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01 | 102 | 103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착한 중국 나쁜 차이나
임대근 지음 / 파람북 / 2022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중국 전문가가 바라본 중국의 모습, 이 책을 통해 그 관점을 배워보고 싶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지루할 틈 없는 경제학 - 옥스퍼드 경제학자가 빠르게 짚어주는 교양 지식
테이번 페팅거 지음, 조민호 옮김 / 더난출판사 / 2022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지루할 틈 없는 경제학 (테이번 페팅거 著, 마이클 드라이버 畵, 조민호 譯, 더난출판사, 원제 : Economics without the Boring Bits by Tejvan Pettinger)”를 읽었습니다.


저자는 테이번 페팅거 (Tejvan Pettinger)로 옥스포드 대학교에서 경제학을 가르치는 분입니다. 또한 경제지로 유명한 ‘이코노믹 리뷰’의 고정 필진으로 활동하고 있는 분이기도 합니다. 그런데 특이한 이력으로 사이클 선수 경력도 가지고 있는데 영국 챔피언을 지내기도 했다고 합니다. 몇 권의 저서를 집필하였는데 그 중 우리나라에 번역 소개된 책은 “경제학 무작정 따라하기 (김정수 譯, 길벗, Cracking Economics)”, “케인즈라면 어떻게 할까? (장진영 譯, 시그마북스, 원제 : What Would Keynes Do? )” 등이 있습니다. 


이번에 읽은 “지루할 틈 없는 경제학”은 테이번 페팅거의 근작으로 경제학이 여러 사회 현상이나 정책적 의사결정과의 상관 관계에 대해 쉽고 재미있게 설명하고 있는 책입니다. 


스마트폰 생산 과정 및 가치 사슬을 통해 분업을 설명한다던가, 농업 보조금 등 직접 지원이 얼마나 큰 효과를 발휘할까, 통화 정책 중 양적 완화에 대한 설명, 보복 관세가 경제에 미치는 영향 등  책을 구성하고 있는 아티클 하나 하나가 경제학적 개념들을 쉽게 설명하면서도 깊이가 있습니다.  특히 언론 등에서도 자주 범하고 있는 경제학적 현상에 대한 오류 등을 많은 사례를 통해 설명하고 있어 실질적인 도움이 많이 될 것 같습니다. 


전 세계적으로 이민이나 난민 문제는 심각한 정치적 이슈입니다. 우리나라도 역시 예외는 아닙니다. 저자는 책에서 경제학적 관점에서 이 문제를 다루고 있습니다. 특히 이민이나 난민자 대부분은 노동 가능연령대의 사람들로 더 나은 삶을 살고자 하기 때문에 당연스레 취업해서 일하려는 의지가 매우 강하다고 전제하고 이들을 적극적으로 수용하는 게 노령화에 따른 여러 문제나 출생률을 높이는 주요 해결책이 될 수 있다고 지적합니다. 물론 순기능만 있는 것은 아닙니다. 주택 가격, 임대료 상승 등 여러 문제들이 발생할 수 있고, 인구 증가에 따른 의료, 교육 등 기반 서비스 확충에 따른 예산 소요의 문제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노동 공급의 증가와 더불어 당연하게 증가하는 소비 지출은 내수 시장을 더 건전하게 만들고, 그에 따라 노동 수요 역시 따라서 증가하게 되므로 노동 총량이 고정되어 있을 것이라는 오해로 인한 이민자 혹은 난민에 대한 편견은 잘못된 것이라고도 주장합니다. 실제 통계상 이주 노동자에 의한 임금 수준 하락은 근거가 없다고도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경제학 용어 중에 매몰 비용 (sunk cost)라는 것이 있습니다. 이러한 매몰 비용을 포기하지 못해 발생하는 의사결정을 매몰 비용의 오류라고 합니다. 어떤 프로젝트에 많은 비용을 지출한 경우 해당 프로젝트를 계속 진행하는 것이 최선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이미 지출한 비용 때문에 계속해서 진행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즉, 과거의 실수를 인정하지 못해 발생하는 오류입니다. 많은 의사결정에서 이러한 매몰비용의 오류를 발견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오류의 원인을 저자는 행동경제학자들의 이론으로 설명하고 있습니다. 사람들은 일반적으로 손실과 이익을 동등하게 평가하지 않는 경향성을 가지고 있다고 말입니다. 어떤 것을 소유하고 있을 때 애착을 느끼는데 이미 지출한 비용에 대해서도 동일한 정서를 가지고 있다는 것입니다. 지금껏 들인 노력과 돈을 생각했을 때 이러한 프로젝트를 포기하게 되면 심리적 타격을 입는다는 것이지요.


