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을 사랑한 시대의 예술, 조선 후기 초상화 - 옛 초상화에서 찾은 한국인의 모습과 아름다움
이태호 지음 / 마로니에북스 / 2016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가끔 여행을 다니다 보면 사당이나 서원에서 초상화를 보곤 합니다. 물론 박물관에도 있죠. 대부분이 조선시대의 것이라는 것은 알았지만 붓이 주가 된 시대에 어떻게 저렇게 정밀하게 그렸을까, 하는 생각을 하지만 깊이 생각해 본적은 없었던 것 같습니다. 요즘처럼 사진이 흔한 세상에서는 자신의 모습을 남긴다는 것이 그렇게 어려운 일은 아니지만 책을 읽다 보니 초상화를 남긴다는 것은 그 당시의 지도층이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임금의 초상화인 어진을 그리는 것이 화가들에게는 신분상승과 명성을 얻을 수 있는 유일한 길이었다는 것 역시 이해가 가게 하는 부분입니다. 조선시대 선조들의 모습을 보면서 어떤 생각이 들까 설레는 마음으로 책을 읽었습니다.

 

그림을 얼마나 사실적으로 그릴 것인가에 대한 고민은 화가들에게 가장 큰 고민거리였던 것 같습니다. 최대한 사실적인 묘사를 위해 화가들은 그림에 여러 가지 기교를 들여왔고 그 것이 지금 전해지는 초상화를 통해서 선조들의 피부병을 연구하는 자료로 쓰일 만큼 사실적이며 정밀하게 묘사가 되었다는 것이죠. 그만큼 지금 우리가 접할 수 있는 초상화는 그 시대에 살아있는 인물의 최대한 근접한 모습 즉 사진과 같은 묘사를 볼 수 있다는 것이었습니다. 책에 정말 사진과 비교한 초상화가 등장합니다. 놀랄 만큼 정밀하고 똑 같다는 것에 감탄을 금할 길 없는데요. 황연의 초상이었습니다.

 

책은 초상화의 미술적 가치와 기법 그리고 그 발전사에 대하여 여러 초상화를 중심으로 이야기 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초상화를 통해 조선시대 관복과 의복의 변천에 대한 이야기와 시대상에 대한 이야기를 해주고 있으며, 이런 그림을 그린 화가들이 받았을 보상 그러니까 지금의 임금과 같은 것에 대한 이야기도 합니다. 초상화를 한번 그리려면 얼마만큼의 돈이 들어갈까 하는 생각을 하게 합니다. 많은 생각을 하게하며 그림을 그린 사람에 대한 노고를 생각하게 하고 그림의 주인공인 초상화의 인물에 대한 생각도 하게합니다. 임금의 초상화인 어진이 최고의 화가들의 작품이라고 하였는데 우리나라에는 몇 점 남아있지 않게 된 안타까운 사연도 있고 한꺼번에 48점을 유실하게 되는 일도 있었다는 것을 알게 합니다. 그리고 여인의 초상이 드문 것에 대한 의문은 조선시대의 시대상을 반영하게 하고 있습니다. 그래도 조선 초기에는 부인과 같이 초상을 그렸다고 하는 데 성리학이 자리를 잡으면서부터 점점 그 횟수가 줄어들고 조선 후기에는 일반 여성의 초상을 찾기 힘들 정도가 되었던 것 같습니다.

 

저자는 이렇게 조선시대의 초상들을 보고 그림이야기 시대이야기 그리고 그 속에 담긴 이야기를 합니다. 그린사람의 이야기, 그 안에 들어있는 사람의 이야기도 합니다. 그냥 단순하게 사진이 없던 시절 자신의 모습을 남기기 위한 초상화 속에서 이렇게 많은 이야기가 있었다는 것에 감탄도 있었고, 그 그림에 담긴 역사적 의미도 같이 생각해 보는 시간이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