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노베이터 메소드 - 혁신기업을 만드는 새로운 툴과 시각
네이선 퍼.제프 다이어 지음, 송영학.장미자 옮김 / 세종(세종서적) / 2015년 10월
평점 :
절판


 

불확실성의 시대가 기업의 생존전락과 연관 되면 비즈니스 모델은 그 미래를 예측하기 어려워진다. 기업이 성장모델의 한계에 다다랐을 때 우리는 혁신 즉 이노베이션이라는 단어를 사용한다. 이 단어의 총칭은 기본적으로 기업에는 생존 전락이지만 개인에게는 고통의 시작이다. 점진적 혁신이든, 파괴적 혁신이든 익숙한 환경에서 벗어나야 하며 기존에 가지고 있는 비즈니스 모델을 벗어나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이다. 이 책은 우리에게 어떤 모델을 제시하고 있을까? 네이션 퍼와 제프 다이어는 어떤 혁신 전략을 우리에게 선사할까? 궁금하다.

통찰 문제 솔루션 비즈니스 모델 확장

! 이거 어디서 많이 본 것과 유사하다. 게리 해멀의 혁신 또한 비슷한 플롯을 제안한다. 혁신의 수레바퀴라고 하는 플롯인데, 이 사람이 먼저이니 이 이론에서 조금 더 발전된 것일 수 도 있다.

상상 설계 실험 평가 확대


조금 다른가? 실제 진행을 하다 보면 크게 차이는 없을 것 같다. 그냥 플롯 상으로 확인 하자면 통찰이 상상이 된 것이나, 문제가 설계가 된것, 실험이 솔누션이란 단어로 전환이 된것이다. 다만 크게 다른 차이점을 찾는다면 내제적인 차이가 있어 한 편으로는 큰 차이가 있다고도 말 할수 있다. 이노베이터 메소드에서는 불확정성 혹은 불확실성의 이론이 가미되어 있다. 즉 솔루션에서 프로토타입을 만들어 내는 것이다. 즉 중간과정의 평가를 통해서 진행을 한다는 말인데, 그냥 나름대로 해석을 하면 대량의 물량과 자원을 투입한 실험 평가가 아니라 그와 유사한 작은 단위의 실험을 반복적으로 혹은 상황별로 진행하여 비즈니스 모델의 적합성을 찾아보라는 것이다. 간락하게 설명하면 소단위평가를 진행하고 대단위로 확산하라는 것이자. 이때의 변수가 실패의 원인이 되지 않게 적절하게 전락을 세우는 것이다. 전락에는 가격정책, 비용구조, 고객 유치 및 관리 전략 등이 필요하다.

 

 

기존의 겅영 혁신에 대한 책과의 차이점을 찾는다고 하면, 아니 내가 알고 있는 지식범위에서 새로운 것이 있다고 한다면, 평가 단계에서 평가자는 설계자가 아니라 고객이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역시 불확실성의 사회와 연관이 있는 부분인데 최종 소비자의 반응을 살피라는 것이다. 평가가 설계자의 방식 대비 상당히 효율적인 부분이 아닌가 하는 부분이다. 다음으로 신선하게 다가온 점은 리더의 역할이다. 결정하고 추진하는 사람이 아니라 최고의 실험가가 되라는 부분이다. 결국 실험의 데이터가 비즈니스의 방향을 설정하고 그 확장성의 방법을 알려 준다는 것이다.

개략적으로 이해가 된 부분만 서술하여서 간락해 보이지만 내가 이해하지 못한 부분이 더 많다. 내 나름대로 책의 주장을 받아들이는 방식이기는 하지만 결과적으로 비즈니스 모델의 혁신이 가져올 수 있는 시작부터 끝까지의 이야기가 있다. 어떤 방식이 실패를 줄일 수 있는가 하는 고민이 불확실성 시대와 만나 기업경영의 모델 다양성을 제시하는 것은 아닐까 하는 생각을 해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