이 책에는 많은 경제학적 개념들이 등장합니다. 어떤 것은 기존에 알고 있던 내용도 있고, 새롭게 접한 개념들도 있습니다. 알고 있던 개념이라 하더라도 저자의 인사이트가 반영된 사례를 통한 설명으로 이해가 깊어지기도 합니다. 대중 경제학 서적으로 손색없는 책이라 생각하며 경제학에 대해 입문하고자 하는 분들에게 추천드리고 싶습니다. 


 



#지루할틈없는경제학, #테이번페팅거, #마이클드라이버, #조민호, #더난출판사, #책과콩나무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직접 읽고 주관에 따라 서평을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최전선의 사람들 - 후쿠시마 원전 작업자들의 9년간의 재난 복구 기록
가타야마 나쓰코 지음, 이언숙 옮김 / 푸른숲 / 2022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최전선의 사람들 (가타야마 나쓰코 著, 이언숙 譯, 푸른숲, 원제 : ふくしま原発作業員日誌 イチエフの真実、9年間の記録)”를 읽었습니다. 






이 책은 동일본 대지진으로 인한 후쿠시마 원전 사고 이후 이를 수습하고 재난을 복구하는 현장을 기록한 목숨을 건 르포입니다. 

저자인 가타야마 나쓰코 (片山 夏子)님은 ‘도쿄신문’ 기자로 9년 간에 걸쳐 후쿠시마 제1원전 수습 및 재난 복구 현장을 취재하였고 그 결과물이 이번에 읽은 “최전선의 사람들”입니다. 

“체르노빌 생존 지침서 (케이트 브라운 著, 우동현 譯, 푸른역사, 원제 : Manual for Survival: A Chernobyl Guide to the Future)“, 체르노빌의 목소리  (스베틀라나 알렉시예비치 著, 김은혜 譯, 새잎, 원제 : Чернобыльская молитва)”, “체르노빌 히스토리  (세르히 플로히 著, 허승철 譯, 책과함께, 원제 : Chernobyl: The History of a Nuclear Catastrophe)”, “그날 밤 체르노빌  (애덤 히긴보덤 著, 김승진 譯, 이후, 원제 : Midnight in Chernobyl: The Story of the World's Greatest Nuclear Disaster)”과 같은 핵재난을 다룬 논픽션이 우리나라에 상당수 출간되기도 하였습니다. 

앞서 언급한 책들도 모두 훌륭한 책이지만 이 책, “최전선의 사람들”은 바로 그 현장에서 저자가 작업자들과 함께 이야기한 기록의 결과물이라는 점입니다.  


일본 정부는 2021년 도쿄 올림픽과 패럴림픽 기간 중 후쿠시마 원전에서의 복구 작업을 중단시켰습니다. 복구 작업이 완료되어서가 아닙니다. 올림픽과 패럴림픽 기간 중 ‘원전 사고가 나서는 안된다’는 이유였습니다. 그리고 일본 정부는 방사능 오염수를 해양 방류하는 결정까지 내립니다. 방사능 오염 지역에 (희망자에 한해서라고는 하지만) 주민들을 복귀시키기도 하는 결정을 내립니다.

원전에 의한 핵재난은 아직 끝나지 않았고 복구 작업 및 폐로까지는 갈 길이 멀지만 일본 정부는 책임은 커녕 은폐를 일삼으며 마치 원전 사고가 끝난 것처럼, 아니 없었던 것처럼 굴고 있습니다. 


‘누군가는 해야 하는 일’. 

이 말이 가장 마음에 와 닿습니다. 하지만 위험한 일을 하고 있으니 당연히 보수는 높을 것이라는 예상과 다르게 그들의 임금은 동결되었으며, 보너스는 원전 사고 후 회사의 부담을 핑계로 삭감된 채 여전히 그대로입니다. 아니 오히려 피폭 위험 때문에 작업 시간이 줄어들었으니 잔업 수당은 아예 사라졌습니다. 일은 힘든 정도가 아니라 목숨을 걸어야 합니다. 하루 위험 수당 1,000엔에.

