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리지널스 - 어떻게 순응하지 않는 사람들이 세상을 움직이는가
애덤 그랜트 지음, 홍지수 옮김 / 한국경제신문 / 2016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사물을 받아들이고 가치관을 정립하고, 바르지 않은 것을 수정하고, 때로는 혁명가의 기질을 발휘하는 것 어쩌면 세상을 움직이고 바꾸는 사람들의 역할 일 것이다. 대부분의 경우 우리는 이 들의 업적을 이야기 할 때 이들의 상황은 절박하였으며, 아주 간절하였고 때로는 기적 같은 일이 벌어지고 꾸준한 노력과 진취적인 기상을 가진 그런 사람들의 이야기를 들었던 것 같다. 하지만 세상은 그렇게 순리대로 만들어지거나 행동하지는 않는다. 때로는 엉뚱한 것이 더 세상을 바꾸기에 적합한 것이 아닐까 한다. 세상을 바꾸고자 하는 사람들은 어떤 사람들일까? 오리지널스가 이야기하는 이런 사람들의 특징은 어떤 것이 있을까?

 

많은 것을 알아보기 전에 간단한 질문들, 최고소득층의 사람들과 최저소득 계층에 사람들 중에 경제적 불평등이 필연적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은 어느 계층이 더 많을까? 절박하고 절실하고 간절한 사람들이 벌인 사업보다 혹시 망할지 몰라 직장을 다니면서 그리고 아르바이트처럼 사업을 시작한 사람들 중 어느 쪽이 더 창의적인 아이디어로 사업을 할 수 있을까? 자신감이 넘쳐나고 항상 긍정적인 사람과 불안하고 질문하고 자신이 부족하고 생각하는 사람들 중에 어떤 사람이 독창적인 아이디어를 사업으로 확장 시키며 성공 시킬 수 있을까?

 

이 외에도 많은 질문이 있었지만 일반적으로 내가 가지고 있었던 독창성의 현실화에를 하는 즉 혁신적 사고와 실천을 하는 방법에 있어서는 조금 다른 의미의 조건을 말하고 근거를 말하고 있다. 위의 질문도 질문이지만 일을 미루는 사람들의 성향을 분석한 결과는 더 흥미롭다. 혁신 혹은 개선을 말하는 사람들에게 지금 할 일을 미루는 것은 죄악이나 다름없는데, 그래서 그런 말도 있지 않나? “즉시 실행하라이 책이 제시하는 근거는 기존의 사고의 틀을 벗어나게 한다. 재미있게도 수긍이 하는 것은 어쩌면 많은 사람들이 꽉 짜여 진 틀에서 움직이는 것에 실패를 보았기 때문일 수 도 있다.

 

어떤 일을 하든 유전적인 부분이 발현될 수도 있고, 이런 성질이 일을 추진함에 있어 보수적이거나 진취적이거나 혹은 긍정적이거나 부정적인 사고를 가져올 수도 있고, 자신의 아이디어를 조직 내에 설파하고 적용하는 것에 있어서도 아이디어만 있다고 해서 그 것을 적용할 수 있는 것도 아니라는 것을 말하고 있다.

 

두껍고 어찌 보면 머리 아픈 책인데 재미있었다. 창의적이고 독창적인 사람이 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할까?를 고민하다 보니 웃음이 나왔다. 책을 다 읽고 나서 내 생활 방식은 어떻게 바뀌는 것이 좋을까? 창의적이고 독창적인 사고를 하기 위해서는, 조급하게 굴지 말고 절박한 상황으로 몰아넣지 말고 되도록 서두루지 말고 미룰 것, 주어진 것에 만족하지 말고 비슷한 무엇이 있는 가 찾아보고 계속 비교해 볼 것, 지금 하는 일에 목숨 걸지 말고 또 다른 내가 좋아 하는 일이 있는지 생계를 유지 한 채 찾아 볼 것, 어쩔 수 없이 맏이로 태어나서 그건 안 되겠지만 막내처럼 행동할 것, 독창적인 아이디어가 있다고 하더라도 주변에 내 편이 있을 때까지는 절대 입 밖으로 내지 말고 내 편을 계속해서 만들거나, 직급이 오를 때까지 기다릴 것, 대세를 따르되 소수의 의견을 항상 담아 두고 실천할 수 있는 방법이 있나 고민해 볼 것.

 

생각보다 많이 재미있었다. 제도권에서 받아온 교육은 순응하는 사람이 되기 위한 사람 즉 사회의 구성원이 되기 위한 교육이었고, 이것에 반하는 사람들이 대부분 독창적이고 창의적인 특질을 가진 사람이라니 어쩌면 우리는 그런 사람들의 짧은 역심을 통해 세상이 바뀌는 것을 보고 있을지 모른다는 생각을 하게 한다. 순응하고 말 잘 듣는 그런 사람보다는 의문을 가지고 세상을 다르게 보며 한 번 해볼까 하는 그런 생각을 가진 사람들이 만들어 놓은 세상에 우리는 적응하며 살고 있다. 그럼에도 이 독창적 아이디어를 실천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제도를 유지하고 있는 사람들을 끊임없이 설득하고, 꾸준히 조금씩 실현해 나가야 한다는 것을 말하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