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의 망상
루퍼트 셸드레이크 지음, 하창수 옮김 / 김영사 / 2016년 4월
평점 :
절판


쉽지 않은 책이었다. 과학의 전반에 걸친 역사와 지식 그리고 철학에 이르는 지식을 근거로 현재 과학이 치닫고 있는 논쟁의 중심으로 들어가는 여정은 그렇게 쉽지 않아 보인다. 책이 논란의 근거가 되는 이유는 현재 우리가 배우고 알고 있는 과학에 또 다른 것을 들여오는 과정이라고 보면 될 것 같다. 저자가 기저에 깔고 있는 과학의 사상은 유물론에서 출발한 사상이다. 이것이 어떤 의미를 지니고 있을까? 하는 것은 말 그대로 현존하는 것에 대한 설명과 논리를 근거로 하는 중심을 말하고 있다. 그렇게 되면 어떤 일이 벌어지는 것일까? 놀랍게도 사람의 신체구조와 기억의 세계는 기계적 설명 즉 단백질 덩어리와 신경전달물질의 상호작용 뭐 이런 것으로 설명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저자는 그 곳에 맹점이 있다고 생각을 하면서 현대 과학에 질문을 던진다. 어떤 질문을?

 

예를 들어 자연은 기계적인가’, ‘물질은 의식이 없는가?’, ‘초자연적 현상은 환각일까?’ 이런 것을 과학적으로 설명하고자 하는 시도들에 대한 허점을 이야기하는 것 즉 과학이 모든 것을 대변하고 자연을 지배하는 현상을 설명하고 그 것에 대한 미래에 예측을 하며 발전방향을 잡아가고 있다는 것에 대한 유물론적 과학 사상에 대한 문제를 제기하고 있다. 모든 것을 설명할 수 있는 의식세계?, 있을 수 있을까? 저자는 이런 의문 속에서 과학은 많은 성공을 거두었음에도 불구하고 시대에 뒤떨어진 믿음을 버리지 못하고 있어서 스스로 갇혀있다고 말하고 있다. 열린 세계는 어떤 세계일까?

 

생명현상을 모두 환원주의 즉 모든 생명현상을 물리학적, 화학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는 주장은 현재 심각한 도전을 받고 있는 모양이다. 인체의 현상도 현상이지만 우주를 설명하는 과정에 있어서도 현재의 과학이 담지 못하는 그릇이 있다는 것이다. 그러면서 저자가 들고 나온 것은 우리에게 익숙한 물질과 에너지 보전의 법칙인가? 하는 것을 들고 나와서 예외의 법칙을 보여주고 있다. 재미있는 실험들 즉 한 생명체를 일정 공간에 놓고 관찰하면서 섭취하는 열량과 소비하는 열량을 모두 비교하는 실험을 이야기한다. 먼저 정확하게 일치하는 데이터를 보여준 저자는 예외상황에 대한 설명을 한다. 어떤 상황? 적절한 인풋이 아니거나 적당한 아웃풋이 아닌 상황에서 그 오차는 25% 정도까지 증가한다고 한다. 여기서 이야기 하고 싶은 것은 생명체 속에서 반응하는 것은 또 다른 무언가를 고려해야 한다는 점인데, 현대 과학이 풀어나가야 할 숙제이기는 하지만 정신적인 부분에 대한 칼로리를 생각해야 하는거 아닌가 하는 잡념이 들기도 한다.

 

철학자와 과학자의 사이에 충돌은 사물에 의식이 있는가? 없는가의 쟁점으로 옮겨간다. 즉 과학이 독단적으로 현상만을 가지고 움직이고 있을 때 우리가 한 편에 몰아놓았던 철학적 주장들의 꼭지만 들고 들어오더라도 과학으로 설명하고 있지 못하는 부분들 즉 과학으로 설명이 다 되어 있는 것인데 왜? 시비를 거는 것이냐는 단단한 울타리 속의 과학이 아닌 열린 과학으로 미래를 만들어 나가는 데 과학이 한 일조를 할 것이라는 주장이다.

 

재미있는 것은 물질적인 부분에 대한 과학 즉 현상에 대한 과학 속 의도와 의식 그리고 때로는 영혼이라는 개념의 과학을 첨가하는 의미는 어쩌면 과학이 앞으로 다루고 있어야 할 부분이 아닐까? 의식이 없다고 믿는 사물도 자신이 원하는 생존하고자 하는 방향으로 진화 하고 있다는 말은 우리가 깊이 새겨들어야 하는 부분이 아닐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