욕망하는 힘, 스피노자 인문학 - 처음 만나는 에티카의 감정 수업
심강현 지음 / 을유문화사 / 2016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철학자의 이름을 들으면 뭔가 어려운 느낌이 다가오면서 모르는 것에 대한 정의 보다는 아는 것에 대한 관점적인 정의가 더 관심을 가지게 하는 특이한 점이 있다. 봄을 바라보는 휴일, 하루 종일 스피노자의 에티카에 대한 책을 들고 씨름을 했다. 어떻게 받아들일 것인가 보다는 에티가를 읽고 저술한 저자의 관점을 받아들이고 그의 시선을 풀어 쓴 글들로 스피노자의 생각에 다가서는 일이었다고나 할까? 봄을 재촉하는 따뜻한 햇살만큼 그의 글들에서 건져낸 내 인생의 빛들이 무엇이 있을까?

 

서문이 마음에 든다. 자유로운 새와 비둘기의 비유는 지금을 살아가는 많은 비둘기에 대한 경종이 될 수 있다. 아니 누군가에 의존하는 삶을 살아가는 불쌍한 영혼에 대한 일침일 수 있다. 무슨 이야기를 하고 싶어서 처음부터 강한 비유를 들고 나왔을까?

 

에티카를 중심으로 끌고 가는 이야기에서 저자는 에티카를 윤리학이라 정의합니다. 도덕이 그 시대에 미리정한 획일화된 규범이라고 한다면 윤리는 각자가 해답을 찾아야 하고 판단하고 행동해야 하는 자신만의 인식의 틀을 근거로 해야 하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좀 어렵게 다가왔는데 전반적으로 책을 읽고 고민해 본 결과 윤리로 정의한 것은 규범이나 도덕에 얽매인 자신의 가치를 찾아가는 일 즉 타인의 시선이나 누군가의 강요에 의해 정의된 무엇이 아닌 자신이 가장 중요하고 가치 있게 생각하는 가치 예를 들어 사랑이라 할 것 같으면 그 것에 대한 가치를 찾아가는 것이 윤리라고 보는 것이겠지요. 다시 풀어쓰면 세상의 권력자가 되는 것이 개인의 윤리적 성공이 될 수도 있겠지만 대부분의 경우 세상이 바라는 성공을 찾아가는 것이죠. 자신이 원하는 자신만의 삶을 살 수 있는 것 그 것을 스피노자가 추구하고 싶은 것이 아니었을까 합니다.

 

스피노자가 자신의 사상에 이전의 철학자들과 다른 그 무엇을 들고 들어 왔는데 그 것은 철학에 몸을 들여왔다는 것이라고 합니다. 몸이라는 것의 연관 검색어로 욕망이라는 것을 들고 들어와서는 그의 사상에 욕망이 긍정적으로 작요하게끔 이성이라는 것을 끌고 들어와 결과론 적이 아닌 과정에서 얻을 수 있는 진짜 사랑에 대한 관점을 만들었다고 하는 데요. 몸이 변하면 마음이 변한다는 말도 있고 마음이 변하면 몸이 변한다는 말이 요즘 유행 하는 것을 보면 몸과 마음을 떨어뜨려 놓고서는 생각할 수 없다는 것이 요즘의 관점이라고 생각하면 좀 빠른 예견이었을 수도 있습니다. 그래서인지 스피노자는 개인적으로 많은 시련을 받기도 합니다만..

 

철학자 이니까 선과 악에 대한 관념도 빼놓을 수 없을 것 같습니다. 스피노자의 선과 악의 개념은 간단합니다. 처음부터 선한 것도 없고 악한 것도 없다 입니다. 좀 더 쉽게 이야기하면 그 것이 선하기 때문에 원하고 욕망하는 것이 아니라 원하고 욕망하기 때문에 그 것을 선하다고 생각하는 것이라고 합니다. 제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많은 사람들이 원하는 것이 재물이나 돈이라면 그 것도 선이 될 수 있다는 것인데 약간의 의문이 들기는 합니다. 콕 짚어서 이런 것을 이야기한 것은 아니고 정신적인 관념을 이야기 한 것이겠지만 말입니다.

 

이제는 사랑이라는 감정에 대한 이야기를 해 볼까요. 사랑은 선의 범주에 들기도 하지만 많은 사람이 착각을 하는 감정이기도 합니다. 우스운 이야기 이지만 가계 수입이 큰 타격이 가해졌는데도 똑같은 관계를 유지하는 부부가 있다면 그들은 정말 사랑하는 부부일 가능성이 높다고 합니다. 경제적인 어려움이 감정을 유지하기 어렵다는 말인데, 결국 사랑이라는 감정의 정의는 무엇인가에 의해 휘둘리면 안 되는 것인데 왜 휘둘릴까? 의문이 들기 시작합니다. 그 이야기는 책에서 말하기를 그 사람을 사랑한다기보다, 그 사람이 가진 능력이 필요했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사랑이 아니라 필요를 사랑이라고 착각한 것이라는 거죠. 그럼 진짜 사랑은 어떤 것 인가요?

 

그 외에도 스피노자는 이해하는 것과 공감하는 것의 차이, 자기멸시와 자만이 가져올 수 있는 많은 위험한 일들 자유에 대한 관념적인 생각과 욕망을 실현하기 위한 도구로서의 자유 등이 설명이 되어있다. 쉽게 풀어쓴 해설서이고 철학을 전공하지 않은 저자의 설명임에도 어려운 것은 관념과 개념에 대한 자신만의 생각이 확고하지 않거나 받아들이는 것에 대한 거부감이 있었기 때문이 아닐까? 그럼에도 책은 세상을 살아갈 힘을 전해준다. 그 힘은 어디에서건 사랑이 이 세상을 살아가는 힘이 될 거라고 한다면 제일먼저 자신을 사랑하는 힘 자존감일 것이다. 그 것을 가진 사람들 그 것을 지켜나가고 믿는 사람들은 어떤 시련이 와도 증오와 미움 교만의 사냥을 당하는 상황에서도 자신을 지키는 것을 포기하지 않을 것이다. 그 것이 스피노자가 우리에게 하고 싶은 말은 아니었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