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른 노릇 아이 노릇 - 세계적 그림책 작가 고미 타로의 교육 이야기
고미 타로 글.그림, 김혜정 옮김 / 미래인(미래M&B,미래엠앤비) / 2016년 3월
평점 :
절판


아이에게 어른 노릇을 한다는 것이 참 어렵다는 것을 알게 하는 책입니다. 자신은 하기 싫어서 힘들어 하고 차일피일 미루는 일을 우리는 아이에게 서슴없이 이야기하는 일이 있고, 규정화된 것을 당연하다고 생각하며 그 것을 강요하고 받아들이라고 하면서도, 창의성이 없다고 나무라기도 합니다. 아이의 입장에서 보면 정말 일관성 없고 어쩌라는 것인지 모를 말들을 던지고서는 그러면 안 된다는 말은 잎에서 떠나지 않습니다. 저자인 고미 타로는 이런 말을 서슴없이 던지고 있습니다.

 

고미타로의 잔소리 속으로 들어가 보면, 무심코 읽어 주는 그림책 읽어 주기는 하지 말았으면 하는 권고입니다. 아이마다 책장에 머무르는 시간이 다르고 보고 싶어 하는 장이 다른데 어른의 높이에서 페이지를 넘어가고 그림을 설명하고 그 것에 맞춰 아이들의 세상을 가두는 것이라고 하네요. ‘집중력을 강조하면서 아이들이 게임에 집중하는 것을 인정하지 않는 다면 집중력은 어떤 집중력일까요? 오롯이 공부할 때만 필요한 집중력인가요? 당근을 싫어하는 아이는 편식을 한다고 잔소리로 둘러싸이게 됩니다. 만일 어른이 그랬다면요, 그들에게도 잔소리를 할 까요? 만일 그랬다면 우수운 사람이 될 것입니다. 사람마다 취향이 있고 또 자신이 선호하는 일이 있으니 말입니다. 어른에게는 다양성을 요구하면서 아이에게는 획일성을 요구하는 것도 이치에 맞는 일이 아니고요. 남들에게 면목 없다는 말로 아이를 구속한다면 자신의 인생은 어디에 있는 것인가요? 세상 사람들은 다른 사람을 비웃는 것이 주된 일상은 아니지 않습니까?

 

정말 읽는 동안 어른 노릇이라는 것이 정말 상식적인 일인데 그렇게 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을 생각하게 합니다. 어떤 사람은 어른으로서 자신이 당연히 해야 할 일 아닌가 하고 생각하지만 아직 어린 아이이기 때문에 규율이나 도덕, 규범 같은 것을 익혀야 하기 때문에 어쩔 수 없는 일 아닌가 하는 변명을 할 것 같습니다. 하지만 저도 그렇고 많은 어른 들이 그렇고 자신이 하기 싫은 일 어쩌면 자신은 못해 본 일을 아이들에게 권유하고 좋은 것이라고 강요하는 것은 아닌가 생각해 보게 하는 이야기들 이었습니다. 더하기보다 빼기를 더 잘 하는 아이에게 더하기 문제만 풀게 만들고 곱하기 보다는 나누기를 좋아하는 아이에게 곱하기만 권해 주는 사회는 아닌지 그리고 학교에 다니지 않는 아이들은 사회에서 다른 눈으로 바라보며 학교는 또다른 획일성만을 강요하면서 그리고 자신의 개성과 꿈을 펼치라고 구호로만 외치고 있는 것은 아닌지 고민하게 만드는 이야기였습니다.

 

부모로서 제가 무심코 던진 말을 내가 듣는다면 하는 생각으로 책을 읽었을 때 책의 공감은 더 높아질 것 같습니다. 마찬가지로 제가 하기 싫은 일을 아이가 좋아한다고 해서 혹은 제가 좋아하는 일을 아이가 싫어한다고 해서 강요하거나 이상하게 볼 필요는 없을 것 같습니다. 때가 되면 걷고 뛰고 말하고 자신을 생각하고 인지하는 자연스러운 행동이 조금 늦는다고 조급해 하지 않듯이 아이들의 생각도 행동도 그리고 사고도 그렇게 자연스럽게 성장하고 배우며 자신을 찾아가지 않을까 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