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자의 글쓰기
최병관 지음 / 지식여행 / 2019년 3월
평점 :
품절


이 책은 과학자나 이공계 학생들, 그리고 과학기술계에 종사하거나 과학에 관심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을 위해 쓰여진 책이다.

저자가 과학자들을 대상으로 글쓰기 수업을 진행하면서 느낀 것이 과학자들 중에는 글쓰기를 원하는  사람들이 많지만 이들이 체계적으로 글쓰기를 배울 기회가 없었다는 것이었다고 한다. 그래서 과학자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는 실용적인 글쓰기 책을 쓰기로 마음먹고 무엇보다 저자만의 경험을 담은 책을 출간하고자 이 책을 썼다고 한다. 


글쓰기 라고 하면 문과생들이나 하는 일이고, 연구와 실험이 중심인 과학자들은 글을 못 써도 상관없다는 일종의 통념이 있어왔다. 과학자중에서도 글쓰기를 할 수 있는 사람은 타고난 재능이라고 여겨졌다. 그러다 보니 아예 글을 쓸 생각을 하지 않고, 글쓰기에 대해 배우거나 연습해보려는 노력도 하지 않아 글쓰기에 대한 두려움이 생기고 결국 글쓰기를 싫어하게 된 경우가 많았다고 한다. 하지만 다행히 글을 쓰는 과학자들이 늘고 있다.


과학 글쓰기는 소설이나 시, 희곡 등 문학적 글쓰기와는 달리 타고난 재능보다는 집중적인 훈련이나 학습을 통해 방법이나 기술을 습득할 수 있다고 한다. 글재주가 부족한 과학자라 하더라도 글쓰기 학습을  통해 얼마든지 글을 쓸 수 있다는 것이다. 과학자의 글은 문학이 아니라 실용적인 글이기 때문이다. 과학 글쓰기는 객관적 사실을 독자가 이해할 수 있도록 정확하게 표현하면 된다.


과학자들은 책을 통해 대중의 지적 욕구를 채워주는 역할을 해야 한다. 과학자들이 책을 써야 대중들이 과학자를 기억하고 그 사람의 연구 분야에 관심을 갖게 된다. 과학에 대한 관심을 높이기 위해서라도 자신의 연구 성과를 대중과 소통하고 널리 알려야 하는 시대이다. 과학 글쓰기는 과학자로서 그동안 사회로부터 받은 혜택을 돌려줄 수 있는 방법이기도 하다. 과학자로서의 책무라고 할 수도 있다. 그들만의 리그가 아닌 대중과의 융합을 위해서라도 과학자가 쓴 책은 더 나와야 한다.


무엇을 써야할지 막연해 하는 과학자들에게 저자가 해주는 조언은 어찌보면 당연한 것들이다.

과학자니까 자신이 연구한 분야를 쓰면 되고, 연구한 내용들 중에서 사람들에게 쉽게 다가가지고 생활에 밀착되어 있는 주제들을 다루면 된다고. 하지만 아무나 쓸수는 없는 과학책, 과학자가 쓸 수 있는 과학책을 쓰면 된다고.

하지만 과학적 사실을 다루면서도 전문적이지 않게 쓰라고 하니 또 막막해할 과학자들을 위해 저자는 어떻게 써야 하는지에 대해서도 조언한다.

스승으로 삼을 법한 과학 글쓰기 선배들을 소개하고, 짜임새에 대해 설명하고, 그림과 도표를 충분히 활용하며, 스토리로 엮으라고 얘기 한다. 자신만의 경험을 생각하면 자신만의 스토리는 생각보다 많을 수 있다. 또한 과학자는 수업을 하는 경우가 많으니 수업때 말하듯이 편하게 쓰라고 얘기한다. 혼자가 어려우면 처음엔 공동저술을 해도 좋을 것이라고 응원한다.


이 책은 글쓰는 방법에 대한 책은 아니다. 글쓰기는 쓰고 수정하고 쓰고 수정하면서 나아지는 것인데 책을 읽은 이가 글을 쓴다 한들 저자가 첨삭해서 수정해줄 수 없는 바에야 구체적인 작법을 설명하기도 애매했을 것 같기도 하다. 이 책은 글쓰기를 해보라고 추천하는 책이다. 시작을 두려워하지 말고 시작해보라고 응원하는 책이다. 무엇보다 과학자들이 써온 다양한 책들을 소개하면서 충분히 읽을 참고자료들을 소개한다. 구체적인 글쓰기 방법을 배울 수는 없을지라도 책속의 책을 발견하는 것만으로도 읽을 가치가 있는 책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