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탐정 홈즈걸 1 - 명탐정 홈즈걸의 책장 명탐정 홈즈걸 1
오사키 고즈에 지음, 서혜영 옮김 / 다산책방 / 2009년 11월
평점 :
절판


 

온라인 서점이 발달하기 전에는 우리 동네에도 조그마한 서점이 있었다. 조그마한 서점에서 구석에 앉아 책을 보거나 서점 아저씨와 이런 저런 이야기도 하면서 “학생 이거 한 번 읽어 봐” 하고 말을 건네주던 아저씨의 모습도 어렴풋하게 기억에 남아 있다. 너무 오랜 시간이 지나서 그 아저씨의 모습은 잘 기억이 나지 않지만 돈 없고 책은 보고 싶은 나에게는 그저 좋은 장소와 사람으로 추억의 한 자리를 차지하고 있다. 편리함을 추구하는 세상인지라 택배 문화가 발달되고 서점의 가격보다는 온라인을 통해 구입하는 책의 가격이 더욱 경쟁력이 있어서인지 서점은 하나 둘 씩 우리의 주변을 떠나고 있는 듯하다. 특히 책 도둑은 도둑도 아니라는 우리의 문화 속에서 편안하게 책을 읽을 수 있었던 동네 서점의 정취는 아직도 많은 사람들의 기억 속에 남아 있을 것 같다.




그 옛날 “아저씨 이거는 무슨 내용 이예요?” “재미있어요?”하고 물어보던 추억의 한 자락이 소설로 서점을 옮겨다 놓은 듯 내 손안에 들어와 있다. [명탐정 홈즈걸의 책장]은 소소한 서점에서 충분히 일어날 수 있는 일들을 소재로 미스테리 형식의 단편 연작 소설이다. 책을 소개해 주는 사람, 책을 찾는 사람, 책으로 맺어지는 인연, 책과 얽힌 추억, 그리고 서점 고유의 업무와 얽힌 이야기들이 서점 직원이었던 저자의 눈을 통하여 새롭고 재미난 이야기로 재탄생하여 즐거움을 전해 준다.




‘판다는 속삭인다.’ 편에서는 암호 같은 책을 찾는 한 노인 거동도 불편하지만 책에 대한 욕구와 갈망을 표현하는 듯하여 친절한 교코는 외면하지 못하고 이 책을 찾아가면서 거동이 불편한 노인이 정말 원하는 것을 찾아가는 내용이었다. 책을 통해 전달하는 의미 그 것이 담긴 뜻을 재미있게 표현하였다.




‘사냥터에서, 그대가 손을 흔드네’편에서는 갑자기 사라진 어머니를 찾아 나선 딸과 책을 통해 20년전 죽은 아들의 흔적을 찾아가는 모습 아름답고 추억이 담긴 이야기가 추억의 흔적과 책의 내용과 절묘한 조화를 이루며 아름답게(?) 그려진다.




‘배달 빨간 모자’편에서는 배달시 일어날 수 있는 정황을 탐정이 찾아가듯이 문제의 책을 만들어낸 장본인을 찾아가는 논리적 추리가 돋보이는 작품이다.




‘여섯 번째 메시지’는 가장 소중하게 책을 통해 맺어지는, 책이 담고 있는 뜻과 의미를 공감하는 사람을 만나는 과정과 그를 찾는 책 속의 이야기가 맺어준 인연을 그리고 있다. 모두 책을 소재로 하고 있지만 개인적으로는 책이 맺어준 인연으로 좀더 정이 가는 꼭지였다고 할 수 있을 것 같다.




‘디스플레이 리플레이’는 세상이 만든 편견이 만들어준 해프닝에 조금은 허탈하지만 편견과 가식이 없이 책을 보고 느껴야 하는 것이 아닌가 하는 공감을 전해주었다.




모두다 책을 소재로 하고 서점을 중심으로 이루어진 이야기라 소설 속에 나오는 책을 좀더 알고 있었다면 더욱 즐거웠을 것 같은 느낌도 든다. 서점을 찾아가 읽어 보는 즐거움을 더 해 주는 소설의 느낌은 발을 좀더 수고롭게 할 것 같다.




얼마 전 가장 가까운 서점을 찾아보았다. 전철로 다섯 정거장을 가야만 하는 곳이었고 조그마한 서점이 아닌 대형 서점이었다. 신간 서핑을 하러 갔었는데 북적거리는 사람보다는 한 곳에 자리를 잡고 책을 읽는 사람들이 더 눈에 띄었다.  일본에서는 책을 보고 받아 적는 일이 서점에서는 금기시 되어 있는 모양인데 아직 우리나라는 각박하지 않아서인지 앉을 자리도 조금 있고 노트를 펴놓고 메모를 해가면서 책을 읽는 사람들도 눈에 띄었다. 비슷한 서적을 몇 권 골라 놓고 읽고 있는 젊은 학생과, 아이를 데리고 와서 책을 읽어 주는 엄마의 모습, 경영서 앞에서 책 몇 권을 골라 계산하는 중년의 신사들 그리고 인문서 앞에서 열공 모드로 책을 읽고 있는 학생들의 모습까지 우리의 서점은 책을 사기 위한 공간으로 활용  되기도 하지만 많은 지식을 전해주는 문화 전달 매체의 역할도 같이 하는 것 같다.




이와 같은 서점의 많은 사람들의 모습을 오사티 고즈에는 시리즈물로 책을 써내려갈 모양이다. 우리처럼 대형 서점만이 살아남는 경제 구조가 아닌 100평 규모의 중형 서점에서 사람 사는 냄새가 나는 책과 얽힌 이야기가 더욱 기대되는 대목이다. 




책을 통해 맺어지는 인연이 다른 무엇보다도 오래가고 소중하게 만들어 진다고 하던데, 온라인이 아닌 오다가다 똑 같은 책에 손이 겹쳐져서 만나는 사람이 우정도 좋고 사랑도 좋고 그냥 스쳐 지나는 인연이 되더라도 사람이 얼굴을 맞대고 편안하게 서점에서 책 이야기를 할 수 있는 그런 시간과 장소가 그리워지는 것은 나만의 생각일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