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번쯤 일본에서 살아본다면
나무 외 지음 / 세나북스 / 2015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가끔은 이 도시가 아니 나와 비슷한 사람들이 멀게 느껴질 때가 있다. 아니 그 속에 있는 내가 더 싫어 질 때가 있다. 그럴 때 선택을 한다. 여행을 떠나 먼 곳으로 가서 나를 모르는 사람들 속에 나를 던져 놓던지, 아니면 그들의 간섭과 관심을 벗어나 나만의 공간에 들어가 영영 나오고 싶어질 때 까지 버티는 거다. 이런 단계보다 더 증상이 심해지면 그 때는 나와 비슷한 사람이 없는 곳으로 떠난다. 나와 같은 사고 같은 환경 그리고 같은 교육과 같은 말을 쓰는 사람들이 없는 곳으로 말이다. 그래서 완전해 나를 새롭게 만들어 나간다. 그들은 나의 과거가 어땠는지 모른다. 그리고 나는 익숙한 것에 대한 나태함을 버릴 수 있다. 둘의 절묘한 조합이 상승작용을 한다면 어쩌면 내가 그렇게도 싫어하던 과거의 나는 내 몸에서 조금은 떨쳐낼 수 있지 않을까, 내가 만일 외국에 나가 산다면 아마도 이런 마음이 아니었을까? 아마도 이 책은 이 생각이 맞는지 증명하고 싶었을 것이다. 그렇게 떠난 사람들의 삶과 사랑 이야기 그렇게 택하고 읽고 감정을 공유하고 싶었을지 모르겠다.

 

일본? 정말 이들의 일본에서의 삶이 어땠을까? 생김새나 생활습관이 비슷할 것 같은 일본, 가깝지만 가장 멀게 느껴지는 나라, 대부분의 성인 아니 나이가 조금 있거나 연세가 있으신 분들이 이름만 나와도 흥분하는 나라, 나도 다른 건 몰라도 이 나라에게만큼은 우리가 져서는 안 된다는 이상한 생각을 가지게 하는 나라. 이런 생각의 기저에는 아마도 열등감 혹은 패배감에 대한 기억이 남아 있을지 모른다. 누가 심어 놓았는지는 모르지만 민족이나 국가라는 가치관이 만들어낸 내 사고의 일부일지도 모른다. 그런 일본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의 삶은 어떤 모습일까?

 

도전하지 않으면 실패도 없다. 실패는 실패하지 않는 방법을 알려주고 성공으로 가는 방법을 알려준다. 도쿄에 오기 전의 내 인생은 절망적이었지만 도쿄에 와서 모든 것은 매우 희망차게 바뀌었다. - Page 142

 

모두의 삶이 다 그런 것은 아니지만 이들의 삶에는 위의 두 줄의 맥락을 같이 한다. 아마도 내가 생각한 이 책을 읽으며 들었던 생각과 크게 다르지 않았다. 그것은 아마도 자신이 태어난 나라를 떠나는 사람들의 대부분이 그렇지 않을까 한다. 공부를 위해 떠나기도 하고 무작정 떠나기도 하지만 그들의 삶에는 고향이라는 단어가 더 멀게 느껴질 터이니 말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책에 등장한 사람들의 삶과 사랑은 참으로 훌륭하다. 외국인이라는 차별, 문화의 차이 그리고 고된 외국이라는 곳에서의 삶을 살면서도 자신의 모습을 찾아가고 자신의 꿈을 이루니 말이다.

 

2장에서는 그들의 사람이야기가 나온다. 이들이 일본에 살 수 밖에 없었던 가장 큰 이유가 될 지도 모르는 그 많은 이유 중에 가장 큰 이유가 되어준 사랑, 한국인이기에 가질 수밖에 없었던 일본이라는 나라에 대한 기본적인 의식을 깨트릴 수밖에 없었던 이유, 편협한 사고를 가진 나에게 이들의 모든 삶을 이해하게 한, 한 줄의 글귀는 이 책의 백미였다.

 

내가 사랑한 것은 일본이라는 나라가 아닌 어쩌다 일본에서 태어난 한 남자다. -Page195

 

아마도 이들이 일본에 살고 일본으로 떠난 이유는 어쩌다 좋아하는 것이 그리고 꿈을 이루기 위한 장소가 일본이었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