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 번의 소개팅과 다섯 번의 퇴사
규영 지음 / 나무옆의자 / 2016년 2월
평점 :
절판


매번 소개팅을 하지만 남자로부터 딱지를 맞는 여자가 있습니다. 그 횟수가 백 번이 넘는 여자입니다. 또 한 여자가 있습니다. 남들은 한 번도 들어가기 힘든 회사를 다섯 번이나 그만 둔 여자입니다. 회사를 그만둔 이유는 가지가지 이지만 이 두 여인이 한 집에서 살아갑니다. 두 여인의 나이는 서른두 살, 이 둘이 살아가는 방 속으로 이야기를 끌어 드립니다.

 

서른두 살의 의미가 전해 주듯이 이들의 삶은 연애, 사랑, 직업, 가족 이라는 것에 중심을 두고 이야기가 전해집니다. 책의 표지에서도 느낄 수 있듯이 이 두 여인의 모습은 모두 밝게 묘사 되어있습니다. 심지어 차이고 돌아온 날에도 콧날이 찡하게 슬픈데도 어둡지 않습니다. 그냥 찡한 이야기 속에 열심히 잘 살아가는 지금의 30대의 모습이 그려져 있다고 해야 할 것 같습니다. 저는 남자이기에 여인들의 삶을 잘 모릅니다. 더욱이 젊은 사람들의 삶은 더 모릅니다. 그래서인지 신선하고 세상을 담담하게 받아들이고 가끔은 서로 안아주고 보듬어 주는 이 두 여인의 알콩한 삶이 남녀 간의 사랑이야기 보다 더 신선하게 다가 온 것 같습니다. 작가는 이들의 삶에서 무엇을 이야기 하고 싶었을까? 하는 고민 보다 그냥 이들이 살아가는 삶에 현실의 살아가는 모습을 대입하고 싶었습니다.

 

사랑하는 사람도 있고 이 사람과 결혼도 하고 싶은 우영은 회사를 5번이나 퇴사한 사람입니다. 이번에 퇴사를 한 이유는 글을 쓰고 싶어서입니다. 우영을 묘사하는 여러 가지 에피소드가 있지만 제가 인상 깊게 받아들인 두 꼭지는 결혼에 대한 우영과 남자친구 단오의 이야기였습니다. 그들은 그냥 사랑을 하는 것은 맞지만 청혼을 하지 않습니다. 그 이유는 현실입니다. 우영과 단오가 열심히 일하고 돈을 벌지만 부양해야 할 가족이 있어서 우영과 같이 살 수 없다는 이유입니다. 무모하기도 하고 사랑에 목숨을 걸만큼의 나이는 아닌 이 두 사람은 그렇게 자신들의 현실을 받아들입니다. 언제까지 연인으로 있을지 모르겠지만 아마도 대부분의 사람들이 지금의 모습에 많이 공감하지 않을까 합니다. 두 번째 꼭지는 우영이 퇴사하는 이유였습니다. 서른 늦기 전에 자신이 하고 싶은 일을 하고 싶은 나이입니다. 우영은 그 것을 선택하였고 그 선택이 이루어진 날부터 우영은 현실을 걱정합니다. 카드값 밥값 등을 말입니다. 하고 싶은 일을 하고도 그런 걱정이 없었으면 더 좋았을 것을 지금의 젊은 사람들이 아마도 같은 고민이 아닐까합니다. 그런 시절을 보낸 저로서는 현실에 그냥 앉아 있었던 것이고 지금도 같은 상황이라 매우 부럽고 인상적인 부분 이었습니다.

 

구월이라는 인물은 모든 남자에게 호감은 가는 스타일이나 매번 남자에게 바람을 맞는 스타일입니다. 어떤 이유에서 그럴까 책을 읽는 내내 그 원인을 찾으려고 했었는데 그 이유는 잘 알려 주지 않네요. 아마도 제가 남자여서 그런가 봅니다. 여성분들이 읽었다면 그냥 공감을 했을 터인데 저는 원인을 찾으려고 했었던 것 같습니다. 그냥 평범하고 호감 가는 스타일의 구월의 연애 이야기는 현재를 살아가는 사람들의 이야기 일 지도 모른다는 생각을 해봅니다. 가볍게 무겁지 않게 만나고 싶은데 결혼하고 싶은 구월이 부담이 되었을까요?

 

읽는 동안 많은 미소를 머금을 수 있게 하여준 소설입니다. 매 꼭지에 음식이 나와서 음식과 상상되는 미각적 상상도 같이 할 수 있었고요. 두 여인의 삶이 일상이기는 하지만 매우 당당하고 멋있어 보였습니다. 바퀴가 나오는 그런 방이라면 우울 했을 것 같지만 서로를 배려하는 두 친구의 모습은 남자들끼리는 잘 없는 광경이었을 것 같고, 같이 울어주고 받아주는 모습 역시 드문 모습이었던 것 같습니다. 지금도 이렇게 친구와의 동거를 꿈꾸는 많은 사람들에게 이런 밝은 모습과 당당한 모습이 있었으면 하는 생각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