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로 굿바이
이시다 이라 지음, 권남희 옮김 / 예문사 / 2015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그냥 사랑을 이야기하자. 그 사랑이 언제 다시 이별을 이야기 할지 몰라도 그렇게 사랑을 이야기하자. 아니 사랑이 아니라고 해도 그 남자와 여자의 이야기를 들어 보자 슬로 굿바이는 그 이야기를 담고 있다. 여러 유형의 아니 가지가지의 남녀가 어떻게 인연을 맺고 해어지는 지 그 사연을 담고 있다. 그래서 더 재미있다. 일종의 관음증? 아니면 내가 해 보지 못한 미지의 인연들에 대한 알 수 없는 공감과 부러움 때로는 뭉클한 따뜻함, 그런 것 때문일까?

 

단편들로 구성된 이야기는 짧은 연인들의 이야기는 정말 많은 형태의 인연은 이야기하고 있다. 친구에게 이별통보를 받은 여인 그 여인의 푸념을 들어주다가 그의 연인이 되는 이야기. 흔한 이야기지만 실제로 그런 일이 있을까? 친구의 집에서 구겨서 쓰레기통에 버린 그 침대커버가 그녀의 집에 똑같은 커버가 깔려져 있을 때의 느낌 같은 남자로서 조금 이상하지 않았을까?

 

모두에게 주목을 받는 여인이지만 누구에게도 시선을 주지 않았다. 그냥 나를 제외하고는 말이다. 그렇게 다가온 그녀와의 뜨거운 사랑은 한 여름을 지나 찬바람이 불어오는 겨울 그냥 다른 사람이 생겼다는 말을 마지막으로 그냥 떠났다. , 이것도 어디서 들어 본 이야기 같아 하지만 여자의 잘못일까? 남자의 어리석음일까? 이야기 속에서는 그냥 쿨하게 보내고 마네. 누구나 그렇게 쿨해질 수 있는 것은 아닐 터인데 그렇게 쿨하게...

 

모든 것이 귀찮은 사람인 나에게 그냥 생리적인 욕구를 해결하기 위해서 불러들인 콜걸 그 녀와 나는 사랑에 빠진다. 그녀가 누구와 잠을 자든 아니 그가 나를 물주라 생각해도 좋다. 마지막이라는 마음으로 그녀와 일상적인 관계를 가지고 연인과의 관계를 갖고 싶다고 말한다. 그것이 아니라면 오늘이 마지막 만남이 될 것이라고. 그리고 그 마지막 만남을 예상하고 가져온 그녀의 선물 속에는 개인 전화번호가 들어있다. 찡하고 짜릿하다. 그런데 이것도 어디서 들어 본 것 같고 드라마로 본 것 같은 느낌.

 

모두가 비슷할 것 같지만 비슷하지 않은 사랑에 관한 이야기. 그 이야기 속에서 사람들은 무엇을 바라는지 안다. 나와 같은 공감 혹은 누군가의 이야기 속의 틀에 얽힌 익숙함이다. 그래서 나의 상황에 대입하여 보고 위로를 받는다. 그리고 나도 그런 사랑을 꿈 꿔본다. 비록 상처가 남는 사랑일 지라도.

 

이시다 이라의 이야기는 친숙하면서도 새롭고 새로우면서도 익숙하다. 그래서 읽는 동안 잠깐 예상과 빗나가지 않을까 하는 불안감도 있었고 예상과 맞아서 통쾌함도 있었다. 아니 빗나간 경우가 더 재미있었을 수도 있다. 짜릿하다고 하나?

 

모두의 사랑은 이렇게 간단한 단편하나로 끝나지는 않을 것이다. 하지만 그 이야기가 모이면 장편 소설이 되고 그 속의 주인공이 내가 될 수 있지 않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