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플을 생각한다
모리카와 아키라 지음, 김윤수 옮김 / 다산북스 / 2015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공감이 가기도 하지만 조금은 매정한 느낌이 들기도 하고 그렇다고 성과를 중심음로 이루어진 회사에서 어떤 것이 옳은 것인가 하는 의문도 들게 하는 책이다. 한마디로 성과를 만들어 내기 위한 최적의 조합은 무엇인가? 결국 심플하게 자신이 하고자하는 일만 생각하면 된다는 것인데, 인간관계의 복잡성을 생각해 보면 결국 일에만 집중하게 되는 것은 아닌가 하는 고민을 하게 하는 문장들로 마음을 혼란스럽게 한다. 또는 직원으로서의 성과 혹은 목표에 접근하는 방법 그리고 사장으로서의 역할과 임무에 관한 이야기가 있어서 직원에서 사장까지의 자신의 성장과정에서 어떤 면이 저자를 지금의 모습으로 만들게 되었는가 하는 간접적인 이야기가 될 수도 있다고 생각한다.

 

제목에서처럼 단순하게 성과나 목표를 생각하고 움직이는 단순한 조직 혹은 회사를 만들어 가는 방법에 관한 이야기인데, 가장 마음에 드는 부분은 일을 접하는 태도에 있다. 일본이나 한국이나 대부분은 상명하복의 조직문화를 가지고 있어서 탑다운 방식으로 업무가 전달되고 자신의 의견과 일치하지 않아도 일정부분 상사의 지시를 따르는 것이 조직생활을 잘하는 하나의 문화로 여겨지는 데 이 부분에는 젊은 사람도 연륜이 있는 사람도 불만이 있을 것 같다. 많은 부분 개선이 되어 지고 있다고는 하지만 일을 대하는 태도에 있어서는 저자의 말을 한 번쯤 귀담아 두어야하지 않을까?

 

일은 주어지는 것이 아니라 스스로 만드는 것이다. 즉 모든 밑바탕에는 주체성이 깔려 있다는 의미다. 주체성이 없으면 절대로 일을 잘할 수 없고, 크게 활약할 수도 없다. Page 147

 

우리의 기업 문화로 본다면 주인의식 이라고 할 수 있을 것 같은데 뭐 어떤 부분에서든 창의성을 강조하는 이야기가 유행을 했었던 것을 생각해 보면 그 것이 받아들여지느냐 아니면 경험적 추론에 묵살 되느냐 하는 것의 차이가 있을 뿐이라고 생각된다.

 

사장의 입장에서 보면 어떤 상황이고 위기가 아닐 수는 없다. 너무나 위기를 강조해서 그 것에 대한 민감도를 떨어뜨리는 것은 정말 바보 같은 일이 아닐 수 없으나, 대부분의 기업은 위기를 강조한다.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위기는 교육이나 주입식으로 받아들여지는 것이 아니라 사람에 따른 민감도의 차이에 의해 그 것을 어떻게 받아들이느냐의 문제이지 조직이나 집단의 문제는 아니라고 생각한다. 조직의 위기를 받아들이는 민감도는 자신이 가지고 있는 기득권의 차이에 따라 천차만별의 반응으로 표출되기 때문일 수도 있다. 결국 직원들이 일을 앞에 불안감을 증폭시켜 예민해지게 만들어서 고객의 요구사항을 민감하게 받아들이게 해야 한다는 것은 조금 다른 의견이 나올 수도 있다.

 

위기감을 잃기 때문이다. 사람은 불안하기 때문에 예민해진다. 그래서 고객들의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할 수 있고, 여차 할 때 누구보다 빨리 대응할 수 있다. - Page 182

 

긍정적인 민감함은 좋지만 오히려 그 불안이 분노로 표출이 될 경우 고객과의 관계를 더 험악하게 만들어 판을 깨는 일이 생기지 않았으면 좋겠는 생각이다.

 

배워야 할 점, 때로는 개인적인 생각과 일치 하지 않는 점도 있지만 대부분의 글들에서 저자가 강조하는 심플은 일을 대하는 관점에서 모두 수긍할 수 있따. 단순하게 자신의 목표를 향해 심플한 전략으로 접근하면 되는 것이니까, 그 속에 인력관리 평가 관리 때로는 매정한 다독거림, 등이 필요한 것이니 말이다.

 

책을 읽으면서 회사나 일이 아닌 나 자신을 생각해 본다. 결과적으로 심플하게 내가 사는 목적, 그러니까 가장 행복했던 순간을 찾는 일이 목적이라면 심플하게 주변을 보지 말고 가보자. 내가 원하는 것이 진정 무엇일까? 다시 고민하게 하는 순간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