붉은 눈 미스터리, 더 Mystery The 6
미쓰다 신조 지음, 이연승 옮김 / 레드박스 / 2014년 6월
평점 :
절판


 

  괴담+호러+미스터리 단편집. 괴담은 문화적인 차이 때문에 조금 이해가 어려울 수도 있습니다. 개인적으로는 얼마 전에 출간된 오노 후유미의 『잔예』는 조금 지루하더군요(물론 전달하는 방식의 문제일 수도 있지만). 반면 미쓰다 신조의 『붉은 눈』은 표제작 「붉은 눈」부터 우리에게는 꽤나 익숙한 괴담을 전하고 있습니다. 특히 마지막 결말을 보면 우리나라에서도 꽤나 유행했던 놀이(?)이기도 하고요. 암튼 이 작품집에 실린 4편의 괴담은 다소 싱겁습니다. 가공되지 않은 괴담은 확실히 재미적인 요소는 덜한 것 같아요. 실제 이야기(?)라 곰곰이 생각하면 더 무섭기는 하지만요.


  허구와 현실이 애매모호해서 어디까지가 허구이고, 어디까지가 현실인지 잘 모르겠더군요. 작가 미쓰다 신조는 실제로 출판사에서 다양한 호러와 미스터리 관련 책들을 기획/편집 했는데, 그런 이야기가 작품에서도 등장을 합니다. 대체로 구성은 어디서 들은 이야기인데, 그 들은 이야기조차 진짜 같기도 하고 거짓 같기도 하고, 어디까지 믿어야할지 애매하더군요. 그래서 그의 이야기들이 더 무서운 것 같기도 합니다. 그럴듯하거든요. 호러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귀신이나 유령이 등장하더라도) 설득력이라고 생각하거요. 설득력이 없으면 실제 무서운 사건을 바탕으로 했어도 무섭지가 않은 경우가 많으니까요.


  개인적으로는 모든 작품들이 다 재미있지만, 미스터리보다는 호러적인 요소가 많은 「붉은 눈」, 「괴기 사진작가」, 「뒷골목의 상가」, 「맞거울의 지옥」 등의 작품들이 재미있더군요. 특히나 「뒷골목의 상가」에서의 어떤 존재가 스멀스멀 다가오는 장면 묘사는 정말 소름 돋습니다. 「맞거울의 지옥」이란 작품도 저 역시 그런 경험이 있어서인지 소름이 돋았습니다. 거울을 계속 들여다보고 있으면, 정말 누군가 나를 쳐다볼 것 같은 그런 느낌이 들거든요. 「괴기 사진작가」 역시 사진가의 방에서 비서와 마주치는 장면, 그리고 벗어나는 장면 묘사가 좋더군요. 미스터리한 이야기이도 하지만, 호러적인 요소가 많아서인지 저는 아주 재미있게 읽었습니다.


누가 왔다……?

지이이이이이잇…….

지이이이이이잇…….

"얘, 안에 있지……?"(진짜 소름 돋았습니다)

어쩌지. 그 여자다…….

"응? 그 안에 있잖니……."

- 「뒷골목의 상가」-


  웰메이드 호러소설이라 생각합니다. 사실 위에서도 설명했듯이 공포소설은 참 어려워요. 특히나 다른 나라의 공포소설은 아무래도 공감대가 떨어지기 때문에 무서움이 조금 덜할 수도 있거든요. 미쓰다 신조의 이번 호러단편집은 뭔가 한국적인 공포의 느낌도 있어서 이해도 쉬울 뿐 아니라 무섭기까지 하더군요(「뒷골목의 상가」는 우리나라 작가가 쓴 작품이라고 해도 믿을 정도). 단편 하나하나가 끝나면, 주변을 둘러보게 되는 묘한 체험을 하게 되리라 생각합니다. 역시나 미쓰다 신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러버 소울 음반 패키지 (도서 + <Rubber Soul> CD)
이노우에 유메히토 지음, 김은모 옮김 / 한즈미디어(한스미디어) / 2014년 6월
평점 :
품절


