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상한 논문 - 세상에서 가장 유쾌한 지적 수집품
산큐 다쓰오 지음, 김정환 옮김 / 꼼지락 / 2016년 4월
평점 :
이상하다고? 별로 이상하다는 생각이 들지 않는데! 그냥 논문인데 재미있는 논문이라고 하는 것이 더 어울리지 않을까? 논문 하면 어렵고 딱딱하다는 생각이 들어서 쉽게 접근하기 어려운 것이 사실이나 여기에 실린 논문들은 작가의 해설이 있어서 그런지 딱딱하거나 어렵지 않다. 제목을 이상하다고 붙여 놓아서 그렇지 이상한 것도 아니고, 필요에 의해서 연구가 되었을 것이고 그 필요를 인정하였기에 논문집이나 잡지에 실렸던 것은 아닐까 한다. 어떤 내용들이 선택되었는가가 더 궁금해지는 시점이다.
공원경사면에 대한 연구 즉 경사면에 따른 연인들의 행동관찰이라고 하는 것이 더 어울릴 것 같은 논문이다. 이 논문의 필요는 건축학자의 사람을 생각하는 따뜻한 마음에서 연구가 시작되었다. 어떤 경사면에서 사람들이 더 친숙해 지는 것인가? 하는 궁금증, 즉 연구당사자는 건축학자로서 이것을 반영한 건축을 설계하게 되는 것이죠. 이상한 것이 아니라 필요한 것이 아닐까요?
하품에 대한 연구는 정말 이 부분을 읽으면서 나도 하품이 쏟아지는 것을 막을 수 없었다. 일반적으로 알고 있는 산소부족은 하품의 원인이 아니라는 사실, 그럼 어떤 요인이 하품을 하게 만드는 것일까? 야구팬들이 자신이 응원하던 구단이 없어졌을 때 어떤 구단으로 팬심이 이동하게 되는 것일까? 에 대한 연구는 구단 관계자라면 흥미를 가지고 읽어 볼만한 내용이다. 어떻게 팬덤이 형성되고 어떻게 유지가 되는 지 고려해 볼만하다. 끝말잇기에 대한 연구는 알파고를 연상시킨다. 끝말잇기를 하기 위해 분류하고 연산하는 작업을 컴퓨터에 맞기면 어떤 결과가 나올까? 사람하고 대결하게 된다면 사람이 이길 수 있을까?
책에 등장하는 내용들은 조금은 사소하게 넘길 수 있었던 문제들에 대한 고민을 논문의 접근법을 이용하여 풀어나간다. 분명 의문과 가설이 있고 이것을 객관적으로 증명할 만한 실험군과 대조군이 있으며, 원인을 찾기 위한 모델과 그리고 증명이 따라간다. 논문의 형식과 일치한 논문이다. 다만 가볍게 생각하거나 혹은 흘려버렸을 수도 있었던 것이 논문으로 나와 있기에 이상하다고 생각할 지도 모르겠다.
개인적인 생각이지만 여기에 등장한 논문의 저자는 사소한 것을 흘려버리지 않는 끊임없는 관찰하고 호기심을 가진 사람이라고 생각된다. 묵직하고 어려운 것을 증명해 내는 논문이 아니라 일상에서 작은 의문을 증명하고 때로는 고집스럽게 파고드는 사람들 아마도 이 사회를 지탱하는 사람들이 아닐까? 웃음거리가 되지 않고 논문으로 받아준 잡지나, 논문집이 개방적인 생각이 본받을 만하다는 생각이 드는 부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