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흔, 논어를 읽어야 할 시간 2 - 논어 속 네 글자의 힘 마흔, 논어를 읽어야 할 시간 2
신정근 지음 / 21세기북스 / 2015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공자의 이야기입니다. 때로는 공자가 우리의 일상을 너무나도 망가뜨린 것은 아닌가 하는 생각을 하게 할 때도 많습니다. 예를 숭상하고 어른을 공경하며, 그리고 더 많은 인간적인 도리를 다하라고 말입니다. 가끔 인간적인 도리라는 것이 그가 만든 정신세계 혹은 2500년 전에 공자가 살았던 시대의 사회적 규범이었지 않을까 하는 생각도 합니다. 그 것을 우리는 2000년이 지난 조선 시대에서 그리고 그 문화의 영향으로 지금까지 그 당시의 규범을 받아들이고 살아야 한다는 것은 어쩌면 모순이 아닐까 하는 생각도 해 봅니다. 전국시대 중국은 서로 죽이고 죽는 그런 혼란의 사회였기에 공자가 설파한 것은 사람답게 살자는 것이었겠죠. 아니 사람답게 가 아니라 서로를 죽이지 말고 서로 존중하면서 나이든 사람들을 공경하고 조상들을 무서워하면서 그렇게 선하다는 것, 공자의 말로 치면 인()이겠죠. 한 때는 좀 거부감이 많았습니다. 공자가 가져다준 우리시대의 결과물이 그렇게 좋게 보이진 않았거든요. 그럼에도 공자를 떠나지 못하는 것은 아마도 그가 이야기 한 것 중에 따르고 싶은 것이 많았낭 봅니다.

 

저자인 신정근은 마흔 언저리의 사람들에게 논어를 통해 무슨 말을 하고 싶었을까요? 이 나이의 사람들에게 찾아올 수 있는 여러 가지 약해지는 마음을 다 잡고 싶었나 봅니다. 떠밀려 살지 말고 주체적으로 살라는 말은 체일 처음에 가져다 놓았네요. 사회적으로나 가정적으로나 불안하기 그지없는 나이임을 감안한다면 좀 도발적이라고 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럼에도 마음에 들었던 것은 거부할 수 없는 꿈틀대는 무언가를 찾아야 할 시시 인 것 만은 맞습니다.

 

떠밀린 삶을 살면 다수를 따라가니 는 덜 불안하지만 여유가 생길 때마다 뒤를 돌아보며 다른 길을 가지 않았던 나를 부끄러워한다. 이에 반해 좋아하는 삶을 살면 미래를 한 치 앞도 내다보지 못하니 불안하기 그지없지만 충실한 시간을 보내는 만큼 자아의 분열을 겪지 않는다. Page 38

 

선택은 읽는 독자의 몫이겠네요. 그렇게 저자는 자신의 삶을 자신이 지배하면서 살아가라고 합니다. 마흔이라는 나이에 조금 두렵기는 하겠지만 청년의 마음으로 살아야 한다는 것이지요. 자신이 인생의 주인이 되는 삶을 살면서 지배하라는 것이지요. 재미있는 말도 곁들입니다.

불가능한 줄 알고서 무엇이라도 하려고 한 사람 (知其不可而爲者)을 공자라 지칭하면서 불가능 한 것에도 도전하라고 종용합니다. 조금 불안하기는 하지만 앞줄의 인용구처럼 인생을 살면서 후회는 없을 것 같기는 합니다. 자신이 인생의 주인이었으니 말입니다.

 

그리곤 배움에서 멀어질 나이인 것을 감안한다면 꼭 필요한 이야기인 배움에 관한 이야기를 합니다. 즐기면서 배우라는 것이죠. 많이 들었던 인용구들이 나옵니다. 친구 셋이 걸어갈 때, 즐기는 사람을 이기지 못한다는 말도 역시 인용이 됩니다. 배움을 즐거워하고 계속해서 늦추지 말고 정진하라고 합니다. 제가 기억해야 할 사자성어가 있네요. 발분망식(發憤忘食) 말 그대로 화를 내느라 먹는 것을 잊는다는 뜻인데 그러니까 무엇에 전념하다가 삶을 유지하는 먹는 것을 잊을 정도라는 의미를 담고 있는 듯합니다. 최근에 제가 무엇에 몰두하여 밥끼를 잊은 적이 없다는 것을 생각하고는 참 재미없게 산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네요. 가끔 밥 때를 잊을 정도로 즐거운 일을 하나 했으면 합니다.

 

인생의 주인도 되었고, 배우는 것에 두려움도 없어서 새로운 것을 하는 것에 문제가 없다면 다음에 나와야 할 주제는 도전하는 것 이겠죠. 대부분의 사람들이 배우는 것도 도전이라고 생각하시는 분들이 있겠지만 여기서 도전이란 자신의 의지를 좋은 방법으로 실행하는 것입니다. 조금씩 아주 조금씩 차분하게 진행하는 것이지요. 태산을 옮기는 마음으로 말입니다. 여기까지는 마흔 언저리에 저자가 좌절하지 말고 힘있 게 세상을 다시 살아보자는 문구 정도로 보여 집니다. 다음 장 부터는 인생을 어떻게 살아야 할 것인가 하는 문제를 다루고 있습니다.

 

말하는 것, 관계 맺는 것, 최근 가치관의 초점이 물질로 변화되면서 갖추어야 할 생각들입니다. 우리가 많이 알고 있고, 몸에 배어있고 때로는 그 굴레를 벗어나지 못해서 얼치기 가치관을 가지고 있어 이것도 저것도 아닌 애매한 카멜레온의 가치를 형성하고 있을 지도 모릅니다.

 

공자의 사상이 지금의 시대에 무슨 소용이 있을까? 일자리를 놓고 세대 간 갈등을 조장하고 있는 지금 공자의 말이 필요할까? 인성교육을 표방한 학교에서 성적순으로 아이들을 대우하고 있는 현실에서 그의 말이 누구의 귀에 들어갈까? 공자를 배우는 일이 인성을 다듬고 자신을 성장하는 일이 아닌 점수를 따기 위한 외움에 불과한 현실에서 말이다.

 

공자의 말을 다 옳다고 현실에서 따라야 한다고 생각하지는 않는다. 개인이 선택적으로 받아들여야 하지 않을까? 조선시대처럼 유교의 사상이 법과 연결되는 그런 사회는 아니지만 자신을 평안하게 하고 성장하게 하고 때로는 위안의 말을 받을 수 있는 논어에서 마흔 언저리 사람들이 얻을 수 있는 용기와 가치관이 있다면 그 것으로 만족할 일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