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 어 다크, 다크 우드
루스 웨어 지음, 유혜인 옮김 / 예담 / 2016년 6월
평점 :
절판


이 소설이 데뷔 소설이라고? 책을 잡자마자 마지막 페이지가 나타나 버린 이 책이 작가가 처음 세상에 보낸 소설이란다. 오랜만에 스릴러를 읽었다. 그 오래간 만에 읽은 노력이 아깝지 않게 나는 책을 한 호흡에 읽어 버렸다. 결국 작가의 구성과 이야기의 흡입 속도가 좋았다는 것인데, 어떤 면에서 보면 아주 익숙한 전개이지만 또 다른 면에서 보면 익숙함 속에서 다른 무엇인가를 찾으려는 그런 내 욕심이었을 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든다. 이야기의 중심에 있었던 것 같은 착각이 들게끔 만들어 준 것은 아마도 루스 웨어의 독특한 구성력이 아니었을까 부분이다.

 

10년 만에 연락 온 친구의 결혼 소식, 그것도 친구의 결혼 소식을 전하는 사람은 내가 모르는 사람이다. 그런데 그 메일 속에는 싱글파티로의 초대장이었다. 이런 황당함에 응하는 주인공의 의식 속에는 과거에 대한 기억의 단초가 숨어있다. 그리고 의문을 가지게 하는 또 하나의 정황은 싱글파티에 대한 초대는 있었으나, 결혼식에 대한 초대는 없었다. 이 의심쩍은 상황에 응하는 것, 이상하게 느껴졌다면 작가가 숨겨놓은 이야기 속으로 들어갈 준비가 되었다는 것이다. 과거에 대한 기억이 이 황당한 상황에 놓인 주인공을 사건의 중심으로 끌어들이게 한다.

 

이야기의 구성은 스릴러가 가져야할 좋은 구성을 모두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건의 긴장감을 높이기 위한 고립된 공간, 즉 외부와 연결이 단절된 공간이면서 개방형으로 주변에서 한 곳을 응시하기에 용이한 장소이다. 두 번째 구성은 사건이 벌어진 시점과 현재의 시점의 교차이다. 교차되어 등장하는 주인공의 진술은 사건의 긴장감을 더 높여준다. 현재의 기억은 조각나 있고 과거의 기억은 세밀하다. 조각난 기억이 조금씩 돌아오면서 사건의 진상이 밝혀지는 그런 감질난 전개이지만 그 것이 책의 마지막장까지 이르게 하는 힘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세 번째 이야기 속으로 빨려들게 만드는 장치는 이해할 수 없는 들러리들의 등장이다. 스릴러 혹은 추리소설이 범인을 감추기 위한 이상행동의 들러리를 세우는 전략, 알고 있으면서도 이들이 들러리라고 생각을 못했으니 좋은 구성이었다고 보아야 할 것 같다.

 

출판사의 요란한 홍보문구에 한 두 번 속은 것은 아니지만 영화화 된다는 것에는 찬성이다. 영상이 어떤 모습으로 나올지는 대략 그림이 그려진다. 아주 울창한 숲속에 길도 외길로 뚫린 그런 아주 깊은 숲속에 거실이 훤히 보이는 전면 유리로 된 별장이 존재한다. 그 속으로 달려 들어가는 주인공의 모습 그리고 교차 되어 등장하는 병실에 온 몸에 상처를 입고 누워있는 또 다른 주인공의 모습, 그 화면에는 과거의 기억을 떠올리려고 애 쓰는 모습과 머리를 좌우로 흔들며 자신의 몸에 난 상처를 응시하고 회상하는 모습이 시작이겠지? 영화화 되는 소설을 읽는 재미는 내가 상상한 이미지가 화면 속에 그려지는 것인가? 상상하는 것인데 어떤 모습으로 그려질지 기대가 되는 작품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