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인의 애인에게
백영옥 지음 / 예담 / 2016년 1월
평점 :
절판


저자의 소개가 이 글의 중심에 서있는 느낌이다. 고생 끝에 오는 건 아닌 이라 믿으며 라는 글귀가 눈에 들어오는 건 등장인물 넷의 사랑은 그렇게 달콤하거나 아름답거나 동경할 만한 삶은 아니다. 백영옥작가의 글이 여성의 삶에 초점을 두고 있다면 아마도 그의 기저에 깔려 있는 생각은 허탈함 혹은 아픔 혹은 슬픔 같은 것일지 모르겠다는 생각을 해본다.

 

성주를 중심으로 정인, 마리, 수정의 관점에서 기술된 사랑이야기이다. 어떤 사랑을 할 것인가는 각자의 선택이지만 아마도 현대를 살아가는 사랑의 방식이 모두 서술 되어 있는 것은 아닐까 하는 그런 생각을 가지게 한다.

 

먼저 섬뜩할 만큼 철저히 자신만의 관점에서 사랑을 하는 정인의 사랑은 자신이 사랑하는 사람이 다른 여인과 동거하는 집에 들어가 그의 향기와 그의 흔적을 바라보며 자신의 사랑을 생각하고 느끼는 타입니다. 서블랫(세입자가 다시 임대를 하는 방식)으로 연인의 집이 나오자 그곳에 들어가 그의 흔적을 찾지만 그의 흔적 보다는 그와 동거하는 여인의 흔적을 더 많이 기억하게 되는 그녀의 사랑 방식은 스토커 같은 느낌을 지울 수 없다. 그럼에도 그의 행동은 관찰 혹은 스스로의 감정을 자신만이 담아내는 방식이지만, 그 집 주인이 뜨다 만 스웨터를 다시 뜨고 남겨두는 그녀의 행위에서는 섬뜩함을 지울 수 없다.

 

성주와 2년을 동거하면서 그가 다른 여인을 사랑하는 것을 알면서 그에게 집착할 수밖에 없었던 여인 마리. 그녀의 사랑은 집착이다. 영주권을 무기로 삼을 수 있었던 그녀의 우월적 지위가 있었지만 성주는 그녀에게 무엇을 요구하지도 바라지도 먼저 말하지도 않았다. 그녀를 더 집착하게 만들고 그녀의 사랑이 애원에 가까울 수밖에 없었던 것은 그녀가 선택한 사랑의 방식이라는 아쉬움이 남는다. 수정의 편에 묘사된 마리의 모습은 최고의 케리어와 미모를 갖춘 여인이었기에 아마도 성주를 사랑하는 방식이 집착 혹은 자신감의 다른 표현이었을 것 같은 느낌이다.

 

마지막으로 수정, 그녀는 성주가 그녀를 사랑하는 것을 알고 있었다. 하지만 그녀는 그에게 어떤 행위나 말도 전하지 않았다. 그녀가 알고 있는 것은 마리뿐 짝사랑을 하는 정인은 알지 못한다. 하지만 정인의 작품을 묘사하는 과정에서 우리는 정인의 성격을 조금 더 알아 낼 수 있다. 철저함과 꼼꼼 함이 담긴 그녀의 작품 세계가 어쩌면 그녀의 사랑방식과 닮아 있다는 것을 생각하게 한다.

 

이전 작들에 비해 많은 어려운 단어 적 고민을 던지면서 이야기를 전개하고 있다. 가장 많이 고민하는 단어는 사랑과 결혼이다. 이 두 단어의 의미를 생각해 보는 시간을 가져야 하지 않을까하는 느낌. 결혼은 서로가 서로에게 예측 가능한 사람이 되어주는 일이야(160), 일반적이지만 작가의 생각이 가미된 단어 정의 알음 또한 소설 전체를 지배하는 압축된 의미로 다가온다. 알음의 대체어인지. ‘앓다의 명사형인지는 알 길이 없었다.(262) 책장을 마지막 까지 넘긴 나는 알지만 작가의 단어 선택을 음미하는 또 다른 재미가 있다.

 

작가는 작품의 무대를 미국의 뉴욕으로 옮겨갔다. 사랑과 일이라는 두 가지 관점을 모두 받아들여야 하는 여성의 삶속에서 사랑을 선택하든 일을 선택하든 그녀들의 결말은 그렇게 행복한 결말로 받아들이기 어렵다. 모두의 눈에 행복하고 성공한 사람의 이면에 힘들게 지니고 있는 사랑의 몸부림을 담고 있을 지도 모른다. 작가는 그들의 모습에서 사랑의 이면에 대한 고민을 말하고 있는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