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예 민음사 모던 클래식 41
다니엘 켈만 지음, 임정희 옮김 / 민음사 / 2011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린 늘 소설 속에 있어."

레오는 빨갛게 타오르도록 담배를 한 모금 빨고 나서 담배를 내려놓더니 더운 공기 속으로 연기를 내뿜었다.

"이야기 속의 이야기 속의 이야기. 이야기가 어디서 시작되고 어디서 끝나는지는 아무도 몰라! 현실에서는 모든 게 뒤섞이지. 책에서만 말끔하게 분리되는 거야. 


소설은 현실을 전제로 한, 허구의 세계다.

이 둘 사이의 경계는 생각보다 굳건해서, 작가라고 불리우는 문지기일지라도 함부로 오고가지 못한다.

오히려 모습을 드러내지 않을수록 훌륭한 문지기로 평가받곤 한다.


한편, 우리는 현실과 허구의 세계를 수시로 넘나들면서 생활한다.

인터넷이라는 가상의 공간은 현실과는 다른 '나'를 존재케 한다. 이제 문명의 발달로 누구나 마음만 먹으면 또다른 '나'를 창조할 수 있게 되었다. 그렇지만 현실과 허구의 경계를 뚫지는 못한다. 시도는 해볼지언정....


이처럼 현실과 허구의 경계를 전복시키려고 시도한 작가 중 단연 돋보이는 이는 다니엘 켈만이 아닐까 싶다. 

켈만은 스스로를 '기교는 부족하지만 예기치 못한 술수와 풍부한 영상을 그려 내는 교활한 단편소설 작가'로 생각하는 것 같다. 그리고 그는 정말 교활하게도(?) 이와 같은 자의식을 자신의 단편소설집 『명예』의 레오 리히터에게 투영시킨다.



 

레오 리히터는 켈만이 창조한 등장인물로 직업은 전업 작가다.

작가로서 그의 특징은 현실의 주변 인물들 속에서 캐릭터를 만들어낸다는 데에 있다. 그에게는 '국경없는 의사회'에서 일하는 여자친구('엘리자베스')가 있는데, 엘리자베스는 레오에 의해 '라라 가스파드'라는 등장인물로 창조된다. 라라 가스파드는 안락사를 받기 위해 스위스로 향하는 병든 노파가 주인공으로 나오는 작품(「로잘리에가 죽으러 가다」) 에서 로잘리에의 조카딸로 나온다.  


 

또 레오 리히터는 여자친구와 함께 분쟁지역을 방문하기 위해 원래는 자기가 참석하기로 되어 있던 동양의 어느 한 나라에서 열리는 세미나에 마리아라는 또다른 여류작가를 대신 보낸다. 그런데 마리아는 여행 가방에 휴대폰 밧데리를 챙겨넣는 걸 잊어버린 사소한 실수가 단초가 되어 그만 해당 국가에서 행방불명되고 만다.


우리는 종종 낯선 세계로의 일상 탈출을 꿈꾼다.

그래서 위험을 무릅쓰고 오지를 탐험하는가 하면, 전혀 다른 이의 신분으로 탈바꿈하기도 하고, 인터넷 사이버 세계에 몰입하기도 한다.


그렇지만 '마리아'(「동양」)나 '랄프'(「목소리」와「탈출구」) 혹은 '몰비치'(「토론에 글 올리기」) 처럼, 언어가 통하지 않거나 나를 아는 사람이 아무도 없거나, 혹은 현실의 나보다는 가상의 내가 중심이 되는 세계에서 자신의 현실 속 신분을 증명할 길이 막혀 버린 순간, 개인의 정체성은 연기처럼 사라진다. 존재(存在)하지만 부재(不在)하며, 부재(不在)하면서 동시에 존재(存在)한다.



이야기는 꼬리에 꼬리를 물고 이어진다.

다니엘 켈만의 이야기를 읽는다고 생각한 순간, 레오 리히터의 작품 속으로 들어와 있다. 아홉 편의 이야기들은 모두 제각기 독립적인 작품이면서 동시에 다른 여덟 편의 작품들과 직간접적으로 이어져 있다.


​마치 입체파 작품처럼, 조각조각 분해되고... 잃어버리고... 잊혀지고... 또다시 이어진다...

​현실과 허구의 경계가 무너진 빈틈 사이로 스며든, 이 느낌...

어딘가 익숙하면서도 낯선, 이 느낌...

분명, 과거에 엇비슷한 내용과 형식을 접했음에도 오늘 처음 접한 것 같은, 이 느낌...


허공에 '붕' 뜬 것 같은, 이 공허감을 어찌해야 할지...


​영화 <인터스텔라>를 보고 나온 것 같다.



 

순순히 어두운 밤을 받아들이지 마오

노인들이여 저무는 하루에 소리치고 저항하시오

분노하고 분노하시오 죽어가는 빛에 대해


순순히 어두운 밤을 받아들이지 마오

선한 자는 마지막 파도가 지난 후에야

덧없는 행적이 푸른 바닷가 위에 빛났음을 한탄하니

분노하고 분노하시오 죽어가는 빛에 대해


-by 딜런 토마스 '순순히 어두운 밤을 받아들이지 마오' 中

 



 

다니엘 켈만은 피카소나 크리스토퍼 놀란 감독처럼 기성 작가나 감독에게는 질투심과 위기감을, 젊은 작가나 지망생들에게는 좌절감과 경외감을, 그리고 독자들에게는 현대문명과 실존에 대한 덧없는 저항과 분노를 불러일으킨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