그나마 일부 고농도 방사선량 작업자 일부를 제외하고 2018년 4월부터 위험수당마저 없어졌습니다. 피폭은 작업자들이 당하는데 돈은 회사가 가져간다는 말이 예사롭지 않습니다. 경비는 해고되고 식사는 사비로 내야 합니다. 또한 암 검진 대상에서도 제외시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장에서는 시민들이 사명감 하나로 복구 작업에 힘을 쓰고 있습니다. 


인류는 통제할 수 없는 불을 만들어 내고야 말았습니다. 인류는 그 불로 인해 만들어지는 폐기물 처리조차 못하고 있는 실정입니다. 또한 이 불로 인해 수많은 인명 피해도 발생했습니다. 그들의 희생으로 싼 에너지를 얻고 있습니다.

역사는 미래를 보여줍니다. 쓰리마일은 체르노빌을 예언했고, 체르노빌은 후쿠시마를 예언했습니다.핵재난이 있을 때마다 다시는 이런 일이 일어나지 않는다는 말들만 반복되었습니다. 역사를 통해 배우지 못하면 다시 그 일은 일어날 수 있습니다. 아니 일어난 일은 언젠가 다시 일어나게 될 것입니다. 언제, 어디냐의 문제만 남았을 뿐.



#최전선의사람들, #가타야마나쓰코, #이언숙, #푸른숲, #사회비평, #리뷰어스클럽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직접 읽고 주관에 따라 서평을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마법소녀는 왜 세상을 구하지 못했을까? - 소녀가 소비하는 문화, 그 알려지지 않은 이면 이해하기
백설희.홍수민 지음 / 들녘 / 2022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마법소녀는 왜 세상을 구하지 못했을까? (백설희, 홍수민 共著, 들녘)”을 읽었습니다.


이 책은 청소년 혹은 어린이 문화 중에서도 특히, ‘소녀’가 향유하는 문화에 대한 인문학 담론서입니다. 공저자인 백설희님과 홍수민님 모두 소녀 문화에 많은 관심이 있으며, 특히 홍수민님은 아예 아동문화를 전공하는 분이네요.


마법소녀는 소녀문화를 상징하는 대표적인 컨텐츠입니다. ‘요술공주 밍키’나 ‘달의 요정 세일러문’ 같은 고전물부터 최근의 ‘캐치! 티니핑’까지 다양한 컨텐츠들이 아이들의 이목을 끌지요. 하지만 아이들의 시점과 어른들의 시점은 다를 수 밖에 없습니다. 아이들은 마법소녀들이 악을 물리치고 세상을 구하며 우정을 만들어가는 콘텐츠를 흥미롭게 즐기겠지만 어른들은 많은 마법소녀들이 보여주는 고정적 성역할에 걱정이 되는 것도 사실입니다. 


이 책에서는 소녀(少女)를 본질적 존재가 아니라 사회 문화적 존재라 이야기하며 근대 이후에 인식하게 되었다고 이야기합니다. 사실 근대 이전은 소녀 뿐 아니라 아동에 대한 인식 자체도 없었고 성인과 아동이 바라보는 세계의 차이에 대한 개념조차 갖지 못했다고도 이야기합니다. 


특히 우리 어른들은 문화 소비자로서 소녀(少女)를 전혀 이해하지 못하고 있음을 지적합니다. 아이를 낳고 기르면서 일상의 대부분을 아이들을 중심에 놓고 있음에도 말이지요. 소비는 비용을 지불하는 최종 단계가 아니라 그 결정과 향유 과정이 더욱 중요합니다. 하지만 보통 소비를 비용 지불이라는 최종 단계에 두면 소비 패턴에 대한 오해가 발생할 수 밖에 없다는 것입니다. 이 주장을 통해 아동 문화나 소녀 문화의 향유에 있어 아동이나 소녀들이 소비의 주체가 되어야 하고 어른들은 이들의 방관자나 통제자가 아니라 협조자가 되어야 한다는 주장에까지 이르게 됩니다. 


