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울아 거울아
그레고리 머과이어 지음, 한은경 옮김 / 민음사 / 2009년 7월
평점 :
품절


선과 악의 개념을 설명하는 일에는 고전이 가져다 주는 의미가 간단 명료하면서도, 확실하게 의미를 전달해 주는 것 같습니다. 책을 통해 우리가 얻으려 하는 것도 아마도 선하게 살려는 인간의 본성과 자신의 고민을 해결해 보고자 하는 생각이 먼 밑 바닦에 깔려 있지 않나 생각해 보기도 합니다.

책 소개부분을 스킵하고 바로 책읽기를 시작하다 보니, 책의 내용을 읽어 내려가는 일에 혼동이 좀 오더군요. 역사적 인물을 소설에등장 시키다 보니 역사의 한 장르인듯 하면서도 이야기의 내용은 어린시절 어디선가 많이 읽고 듣던 내용이어서 머릿속이 매우 혼동스럽게 느껴졌습니다.  결국 저의 이런 혼동은 결과를 빨리 알고 싶어하는 조급함 때문에 앞의 중요한 부분을 놓친것이 원인이 되었던것 같습니다.  작가의 소개나, 글의 성격을 파악하고 책읽기를 시작했다면 많이 수월하게 이해가 되었을 터인데 하는 생각도 해봅니다.

책 소개에서 언급되어 있듯이 이 글의 구성은 패러디를 매개로 시작을 합니다. 다만 역사적으로 실존했던 인물, 특히 마키아벨리 라는 걸출한 작품을 남긴 사람의 모델이 되었다는 사람을 등장 시키므로써 그 시대의 역사적 사실을 터치하면서, 패러디의 근간을 건드리지 않는 멋진 구성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일곱난장이가 약간 변형된 형태로 등장을 하고 사과는 그대로 사과의 형태로 등장을 하면서 이 이야기가 무엇을 패러디 한 것인지 글을 읽는 사람들로 하여금 패러디의 묘미를 느끼게 하여주는 맛도 살아나는 것 같습니다.  

등장인물들의 성격이나 그시대의 사회상이 조금은 환타지적인 요소를 지니고 있고,  그 시대의 사람들의 보편적인 생각이 어떻했을 것이다 하는 부분은 저자의 배경 설명 혹은 주인공의 주변인물들에 대한 생각으로 표현을 하여주고 있습니다.

선과 악을 생각하기에 조금은 불확실한 결말로 마무리 지어 지면서 읽는 사람들에게 더 많은 생각을 하게 만들어 주는 부분도 원작이 전달하려는 의지와 작가가 패러디 하면서 글읽는 사람에게 전달하여 주려고 하는 메시지의 차이를 확연하게 보여주고 있습니다.

패러디에 대한 경험이 적고 사실 처음 접한 작품이기에 조금은 당황하였지만, 다른 일반 창작물에서 느끼지 못하는, 자신의 사고 즉 기존에 가지고 있던 생각과 그 생각을 가지게 만들었던 글을 조금은 변형시킨 글에서 우리는 더 많은 생각과 현재를 살고 있는 사람들의 고민을 들여다 볼수 있게 하여주는 것 같습니다.

줄거리를 알고 있는 글을 다시 읽으면서도 전혀 다른 느낌을 전달하여 주고,  다른 방식의 글읽기와 생각을 만들어주는 글이기에 더욱 애착이 가는 글 이었다고 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작가의 다음 작품도 기다려 지게 만드는 이유가 여기에 있을 것 같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