이노우에 유메히토... <메두사> 이후 정말 오랜만에 국내에 소개가 되는 작품이네요. 다른 작품들도 빨리 소개가 되기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어나더 에피소드 S
아야츠지 유키토 지음, 현정수 옮김 / 한즈미디어(한스미디어) / 2014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야츠지 유키토. 본격 미스터리와 호러 미스터리를 사랑하는 작가가 아닐까 싶네요. 개인적으로 관시리즈 등 본격 미스터리도 좋지만, <프릭스>나 <진홍빛 속삭임>, <어나더> 등의 호러 미스터리도 좋아합니다. 사실 호러와 미스터리는 큰 차이는 없는 것 같아요. 공포의 미스터리한 대상(범인일 수도 있고)을 논리적인 추리로 푼다는 점에서 단순히 놀래키는 공포소설과는 조금 다른 것 같기도 하고요. 두려움의 존재를 느끼면서 범인과 동기도 함께 찾아야 한다는 점에서 오히려 본격보다 저 흥미로운 것 같아요. 물론 조금 애매한 점은 남지만요.


호러. 유령이 등장합니다. 사실 유령이 등장하는 소설의 첫 느낌은 "뭐야, 유치해" 이런 반응입니다. 사실 요즘 세상에, 그것도 다 큰 어른이 유령을 무서워할 수는 없죠. 무엇보다 유령하면 어린 시절 본 영화 《고스트버스터즈》나 《꼬마유령 캐스퍼》 때문인지 무섭기보다는 조금 웃긴 이미지가 있습니다. 만약 아야츠지 유키토의 작품이 아니었다면, 아마도 패스하지 않았을까 싶네요. <어나더 에피소드 S>에 나오는 유령도 무섭지는 않습니다. 사실 사람과의 어떤 관계 자체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무서울 것도 없습니다. 죽는 순간의 잃어버린 기억과 자신의 시체를 찾는 것이 목적이기 때문에 조금은 개인적인 이야기입니다.


청춘. 유령과 함께 제가 싫어하는 작품이 바로 청춘 미스터리입니다. 아무래도 아이들이 등장을 하면 잔인함보다는 유머가 중심이 되기 때문에 제 취향하고는 맞지 않더군요. 그런데 이 작품의 주인공 미사키 메이는 워낙 말수가 적고 어른스러워서인지 아이라는 느낌이 별로 없습니다. 청춘이 등장하기는 하지만, 청춘 미스터리라고 부르기에는 조금 애매합니다. 20대 중반의 유령 남자가 주인공이기도 하거든요. <어나더>에 등장했던 코이치의 비중이 적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어나더> 만큼의 그런 풋풋한(?) 그런 느낌은 살짝 덜합니다.


미스터리. 본격 미스터리의 대표 작가답게 독자들을 놀래키는 여러 장치들이 있습니다. 새롭거나 그런 것은 아니지만, 그래도 이런 소소한 것들이 충분한 재미를 주죠. 알싸한 느낌입니다. 약간의 충격 뒤에 왠지 모를 씁쓸함. 이 이야기의 최종 목적(?)인 죽는 순간 잃어버린 기억과 자신의 시체를 찾지만… 이런 미스터리적인 요소가 있어서인지 책장은 무척 잘 넘어갑니다. 궁금하니까요. 미소녀 주인공인 미사키 메이의 멋진 추리력도 확인할 수 있고요. 명탐정으로의 자질이 살짝 보입니다. 암튼 사랑스런 캐릭터와 뭔가 호러스러운 분위기, 그리고 논리적인 추리와 해결까지 흥미진진한 요소들이 많이 있습니다. 개인적으로 호러 미스터리라는 장르를 좋아해서 조금 주관적일 수도 있는 평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파견의사 - 판타스틱 픽션 블랙 BLACK 6-3 리졸리 & 아일스 시리즈 3
테스 게리첸 지음, 박아람 옮김 / 랜덤하우스코리아 / 2007년 7월
평점 :
품절


리졸리와 아일스 박사의 개인사가 많은 것은 조금 아쉬움. 시리즈의 특성상 어쩔 수 없기는 하지만, <외과의사>만큼의 무섭지는 않았음. 정말 미친 사이코의 등장이 아닌 동기가 확실한 범죄라 예측 가능하고, 충격적이지도 않았음. 살짝 아쉬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붉은 눈 미스터리, 더 Mystery The 6
미쓰다 신조 지음, 이연승 옮김 / 레드박스 / 2014년 6월
평점 :
절판


미쓰다 신조가 레드박스에서도 나오는군요. 개인적으로 한 출판사에서 계속 내 주는 게 더 좋기는 한데... (통일적인 의미에서) 그래도 반갑네요. 개인적으로 가장 좋아하는 작가라서... 오늘 도착 예정!! 빨리 읽어야겠네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