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읽는 셰익스피어
오다시마 유시 지음, 송태욱 옮김 / 푸른숲 / 2016년 3월
평점 :
절판


셰익스피어를 읽는 다는 것은 사람과 사람과의 관계를 읽어 내는 것이라는 말이 있다. 셰익스피어의 글에는 인간사가 가지고 있는 관계의 복잡함을 그리고 때로는 감정의 추함과 아름다움을 말하고 있어서 글자 하나하나의 해석이 어떤 의미로 다가올지는 그 책을 읽는 사람의 당시의 몸의 상태와 기분 그리고 감정 상태에 따라 다르게 느껴지기에 대작이라고 말하는 사람들이 많다. 바쁘게 사는 세대, 우리는 이 글로, 속성으로 접하고 싶었던 것 같다. 셰익스피어의 작품을 요약하여 정리한 책을 손에 들고 있으니 말이다. 이미 읽었던 작품도 있고 접하지 못한 작품도 있지만 그래도 한 번쯤 정리하고 싶다는, 무엇을 정리할 것인지에 대한 고민은 하지 못한 채 일본의 셰익스피어 전문가라는 저자의 말만 믿고 그렇게 책을 읽었다. 책은 다시금 셰익스피어를 처음 만났을 때의 기분으로 돌아가게 하였고 그리고 그 느낌은 어려운 수사와 과장된 연극속의 대사로 들어온 것이 아니라 정갈한 요약 줄거리로 들어온다. 어떤 잘 쓰여 진 소설의 서평 속에 들어가 있는 줄거리, 관계의 복잡함이나 감정의 흐름을 따라 읽어야 하는 셰익스피어의 오묘한 대사들을 접하는 느낌이라기보다는 사건을 중심으로 사람이 따라가는 그런 느낌이 들었다. 역시 원작을 읽어야 하는 것인가?

 

원작은 사람의 감정을 따라가다가 사건의 개연을 필연적인 것으로 만들어버리는 데 이 책은 너무 축약이어서 그런지 사건을 따라가는 사람의 감정을 읽어야 하는 그런 느낌이었다. 나만 그렇게 느꼈다면 할 수 없는 일이지만, 또 한 가지 이 책의 어려움은 또 다른 곳에 있었다. 영어로 쓰여 진 셰익스피어의 작품을 일본어로 번역을 하였고, 그 일본어를 다시 한국어로 번역하였다. 번역에 번역을 걸친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죽느냐 사느냐 그것이 문제로다로 잘 알려진 명대사는 이 책에서는 받아들이기 힘든 어정쩡한 해석이 되었으며, 율리우스 카이사르는 줄리어스 시저가 되어 있었고, 불편한 단어의 선택은 우리가 자주 접하였던 셰익스피어의 표현을 조금은 어색하게 만들었다. 그렇게 본다면 우리의 번역가들의 혼과 고생이 느껴지는 부분이 아닌가 한다.

 

제목처럼 처음 접하는 셰익스피어의 줄거리가 궁금하다면 읽기 좋은 책임에는 틀림이 없을 것이고, 어렵게 몇 편의 작품을 완독한 사람이라면 원작의 흐름을 따라 읽는 것이 더 좋을 것 같다는 생각을 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해본다. 그리고 일본어를 번역한 원작이 아닌 원작을 번역한 한국어를 접하는 것은 어떨까 하는 생각이다. 우리의 정서에 맞게 현대의 표현에 맞게 그리고 우리가 자주 접하는 표현을 해주는 우리 번역가들의 노고가 새삼 고맙게 느껴질 수 있으니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