아이들을 키워보셨더라면, 아이를 키우지 않았더라도 디즈니 애니메이션에 관심이 있는 분들이라면‘겨울왕국’을 기억하실 겁니다. 흥행과는 별개로 아이들, 특히 여야들의 문화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 작품입니다. 디즈니의 주인공들이 과거에는 고정적 성역할을 부여받고 순응적인 여성성을 보였다면 21세기 이후 관습적인 여성성을 거부하는 것으로 변화하였다고 책에서 이야기하면서 특히, ‘겨울왕국’의 주인공 엘사는 ‘권능’을 부여 받은 존재라는 평가를 내립니다.  

어린이들은 언제나 절대적 약자의 자리에 있기 때문에 문화 컨텐츠에서 주인공들이 가진 ‘권능’은 동경의 대상이 될 수 밖에 없다고 주장합니다. 그렇기에 성별 관계 없이 슈퍼 히어로, 공룡, 로봇 등의 인기가 높을 수 밖에 없다고 진단하고 있습니다. 어른들의 간섭, 통제, 억압으로부터 자유롭고 싶어하는 심리적 기제와 열망이 ‘권능’에 투사되는 것이겠지요. 

바로 엘사가 가진 것이 그동안 디즈니 프린세스에게 허락되지 않았던 ‘권능’이었기에 소녀들이 그렇게까지 열광하였다는 것입니다. 또한 엘사와 안나, 두 주인공은 다른 사람들의 도움 없이 스스로 힘과 권력, 권능을 깨닫고 되찾아, 스스로 일어서는 서사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저자들은 ‘겨울왕국’은 여자아이들이 처음으로 왕이 되는 경험을 하게 만든 작품이라는 평가를 덧붙입니다. 


딸들을 키우고 있는 아빠 입장에서 아이들의 관점을 이해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또한 가계의 주체로서 아이들의 소비에 대해 상당히 많은 간섭과 통제가 불가피하다고 생각했던 적도 많습니다. 그들이 독립적 소비 주체라는 생각 자체를 못했던 것 같습니다. 하지만 이 책을 통해 우리 아이들도 독립적인 인격체이며 소비 주체이고 문화 주체라는 사실을 깨닫게 되었습니다. 가볍게 읽으려고 선택한 책이었는데 생각할 거리를 많이 던져준 독서경험이 되었네요.




#마법소녀는왜세상을구하지못했을까, #백설희, #홍수민, #들녘, #책과콩나무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직접 읽고 주관에 따라 서평을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어떤 선택의 재검토 - 최상을 꿈꾸던 일은 어떻게 최악이 되었는가
말콤 글래드웰 지음, 이영래 옮김 / 김영사 / 2022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전쟁은 그 자체로 악입니다. 하지만 전쟁에 참여한 이상 싸워서 이겨야 합니다. 그렇지 않을 경우 모든 것을 잃게 되기 때문이지요.

하지만 어떻게 싸워야 할까요? 여기에서 도덕적 딜레마가 발생합니다. 리더는 이러한 굴레에서 선택을 강요받게 됩니다. 또한 이상과 현실 사이의 괴리에서 이상을 버려야 하는 유혹도 받게 됩니다.


여기 두 명의 리더가 있습니다. 기술적 한계에도 불구하고 민간인 학살을 최소화하기 위한 선택을 하는 리더와 전쟁에서 승리하기 위해 가용한 자원을 모두 동원한 리더. 불필요한 민간인 학살을 최소화하면서 전쟁에서 승리하겠다는 동일한 의도에서 출발하였지만 정 반대의 결과가 나오게 되는 두 사람의 대비되는 결정 과정을 보여줌으로써 독자들에게 판단을 구합니다.


“어떤 선택의 재검토 (말콤 글래드웰 著, 이영래 譯, 김영사, 원제 : The Bomber Mafia: A Dream, a Temptation, and the Longest Night of the Second World War)”의 이야기입니다.


저자는 말콤 글래드웰 (Malcolm Gladwell). ‘워싱턴포스트’와 ‘뉴요커’ 출신의 저널리스트이자 저술가로 유명한 분입니다. 특히 경영 저술에서는 최고의 자리에 올라 있는 분이기도 합니다. 말콤 글래드웰이 역사, 그것도 전쟁사를 다루고 있습니다. 말콤 글래드웰이 역사를 전공하기도 했고, 특히 전쟁사의 한 측면인 ‘폭격’에 대한 집착적 관심을 가지고 있다고, 그리고 그 원인은 아마도 개인사에서 기인한 것이라 고백하고 있습니다. 


