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벽에 혼자 읽는 주역인문학 - 세상에서 가장 쉬운 주역 공부 새벽에 혼자 읽는 주역인문학
김승호 지음 / 다산북스 / 2015년 10월
평점 :
절판


주역이 뭐지? 들어보기는 많이 들어 보았는데 내가 알고 있는 지식은 점을 치거나 미래를 보는 사람들이 많이 언급하는 그런 역경이라는 책의 하나 정도로 알고 있었다. 그런데 정말 주역이라는 것이 사심을 가지고 사람들의 마음을 현혹할 때 쓰이는 것일까? 정말 그렇다면 역경이 그렇게 많은 성현들에게 칭송을 받을 만한 글은 아니었을 것인데, 다른 것에 비하여 주역은 좀 어려운 것이 음양오행 팔괘 64괘 등의 이상한 기호와 태극이 있고 이런 것 때문에 더 어렵게 느껴지는 선입관도 있다. 그렇게 생각되는 중에 인문학이라는 꼬리를 달고 나온 주역은 어쩌면 다시 한 번 주역에 가까워지는 기회가 되지 않을까? 하는 그런 생각이 생겨났다. 지금에 와서는 주역은 오랜 시간 사람들이 만들어낸 사물의 형태와 의미를 담기 위한 그런 노력 속에 발전해 오고 그 의미를 파악하는 것에 주력을 두었다는 것을 알았지만 지금도 팔괘에서 담고 있는 뜻을 정확하게 해석하는 것은 이 책 한 권으로는 부족할 것 같다.

 

저자가 말하는 주역이란 무엇인가? 간단하게 말하면 만물의 뜻을 규명하는 학문으로 정의한다. 이 말을 들으면 주역은 모든 학문을 뜻하는 것이 아닐까? 하는 생각을 가지게 하는 데 내가 느끼는 기분은 맞다. 모든 학문 즉 사람이 만들어낸 모든 학문 과학까지도 주역을 통해서 설명이 가능할 수 있다는 생각을 해본다. 그럼 사람들은 만물의 뜻을 규명해서 무엇에 쓸 것인가? 아주 오래된 옛날 사물을 규정하지 못하고 잘 알지 못하던 시대에 사람은 자연의 현상 혹은 일반적인 사물에도 두려움이 있었을 것이다. 그 것을 찾아 두려움을 없애고 자신이 이해하는 눈으로 사물을 바라보는 지식을 가지고 싶었을 것이다. 사물만? 아니 현상과 뜻과 행동과 의미까지 담고 싶었을 것이다. 그 것을 연구하고 담아내는 학문을 주역이라고 한다면 내가 너무 오버한 것일까?

 

저자는 주역이 형성되게 된 과정과 추구하는 바를 설명하고 우리에게 익숙한 괘에 대한 설명을 한다. 두 가지 기호로 만들어진 괘는 사물의 의미를 담고 있고 그 의미는 시간과 공간을 담기도 하며 현재와 과거의 행적을 담기도 한다. 하늘과 땅을 의미하는 두 개의 선을 효라고 하며 이것이 만들어 낸 조합을 8괘라고 한다. 팔괘는 각각의 의미를 담고 있으며 이 괘의 조합은 또 다른 의미로 사물을 나타낸다. 이렇게 이해하면 맞을 것인가?

 

쉽게 설명한다고 한 주역을 읽으면서 조금은 재미있게 조금은 까다롭게 때로는 이것은 저것이고 흑은 백의 반대고 하는 형식에 익숙한 나에게는 포괄적 혹은 비슷한 것 이렇게 해석이 되는 것에 익숙하지 않아 어려움도 있었다. 다만 이 책이 다른 책과 좀 다르게 느껴졌던 큰 차이점은 주역이 형성되는 과정과 괘가 만들어 지는 과정을 이해하는 설명이 막연하게 느껴졌던 괘의 의미를 조금이나마 이해 할 수 있었다.

 

태극기의 괘는 하늘과 땅 그리고 모임과 흩어짐을 의미하는 괘가 있는 것이다. 이젠 태극기를 정확하게 그릴 수 있을 것 같다. 그 것 만으로도 이 책을 읽은 큰 의미가 있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