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곱 번째 달의 무르무르 Nobless Club 13
탁목조 지음 / 로크미디어 / 2009년 5월
평점 :
품절


제목에서 느껴지는 몽환적 분위기와 책의 겉표지는 무언가 상상하는 듯한 느낌으로 다가오는 책이다. 환타지 소설이라는 이름의 책을 그리 많이 읽어 본 것이 아니어서인지 약간은 낯설게 책장 넘기기를 시작하였다. 스포러라는 주인공의 성장과 모험이라고 해야 하나 그런 것을 그린 듯한 느낌이다.




일곱 번째 달의 무르무르 라는 제목에 호기심이 끌려 달이 일곱 개가 있나? 그달 이름이 무르무르 인가보다. 하고 시작한 책 읽기는 독자인 나에게 책을 처음 접하였을 때의 상상을 무너뜨리면서 시작을 한다. 수컷과 암컷이라는 표현이 등장하고 인간 종족이라는 표현과 함께 각자의 특성을 지닌 인간 종족의 설명과 그들의 장기 또 이러한 인간 종족이 어울려 사는 모습을 아니 모험하는 모습을 그려나가고 있다. 결국 흰머리 산이라는 미지의 목표를 향해 일행의 움직이고 이 과정에서 작가의 상상력은 내 머리의 상상력의 모든 것을 흔들어 놓고 더 멀리 도망가 버린다. 다음 장에 어떤 모습으로 글이 이어져 갈지 상상하는 것을 허락하지 않는다. 무협에 나오는 단어도 나오는 것 같고, 외계 생명체가 나타날 때 쓰는 말도 나오는 것 같다. 상상을 항상 넘어서는 단어들과 상황 설정에 적이 당황스럽기도 하다.




이 책은 장수가 좀 되는 편임에도 불구하고 책장을 넘기는데 어려움은 없었다. 다만 독자에게 너무 많은 궁금증을 던져 주고 있어서, 책을 덮은 후에 약간 부담스러운 면이 좀 남는다. 책을 다 읽었는데 계속 상상을 하고 있게 만드는 그런 몹쓸 상황이 되버렸다는 이야기다.




익숙하지 않은 환타지 소설을 읽어 내려가면서 글 읽기의 편협함도 생각해 본다. 상상력으 조화를 위하여 설정을 만들고 거기에 이야기의 고리를 노치지 않고 만들어 나가는 열정이 있는 작가가 있는데, 책을 너무 편식하고 있지는 않았나 하는 생각이 든다.




누군가와 소통하기 위하여 책을 만들고, 작가와 공감하기 위하여 책을 읽는다는 이유만 있다면, 좀 황당하게도 느껴지기는 하지만 책의 의미는 항상 소중하다고 생각이 된다.




정말 오랜만에 굳어진 상상의 머리를 굴리느라 고생 좀 했다??보는 묘미와 비슷한 것 같다. 




마지막으로 한 가지 더 언급하자면 다른 종족이 나오고 다른 능력을 가지고 있지만 이 소설에서는 서로 협동하면서 만들어 나간다. 즉 자신이 잘 할 수 있는 일들을 하면서 모험을 한다는 설정이다. 여기서 거래는 아주 공평하게 이루어진다. 저자의 의도와 설정이 있었던 없었던 간에, 잘 하는 것을 맡겨주고, 각자의 역할을 해나가는 모습은 지금 현실에서도 필요한 모습이 아닐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