을까?'
숫자에 익숙하지 않아도 술술~ 읽히고 쏘옥~ 빠져드는 유쾌한 수학책
나는 수학을 좋아하는 편이다. 애매모호하지 않고 답이 똑 떨어지는 학문이라서 좋다.
그런데 수포자니 뭐니 해서 갈수록 수학을 기피하는 사람들이 많아지는 것을 보면 안타까웠다.
그래서 수학을 좀더 쉽고 재밌게 풀어주는 책을 보면 늘 관심이 간다.
이 책은 그런 면에서 어느정도 유용한 책이다. 일단 정말 술술~ 읽힌다. ㅎㅎㅎ
작가는 컴퓨터 과학자 이자 작가 이자 저널리스트 이자 과학 편집자 이자 인기 팟캐스터까지 다양한 직업군을 넘나드는 영국의 대중 수학자 라고 한다. 정말 다양한 분야에서 두루 활동하고 있지만 수.학.자. 인 것이다. 수학자가 잘난척 하지 않고 수학의 대중화를 위해 이것저것 시도해보는 활동들에 일단 박수는 쳐줘야 할 것 같다.
수학을 수학자만큼 잘 아는 사람이 어디 있겠는가?
잘 아는 사람이 대중에게 쉽고 재밌게 알려주는 것만큼 좋은게 어디 있겠는가?
게다가 많은 사람이 기피하는 수.학.을~!
수학의 진정한 매력을 어필할 수 있는 사람은 저자와 같은 마인드의 수학자들일텐데 수학수험서 말고 수학대중서를 쓸 수학자가 우리나라엔 없는 걸까? ㅠㅠ
책속에는 다양한 수학이론들이 나온다. 하지만 그 이론들은 몰라도 상관없다. 그냥 그 어려워 보이는 이론들이 우리에게 익숙한 일상에 활용됐다는 점에만 놀라면 된다. ㅎ
1장 보물은 어디에 있을까? 에서는 탐색이론이 나온다. 베이즈의 정리 라는 수학이론으로 황금이 가득 든 보물선을 찾아냈다!
2장 수학으로 사랑을 찾을 수 있을까? 에서는 알고리듬이 나온다. 알고리즘이 익숙한데 왜 알고리듬 이라고 표현하지는 모르겠지만, 우리삶에 가장 익숙한 수학론은 아마 알고리즘일 것이다.
3장 수학으로 행복해질 수 있을까? 에서는 데이터를 어떻게 활용하느냐에 따라 인간의 감정이 어떻제 조절될 수 있는지 나온다. 수학은 인간의 감정에 영향을 미칠수 있다!
4장 사람들은 왜 당장 섹스를 하지 않을까? 에서는 게임이론이 나온다. 인간이나 동물이나 당장의 욕구보다 장기적 삶을 생각하면 게임이론을 생각할 수밖에 없다.
5장 픽사는 원을 어떻게 그릴까? 에서는 분할 을 이용한 애니메이션 기법이 나온다. 스티브 잡스가 애플에서 쫒겨나 픽사에 갔을때 어떻게 수학을 이용하여 픽사를 성공시켰는지는 유명환 에피소드 이다.
6장 우연의 일치? 아닐지도! 에서는 확률 에 관한 내용이 나온다. 인간은 누구나 어쩌면 매순간 선택을 하며 산다. 확률은 선택에 아주 중요한 이론이다.
7장 Yjq etgcvgf vig ecguct ucncf? 뭔말인지 읽히지도 않는 이 제목의 장에서는 암호학이 나온다. 암호화의 수학은 앞으로도 우리의 삶에 아주 중요햔 영향을 미치게 될 학문이다.
8장 수학으로 경기를 이길 수 있을까? 에서는 스포츠 데이터 에 대한 내용이 나온다. 승률을 따지는 게임이나 확률이 아닌 데이터분석으로서의 유용함을 느낄 수 있다.
9장 도로가 늘어나면 주행 시간이 줄어들까? 에서는 최적화에 대한 이야기가 나온다. 한국 수학자의 이름이 나와서 반가웠다.
10장 오이가 바람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까? 오이와 바람? 이 생소한 조합에 대해 도시와 생물학의 관계분석을 통한 수학의 유용성을 발견할 수 있다.
11장 내 친구는 왜 나보다 친구가 많을까? 에서는 네트워크 이야기가 나온다. 일명 핵인싸는 나보다 친구는 많지만 나보다 전염병에 걸릴 확률도 높다. ㅋㅋ
12장 우주가 가장 좋아하는 숫자는 무엇일까? 에서는 밴포드의 법칙이 나온다. 개인적으로 가장 생소하며 신기하기도 했던 분석이었다.
이 다양한 내용들이 어렵지 않게 그냥 잡지 보듯이 설렁설렁 읽힌다. 가끔은 키득커리며 웃게 되기도 한다. 두께도 비교적 얇은 편이고 글밥도 많지 않다. 수학을 가볍게 받아들이게 하는 책으로 좋은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