아직 독립적인 공군이 아닌 육군항공대 시절, 미군 내 공군전에 대한 일종의 사상가 그룹들이 탄생합니다. 바로 폭격기 마피아 (Bomber Mafia). 그들은 전략 폭격을 통해 전쟁을 조기에 종식시킬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하고 이에 대한 전술과 전략을 가다듬습니다. 불필요한 폭격을 통한 민간인 피해를 최소하고 전략적 타격점을 정밀 폭격하여 적의 산업적, 군사적 역량을 파괴하는 전략을 의미합니다. 즉, 그들의 핵심 사상은 민간인 피해를 최소화하면서 적의 전쟁 수행 능력을 파괴하는 것입니다. 마침 천재발명가에 의해 정밀 폭격조준기가 발명되면서 그들의 사상은 이제 현실로 나타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하지만 실제 전장의 상황은 그들의 이상을 실현시키기에는 고려하지 못한 상황들이 너무 많이 발생합니다. 정밀 폭격조준기는 고고도의 낮은 기온 (영하 50도)에는 제대로 작동하지 않았습니다. 또한 육안 관측에 의존하여야 하기에 (아직 레이더가 발명되기 전입니다) 정밀 폭격은 날씨와 시계에 영향을 크게 받습니다. 구름이 낀 날이나 밤에는 불가능하죠. 독일의 볼베어링 공장에 정밀 폭격을 시행했지만 2000개의 폭탄 중 80개만 명중 했습니다. 그리고 폭격기 60대를 잃었죠. 


완벽한 실패. 또한 현실에서 제기되는 명백한 증거에도 불구하고 폭격기 마피아들은 자신들의 이상을 실현시키고자 합니다. 


일본 도쿄의 항공 제조시설을 폭격하기 위해 출동한 폭격 편대는 새로운 이상 현상에 직면합니다. 바로 제트 기류 (당시에는 제트기류가 알려져 있지 않았습니다.) 정밀 폭격조준기에 폭격 목표를 조준할 수 없는 상황. 불과 1% 정도의 피해만 입혔을 뿐 3일 후 일본의 항공 제조시설은 재가동이 가능했습니다. 총 다섯 차례의 폭격을 감행했지만 거의 피해가 없는 상황.

미군은 이후 전략을 바꿉니다. 바로 유럽에서 영국이 채택한 바와 같은 사기 폭격 (morale bombing)입니다. 적국의 집과 도시를 파괴하고 민간인을 절망으로 몰아넣는 무차별적인 전략입니다. 거기다 일본의 경우 민간 가옥 대부분은 목조건물에 마침 네이팜탄도 발명된 상태.

전략을 변경하고 벌어진 첫 폭격. 도쿄는 대화재가 발생했고 폭격과 화재로 인해 10만 명이 죽었습니다. 하룻밤만에.

미군은 일본의 주요 도시를 지속적으로 폭격합니다. 심지어 도야마는 도시의 99퍼센트가 불타버립니다. 

당시 책임자 르메이 장군은 원자폭탄은 불필요했다고 말합니다. 이미 전쟁을 종식시킬 작업은 이미 끝난 상황이었다고.


폭격기 마피아가 주장했던, 민간인의 피해를 최소화하면서 적의 전쟁 의지를 꺾는데 주안점을 둔 전략 폭격의 사상은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지금까지 살아남았습니다. 하지만 2차 대전 당시 기술력으로는 구현이 불가능한 사상이었습니다. 

실제로 전쟁을 끝낸 것은 민간인 피해를 불사한 (아니 의도적으로 민간인 지역에 폭격한) 무차별 폭격과 원자폭탄이었습니다. 그들은 그러한 피해가 더 큰 피해를 막았다고 주장합니다. 일리가 있는 주장입니다. 


과연 리더는 어떤 선택을 했어야 옳았을까요?  그 전쟁의 결과로 독립을 하게 된 우리로서는 더욱 결론을 내리기 어려운 문제일 것 같습니다. 저자와는 다르게 말이지요. 그리고 말콤 글래드웰이 왜 대단한 작가인지 다시 한 번 깨달은 책이었습니다. 



#어떤선택의재검토, #말콤글래드웰, #이영래, #김영사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01 | 102 | 103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