괜찮은 내일이 올거야
이시다 이라 지음, 이규원 옮김 / 작가정신 / 2016년 6월
평점 :
절판


괜찮은 내일이 올거야는 금융위기 이후의 일본을 덮쳐온 고용불안을 시작으로 이야기가 전개된다. 젊은 네 사람의 무단 해고 아니 무단 해고라고 하기에는 제도적으로 그런 시스템을 갖춘 일본의 파견회사 법률에 대한 항의를 시작으로 이들이 우연히 시작한 일이 세상의 관심과 주목을 받으면서 이야기는 갈등을 만들어 내고 갈등 속에서 잔잔한 감동을 만들어 낸다. 주인공 네 사람이 가진 독특한 성격 그리고 이력만큼이나 작가인 이시다 이라는 많은 것을 책에서 다루고 싶었던 것 같다.

 

먼저 이시다 이라는 일본의 파견회사 정확하게는 모르겠지만 우리의 계약직 사원과 같은 제도인 것 같다. 이런 제도가 가진 불합리성, 종신고용이 장기였던 일본의 근로제도와는 달리 쉽게 해고가 가능한 제도에 관한 의문을 다루고 있다. 젊은 사람들이 미래를 꿈꿀 수 없게 만드는 제도 속에서 이들이 가질 희망은 없어 보인다. 두 번째 작가는 국가와 인종에 대한 차별을 다루고 있다. 멤버들 사이에서 벌어지는 출신에 대한 차별, 아마도 일본이 가진 중국에 대한 감정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다. 우리가 일본에 대한 감정이 좋지 않듯이 때로는 선의의 피해자가 나타날 수도 있다는 점을 말하고 싶었을 지도 모르겠다. 세 번째 사람의 이기적인 마음에 대한 질문이다. 자신에게 필요한 경우는 우리가 되지만 자신에게 조금이라도 해가 될 상황이면 등을 돌리고 전혀 모르는 사람처럼 대하는 사람들에 대한 약간의 경고라고 생각될 정도를 따뜻한 이야기를 만들어 낸다. 이 부분에서 나는 많은 울림을 받았으니 나도 달면 삼키고 쓰면 뱉어 버리는 그런 삶을 살았던 모양이다. 마지막 이 부분이 조금 아쉽기도 하고 가상이니 그럴 수도 있겠구나 하는 생각이지만 SNS의 힘이다. 블로깅이 가져다준 힘이 일본 열도를 들썩이게 하였다는 점은 신드롬 같은 생각이 든다.

 

누구에게나 시련의 시간은 있다. 그 시간을 보내고 대하는 자세는 개인에 따라 다르지만 그 것을 받아들이는 마음가짐은 이들이 앞으로의 시간을 어떻게 보내고 어떤 준비를 가지고 살아갈 것인가에 대한 시작점이 될 수 있으니 말이다. 그 것을 결정하는 중심에는 아마도 자신의 마음이 이야기하는 것을 따라야 한다는 옛말을 지침으로 삼아야 할 것 같다. 이들 넷이 선택한 마지막 방향은 그들이 기다리는 후생노동성의 준비된 환영식이 아닌 그들을 기다리는 많은 사람들이 기다리는 공원의 한 복판을 선택하였듯이 말이다. 앞으로의 선택은 준비된 형식이 아니라 사람을 선택해야 한다는 생각을 가지는 마지막 부분이었다.

 

무작정 시작한 도보여행 600Km, 이들이 만들어낸 이야기는 삶의 아주 작은 부분이었지만, 그들의 발걸음은 삶의 축소판이 되었던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